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19/08/16 17:08:54
Name ZZeTa
File #1 1565942213161.jpg (50.7 KB), Download : 29
출처 엠팍
Subject [유머] 집값폭등 물려받은 세대


1990년대의 30대

7년반??

개꿀인데?!!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9/08/16 17:09
수정 아이콘
뿌슝빠슝 7년 반만 모으면 서울 근교 집을 살 수 있는 지구가 있다?
파핀폐인
19/08/16 17:15
수정 아이콘
지 렸 다!
율곡이이
19/08/16 17:12
수정 아이콘
어디 지역이었길래 몇달도 안되서 집값이 두배가량 뛴거지...
19/08/16 17:13
수정 아이콘
차먼저 사겠다가 10% 밖에 안되는 군요 크크크
19/08/16 17:13
수정 아이콘
지금은 차도 못 삼 크크크크크
1perlson
19/08/16 17:33
수정 아이콘
차는 솔직히 큰 부담 없이 살 수 있습니다. 무슨차 나름이죠. 집은 무슨집 나름도.... 선택권이 너무 작아서 문제
19/08/16 17:13
수정 아이콘
대출 50%받으면 4년인데 그걸 못참아서 집을 안산다고? 60년대생들은 헝그리정신이 부족하네.
몽키매직
19/08/16 17:28
수정 아이콘
저 때 대출 이율이...
19/08/16 17:37
수정 아이콘
한 20%쯤 되지 않았을까요? 근데 그만큼 돈을 어딘가에 넣으면 올랐으니까..
몽키매직
19/08/16 17:40
수정 아이콘
주식도 빨리 오르고 뭐든 다 성장하는 시기였죠...
어쨋건 대출 이율 높아서 대출 받아서 투자한다는 게 지금과 달리 하이리스크로 인식됬었죠.
지금은 이율 낮아서 대출은 맥시멈으로 받아놓고 시작하는 걸로 바뀌었지만...
19/08/16 18:09
수정 아이콘
대출 이율은 차치하고, 애초에 대출을 받기도 힘든 시대였어요
19/08/16 17:13
수정 아이콘
저런 걸 경험해서 50대 위로는 부동산에 대한 가치를 엄청나게 높게 인식하고 있죠.
옥토패스
19/08/16 17:25
수정 아이콘
어... 50대 밑으로는 안 그런가요?
19/08/16 17:36
수정 아이콘
인식 정도 차이가 커요
일단 사면 무조건 좋다 급? 이더라구요
파핀폐인
19/08/16 17:15
수정 아이콘
부 럽 다!
곤살로문과인
19/08/16 17:22
수정 아이콘
7년반? 와 개꿀
19/08/16 17:26
수정 아이콘
한 푼도 안 쓰고 7년 반인데, 사실상 저 때도 가진 것 없이 시작해 집 사기는 힘들었다는 거죠. 부모님이 뭐 얼마나 물려줄 수 있는 세대도 아니었고..
겨울삼각형
19/08/16 17:29
수정 아이콘
얼마전에 본건데,

지금은 서울 중위소득기준, 중위권 아파트 사려면, 앞에 1이 더붙더군요.

그리고 지금도 가파르게 상승중이라,
진짜 17년뒤에는 앞자리가 3으로 바뀔수도..
스웨트
19/08/16 17:41
수정 아이콘
.. 10억이요..?

이런걸 볼때마다 진짜 결혼어떻게 하나.. 그생각 뿐입니다.. ㅠ
그리움 그 뒤
19/08/16 18:44
수정 아이콘
7년반 앞에 1
17년 얘기하는 것 같네요.
지니팅커벨여행
19/08/16 20:06
수정 아이콘
맞벌이라면 그나마 결혼을 일찍해야 더 유리합니다.
아웅이
19/08/16 18:07
수정 아이콘
외벌이 시대의 중위소득과 맞벌이세대의 중위소득을 같은 중위소득으로 보면 안되겠죠
주전자
19/08/16 17:27
수정 아이콘
저때는 힘든거고 지금은 불가능한거고
19/08/16 17:28
수정 아이콘
자식 세대는 더 살기 힘들것 같은데
걱정입니다
몽키매직
19/08/16 17:31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저 때는 집 가지 쉬웠다고 오해하시는 분들을 위해 말씀드리면, 고성장 시기에는 아직 집값은 싸지만 은행 이율이 높기 때문에 대출해서 집 사기가 어렵고, 대신 은행에 넣어두는 게 이자도 쏠쏠했죠. 간단히 말하면 은행에 넣어두는 게 좋은 투자이던 시기라 부동산에 굳이 투자할 동기가 부족했던 거고... 선진국 반열 들고 저성장되면서 이율이 낮아지고 부동산의 투자로서 가치가 올라감에 따라 현재는 대출 받을 수 있는 한도대로 받아서 집 사는 형태로 바뀐 거... 간단하게 말하면 저 때는 그냥 쌩돈으로 집 사야 되던 시기입니다. 지금하고 완전히 달라요..
19/08/16 17:55
수정 아이콘
전세가 생긴 이유도 저 당시 은행금리 높아서 아닌가요?
요즘은 은행금리가 거의 마이너스 금리를 향해가니 월세가 많이 늘었다고 들었는데.....
몽키매직
19/08/16 17:57
수정 아이콘
그것도 원인중 하나죠... 근데 우리나라에만 유독 전세가 자리 잡힌 이유는 모르겠어요...
19/08/16 18:19
수정 아이콘
집값/소득 비율은 지금이 수십년래 최저권입니다.
'강남' '아파트' 기준으로도 옛날에 진짜 비싸던 시절(80년대~90년대 초반)에 비해서는 여전히 낮습니다. 한 2015년쯤부터 좀 올라오긴 했지만 그 시절과 비교할 정도는 전혀 아닙니다. 금리와 구입여건까지 고려하면 더욱 그렇죠.
비서울이면 말할것도 없죠. 예전에 비해서는 집값이 정말 많이 싸졌습니다. 물가와 소득대비 엄청나게 많이 내려왔습니다.
생활수준이 빠르게 향상되는 단계를 지나오고 있어서 그런건데, 이제는 그런 시대가 지나가고 있다고 봐야죠. 경제의 성숙도가 높아지며 주택시장이 선진화되다보면 지금같은 시절은 나중가면 꿈같은 얘기로 들리게 될겁니다.
19/08/16 20:00
수정 아이콘
지금도 사실 강남 신축 아파트 이런데 기준이니까 그렇죠... 거긴 저때도 사기 어려웠어요
감전주의
19/08/16 20:45
수정 아이콘
저 당시는 대출도 쉽지 않았던거 같네요
GLtheSKY
19/08/17 22:07
수정 아이콘
하하하 정말 재미있네요 크크크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82170 [유머] 불패너.. 결혼 고민..txt [146] 꿀꿀꾸잉20136 20/04/06 20136
380821 [유머] 성공하려면 공대장을 해야하는 이유 [20] kapH11113 20/03/24 11113
373321 [유머] 아니, 삼각형 내각 합이 180도인거 누가 모르냐고 [36] KOS-MOS14575 20/01/03 14575
372527 [유머] 30대 이상만 안다는 컴퓨터 브랜드.jpg [18] 김치찌개9127 19/12/25 9127
371226 [유머] 2-30대 행복한 남성의 특징.jpg [65] 삭제됨15672 19/12/08 15672
370186 [유머] 10대때 몸매를 유지한 30대 [16] prohibit13513 19/11/25 13513
367244 [유머] 결혼 포기한 30대 여자백수.jpg [42] 미메시스20859 19/10/26 20859
367092 [유머] 안전이별 팁! [42] 스티프너13561 19/10/24 13561
366275 [유머] 30대 남자 히드라리스크 [21] TWICE쯔위9057 19/10/16 9057
362707 [유머] `갤노트=남성폰` 공식 깨졌다 [9] 홍승식10431 19/09/09 10431
361110 [유머] 30대들이 갑자기 운동하는 이유 [28] swear11159 19/08/24 11159
360467 [유머] 필리핀 기상예보의 적중률이 높은 이유 [12] 스토리북12034 19/08/16 12034
360464 [유머] 집값폭등 물려받은 세대 [31] ZZeTa11932 19/08/16 11932
360237 [유머] 한국역사상 최고동안 레전드.jpg [37] 차오루18225 19/08/13 18225
358793 [유머] 30대 보통 남자 스펙 공개.JPG [115] 비타에듀19290 19/07/28 19290
355897 [유머] 일본의 10대 40%, 이세계 가고 싶어하다. [36] 이호철12072 19/06/23 12072
355746 [유머] 전쟁나면 20,30대 참전 44%... [57] 삭제됨11420 19/06/21 11420
355076 [유머] 예측된 결말 [11] 길갈11359 19/06/12 11359
355061 [유머] 국가가 인정한 노안 [12] 이호철11017 19/06/12 11017
347609 [유머] 월 300만원이 많이 버는 편인가요? [145] 23cm32120 19/03/13 32120
343934 [유머] 인터넷 허언증.jpg [33] 킬리언 머피16806 19/01/21 16806
338715 [유머] 2, 30대 행복한 남성의 특징 [38] swear9091 18/11/09 9091
338146 [유머] 30대의 장점 [17] 나와 같다면11407 18/11/03 1140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