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19/09/14 23:07:19
Name 홍승식
출처 더쿠
Subject [유머] 직선과 곡선중 어디가 더 빠를까?
IV8BsT0.gif

사이클로이드 최단강하곡선 이랍니다.

이과분들이 댓글로 설명해 주시리라 믿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9/09/14 23:09
수정 아이콘
앞에는 끝까지 안가고 살짝 앞에서 돌아오네요? 반칙아냐?
크리스 프랳
19/09/15 02:16
수정 아이콘
저도 보자마자 이 생각크크크
유자농원
19/09/14 23:09
수정 아이콘
오른손으로 장난쳤네요
최종병기캐리어
19/09/14 23:10
수정 아이콘
밀었네...
야부키 나코
19/09/14 23:11
수정 아이콘
배그하면 모를수가 없는 크크크크
배그 요즘도 사이클로이드 하강하면 더 빨리 착지하나...
리자몽
19/09/14 23:12
수정 아이콘
엄지로 밀었네
Zoya Yaschenko
19/09/14 23:12
수정 아이콘
공 건들지마!
에시리아
19/09/14 23:13
수정 아이콘
손모가지 날아가붕게!
19/09/14 23:14
수정 아이콘
해머 갖고 와.
소야테
19/09/14 23:16
수정 아이콘
열전달 프로젝트 주제를 '일방향 유체냉각시 사이클로이드 형상 핀의 효율성 검증'으로 잡았다가 C0 받았읍니다. 사이클로이드 미워요
-안군-
19/09/14 23:19
수정 아이콘
저 쇠구슬이 수평으로 구를때 생기는 사이클로이드 곡선과 일치시킨 곡면을 만들어서 쇠구슬의 회전에너지가 직선운동과 연동되게 하는 원리인 것 같은데, 그게 왜 더 빠른지는 아랫분이...
차라리꽉눌러붙을
19/09/14 23:22
수정 아이콘
최단거리하고 중력하에서 최고 평균속도하고 다르기 때문에?
Albert Camus
19/09/14 23:23
수정 아이콘
극단적으로 생각해보면, 거리로보자면 가장 짧은 것이 자명한 수평선의 케이스에선 영원히 반대편에 도달하지 못할테니 (가장 짧은 거리) != (가장 빠른 경로) 인거죠.

그 최적점이 사이클로이드 곡선인거고...
비오는풍경
19/09/14 23:28
수정 아이콘
물체의 높이가 낮아지면 위치에너지가 운동에너지로 전환되면서 물체의 속도가 빨라지겠죠.
시간 = 거리 / 속도니까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경로를 계산으로 구하면 됩니다. 그 결과가 저 곡선이구요.
-안군-
19/09/14 23:34
수정 아이콘
근데 그건 마찰이 없다고 가정했을때 얘기인거고, 저건 구슬이 바닥에 붙어서 구르는 경우거든요. 말씀하신 위치에너지-운동에너지 만으로 설명하기엔 저 곡선상에서 올라올때 감속되는 것 까지 설명하지 못할 것 같아요...
비오는풍경
19/09/14 23:37
수정 아이콘
(수정됨) 글 제목만 봤을 때는 직선보다 곡선이 빠른 이유는 간단하게 설명이 가능하거든요.
그렇게 복잡한 경우까지 가정한 실험인지는 모르겠네요.
그리고 마찰이 없는 이상적인 경우에 구슬은 놓은 위치와 같은 높이까지만 올라가게 되죠.
위치에너지가 출발점과 같다는 것은 운동에너지가 0이라는 얘기니까요.
-안군-
19/09/14 23:58
수정 아이콘
실제 구슬은 저 곡면의 최고점보다 약간 높은데서 시작한거니까, 저 곡면의 시작점에서의 속도와, 내려갔다 올라왔을때의 속도는 동일해야 하거든요. 마찰이 없는 이상적인 경우엔... 그럼, 가속-감속이 일어났다고 해도 실제 운동량의 적분값은 동일할테고, 그렇게 되면 거리가 더 먼 곡면이 더 오래 걸려야 할 것 같은데요.
일단 저 공이 직선상에서 굴러갈 때 그리는 사이클로이드 곡선과, 저 곡면이 일치하도록 만들어져 있는 것 같고, 그로 인해서 위치에너지 -> 운동에너지 -> 원심력(토크) -> 운동에너지 -> 위치에너지로 변환되는 과정에서 손실이 최소화되는게 아닌가 싶습니다;; 제 가정이 틀릴 수도 있겠지만, 일단 그렇게 보여요.
Albert Camus
19/09/15 00:29
수정 아이콘
직선 경사로에서 굴리나 사이클로이드에서 굴리나 마찰로 인한 손실은 0인거 같고, [실제 운동량의 적분값은 동일할테고] 라고 하셨는데 동일하지 않은 것 아닌가요? 동일 시간 기준 가속 후 감속하면 해당 시간 내 적분값이 훨씬 커집니다.
-안군-
19/09/15 00:34
수정 아이콘
그럼 사이클로이드가 더 빠른 이유가 뭘까요?;; 저게 만약 사인곡선 같은거였다면 저런 결과가 안 나올거 같은데...
Albert Camus
19/09/15 01:07
수정 아이콘
(수정됨) 초기에 빠른 속도를 얻어서 조금 더 먼거리지만 전체적으론 훨씬 더 빠르게 이동하니까요? 그 최적화 결과가 사이클로이드 인거고... 어떻게 잘 설명해야할지 잘 모르겠네요.

말씀하신 적분 관점에서,

v = 1 을 0초에서 2초까지 적분하면 2인데,

v = 1 + t ( 0 < t < 1)
v = 2 - t ( 1 < t < 2 ) 인 케이스를 보면 속도가 초기값 1에서 가속 후 감속, 2초후엔 다시 정확히 1이 되는데 적분값은 3이니 선가속 후 감속이 유리한 면은 있죠.

말씀하신 y = -sin x 형태의 곡선도 직선보다 빠를 순 있을 것 같네요. 계산해봐야 알겠지만...

사실 저 장난감이 사이클로이드를 설명하기에 좋은 교보재는 아닌것 같은게, 지금 직선케이스보다도 더 많이 하강한 후 수평선이 이어지다가 다시 상승하는 형태면 지금 직선보다는 더 빠를 것 같아요.
-안군-
19/09/15 01:11
수정 아이콘
음... 설명을 듣고 보니, 가속후 감속을 하면서 얻게 되는 이익이 실제 이동거리가 멀어지는 손해보다 더 크면 더 빨리 이동할 수 있게 되겠네요. 그리고 그 (이익 - 손해)가 극대화되는 경우가 사이클로이드 곡선인 거고요. 대학수학 배운지가 하도 오래돼서 공식을 풀 수는 없겠지만, 대략 이해가 갔습니다. 감사합니다!
Albert Camus
19/09/15 01:14
수정 아이콘
저도 간만에 머리 싸매고 생각했네요. 크크 좋은 밤 되세요!
19/09/14 23:38
수정 아이콘
위치에너지 운동에너지로 충분합니다.

사이클로이드 곡선자체가 굴림마찰력이 작용해도 위치에너지 운동에너지 교환이 손실없이 진행되는 궤적이여서...
-안군-
19/09/14 23:54
수정 아이콘
네 그 얘기가 하고 싶었습니다;;
펠릭스30세(무직)
19/09/14 23:56
수정 아이콘
(대충 그냥 셋 다 죽었으면)
-안군-
19/09/15 00:15
수정 아이콘
에엑따!
Albert Camus
19/09/15 00:19
수정 아이콘
사이클로이드랑 역학적에너지 손실이랑 관계가 있나요? 굴림운동의 경우 직선형태의 경사면을 굴러간다해도 역학적 에너지 손실은 없는거 같아서요.
19/09/17 19:57
수정 아이콘
악...
제가 잘못 생각했습니다.

말씀하신대로 대충 곡면이면(충격량만 없으면) 굴림운동으로 에너지는 보존될것 같고...
아랫분이 쓰신 라그랑지안이 가장 깔끔한 설명이됩니다.

사실 더 아래로 내려가면 더 빨리 도달하겠지만 멋이 없으니...
19/09/15 01:34
수정 아이콘
짧게 말씀드리면 라그랑지안 놓고 최소작용원리로 가장 짧은 시간의 궤적을 찾으면 나오는게 사이클로이드라 그렇습니다(...)
옥토패스
19/09/14 23:39
수정 아이콘
(대충 그냥 좀 다 죽었으면)
꿀꿀꾸잉
19/09/14 23:41
수정 아이콘
예림이 그공 까봐
미카엘
19/09/14 23:56
수정 아이콘
사이클로이드. 자전거 바퀴 한 점의 궤적 곡선이라고 생각하시면 이해가 좀더 쉽습니다.
솔로14년차
19/09/15 00:00
수정 아이콘
마지막에 덜 올라가는 이유는 뭘까요. 마지막에 덜 올라가는게 그냥 실험상의 문제가 아니라 에너지의 전환 문제라면, 가까운 쪽의 공이 먼저 멈추겠네요.
츠라빈스카야
19/09/15 07:55
수정 아이콘
이동거리 자체는 더 기니까..마찰력을 그만큼 더 받았다거나 그런것 아닐런지..
고기덕후
19/09/15 00:42
수정 아이콘
굳이 사이클로이드 예를 들지 않아도, 저기서 직선이 더 빠를 이유가 없죠. 극단적으로 완전 직선인 경우를 생각해보세요.
-안군-
19/09/15 01:35
수정 아이콘
우측 끝에서 덜 올라가는건 중요한 문제가 아닌 것 같습니다. 우측 경사면 직전 지점에 도착한 시간이 아래쪽이 더 빨라요.
솔로14년차
19/09/15 02:33
수정 아이콘
속도만 비교하면 더 빠른데, 덜올라가는데 뭔가 이유가 있다면 그 이유가 속도를 더 빠르게 하는데 영향을 줬을 수 있으니까요.
저게 실험에서의 조작미스로 발현된 게 아니라 실험자체에서 어떤 이유가 있는 거라면, 그 '조금 덜 올라가는' 것의 의미가 구슬이 먼저 멈춘다는 걸 의미하게됩니다. 위치에너지가 감소한거니까요.
영원히하얀계곡
19/09/15 07:11
수정 아이콘
전 중요한 포인트같은데요.
덜올라간만큼 위치에너지가 회전에너지로 바뀌었다는 징표이니까요.
제이홉
19/09/15 01:42
수정 아이콘
이과 망했으면
Judith Hopps
19/09/15 03:29
수정 아이콘
쉬운 문제입니다.
아랫 공이 일을 더 잘하네요.
트라팔가 로우
19/09/15 08:55
수정 아이콘
왜 안 귓말이죠? 윗공이 상처받잖아욧!
퀀텀리프
19/09/15 17:10
수정 아이콘
아..완벽히 이해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69949 [유머] 밤 되니까 남자 눈빛이 달라지네. [5] 카루오스9392 19/11/22 9392
367351 [유머] 과정보다 결과가 중요한 이유.jpg [19] 김유라10638 19/10/27 10638
365997 [유머] 문과생들은 이해못하는 식사법.gif [14] 2023 lck 스프링 결승 예측자살인자들의섬11257 19/10/13 11257
364105 [유머] 이과생의 분노 [33] 파랑파랑10053 19/09/24 10053
363184 [유머] 직선과 곡선중 어디가 더 빠를까? [42] 홍승식11264 19/09/14 11264
363054 [유머] 초코모유와 이과두주자위법 [22] 진인환13464 19/09/13 13464
361984 [유머] 곽철용님의 차기 출연작 [35] 탕웨이9040 19/09/02 9040
359175 [유머] 걸그룹 노래가 불편한 연대생.facebook [44] 야부키 나코10343 19/08/01 10343
357586 [유머] 문과 아빠 이과 엄마 [16] 옥토패스9617 19/07/12 9617
353533 [유머] 성균관대 이과vs문과대전 [68] 카루오스12291 19/05/22 12291
352053 [유머] 다음 중 여자친구가 가장 화난 것으로 보이는 대사는? [14] Synopsis10055 19/05/05 10055
350713 [유머] 이과출신 샹크스.jpg [14] 전직백수9392 19/04/20 9392
350709 [유머] 이과 출신 [4] 파랑파랑6781 19/04/20 6781
347991 [유머] 식인종에게 잡힌 대학생들.JPG [58] 비타에듀18647 19/03/19 18647
347949 [유머] 공기 청정기 diy 의 여파 [17] 캐터필러12349 19/03/18 12349
347440 [유머] 한국인이 디자인한 신개념 앰뷸런스.jpg [39] 야부키 나코10614 19/03/11 10614
347370 [유머] [고전] 문과와 이과의 차이 [15] swear7728 19/03/10 7728
346385 [유머] 제주항공에서 도입한 신기술.jpg [26] 야부키 나코13268 19/02/25 13268
346033 [유머] 어이, 이과들 봐라 [23] 파랑파랑8468 19/02/21 8468
345456 [유머] 이과 커플 [6] 김아무개8307 19/02/13 8307
345113 [유머] 떡국은 많이 먹어도 살이 안 찝니다.twt [4] 홍승식8601 19/02/07 8601
344182 [유머] 디시인이 본 모태솔로 특징 [39] 그 닉네임15376 19/01/24 15376
343519 [유머] 관악 4천왕 [19] 인간흑인대머리남캐8473 19/01/15 847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