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19/08/09 00:31:59
Name 딜이너무쎄다
File #1 mug_obj_148719856880822706.jpg (45.9 KB), Download : 23
출처 인벤
Subject [LOL] 클래스로 기억하고 싶은 원딜러들


한국 롤의 전성기를 이끈 선수들... 예전 경기들 보면 셋 다 정말 '미쳤다' 싶을 때가 있더군요. 사진에는 없지만 룰러도 마찬가지고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9/08/09 00:40
수정 아이콘
한국 롤의 전성기 시절엔 데프트는 중국에 가 있지 않았나 뭐 그런 생각이 좀...
파란무테
19/08/09 00:52
수정 아이콘
여기에 룰러가 들어가면 얼추 레전드? 느낌..
그 다음이 테디가 향해가고 있다는 느낌을 받구요.
카르타고
19/08/09 07:52
수정 아이콘
테디는 멀었죠...
테디는 top10정도 해야 들꺼같은데
파란무테
19/08/09 08:04
수정 아이콘
당연하죠
그렇게 될 인재로 보인다는얘기죠..
GreatEntrepreneur
19/08/09 00:54
수정 아이콘
임프....
19/08/09 01:05
수정 아이콘
데프트보단 룰러죠. 한국 롤 전성기라고 하면요.
호박년
19/08/09 01:08
수정 아이콘
한국 롤전성기를 15~17년이라고 생각하는데 그 중

최전성기를 16년이라고 생각함 롤드컵 결승2, 4강1
크랭크렁
19/08/09 10:19
수정 아이콘
14가 진짜 전성기 아닐까요 국내 중위권팀도 해외나가서 다 두들겨패던 시절로 기억합니다
호박년
19/08/09 11:41
수정 아이콘
롤드컵 성적 기준으로 하면 15년도부터라고 생각해요.
13년도 : 우승1-4강-조별탈락
14년도 : 우승-4강-8강
크랭크렁
19/08/09 14:18
수정 아이콘
13는 전성기 시작이니 그렇다 쳐도 14때는 삼화삼블 내전만 아니었으면 결승전 한국 두팀 가능성이 충분했죠. 13년도도 나진소드가 반대쪽 조였으면 모르는 일이었구요. 14년도 당시 중위권 팀이었던 ktb와 skt k가 해외대회 나가서 외국팀 도륙한 점도 있구요.
호박년
19/08/09 18:40
수정 아이콘
그런 IF는 의미 없죠
막상 붙어보면 또 다른 결과가 나올 수도 있는거고
결국 성적이 말해주는건데
삼겹살에김치
19/08/09 01:14
수정 아이콘
저는 13~14년도가 15~17년에 밀릴게 없다봐요. 그냥 13년부터 쭉해먹었다 생각
그대의품에Dive
19/08/09 01:17
수정 아이콘
단일 시즌 임팩트 최고의 원딜은 누구라고 생각하시나요?
삼겹살에김치
19/08/09 01:19
수정 아이콘
제기준 16뱅 향로룰러 (커리어상관없이넣으면 작년우지도 들어갈만도 할거같기도..)
19/08/09 01:20
수정 아이콘
시즌으로 치면 16섬머 뱅.
19/08/09 01:30
수정 아이콘
전 18우지
히샬리송
19/08/09 01:33
수정 아이콘
저도 16뱅 한표
작별의온도
19/08/09 01:33
수정 아이콘
저도 16뱅
19/08/09 01:39
수정 아이콘
16뱅 진짜 원딜 모든 것 그 자체였음...
강력한 라인전, 한 타 때 뛰어난 포지셔닝과 딜을 끝까지 때려 박는 기계스러움, 절대 짤리거나 뇌절하지 않는 로지컬적인 플레이
모든게 갖춰진 원딜러였죠..
Bemanner
19/08/09 01:41
수정 아이콘
14임프
Concentrate
19/08/09 02:03
수정 아이콘
전 18우지
리나시타
19/08/09 02:06
수정 아이콘
저도 16 뱅이요
그 시절 플레이는 완전체라고 생각합니다
미야와키 사딸라
19/08/09 02:27
수정 아이콘
가장 포스 있던 원딜은 13피글렛과 18우지고
가장 무결점으로 완벽했던 원딜은 16뱅이라고 생각합니다.
19/08/09 02:34
수정 아이콘
임팩트는 18우지. 1년 전 향로메타를 평정했던 룰러-코장을 아시안게임 결승에서 박살낸 건 충격적이었습니다.
19/08/09 02:50
수정 아이콘
단일 시즌이 1년이면 16뱅 한스플릿이면 17스프링 뱅 봅니다. 캐리력이나 임팩트는 다른 원딜들이 조금더 높은 케이스가 있을진 몰라도 그런 원딜들은 세금 내기 마련인데 뱅은 진짜 던지는 적이 거의 없었죠.
박찬호
19/08/09 04:14
수정 아이콘
우지챠요
19/08/09 07:39
수정 아이콘
16 뱅이요
데뷔초 후반 집중력부족으로 짤리는건 고질병인줄 알았는데 전성기땐 완전체
은은한페브리
19/08/09 01:56
수정 아이콘
14 임프 mvp시절임프 원딜혼자 게임다하던시절..
쿼터파운더치즈
19/08/09 02:08
수정 아이콘
전 18 우지가 1년 전체로 따지면 제일 최고였다고 생각하네요 뱅은 최고점 임팩트가 절정이었다기보다는 매우 높은 수준의 월드클래스 폼을 꾸준히 유지한 원딜러였다고 보구요
데프트는 솔직히 저시절 lck 내에선 기대치에 못미쳤다고 보고 올해 모습이 제일 전성기에 가깝다고 생각합니다
라이츄백만볼트
19/08/09 02:18
수정 아이콘
전성기 시절에 데프트는 중국가있었던지라 데프트가 빠지고 룰러가 들어가있어야될것같네요.
초짜장
19/08/09 02:21
수정 아이콘
14년도가 갑이죠. 그때의 포스는 잊을수가 없습니다
오고고곡
19/08/09 02:25
수정 아이콘
임프임프
pppppppppp
19/08/09 02:25
수정 아이콘
우지 뱅
코우사카 호노카
19/08/09 02:34
수정 아이콘
최고는 뱅이라 생각하지만 플레이 스타일은 임프를 제일 좋아했습니다.
19/08/09 02:37
수정 아이콘
14임프가 제일..
19/08/09 02:43
수정 아이콘
데프트가 들어가 있으면 임프도 못들어갈 이유는 없어보이는데..
김엄수
19/08/09 02:45
수정 아이콘
저는 임팩트만 따지면 작년 MSI ~ 리라 ~ 아시안게임까지의 우지가 가장 떠오릅니다.
더 잘한 선수들도 있었겠지만 뭔가 원딜이 슈퍼에이스가 되어서 게임을 지배한다는 느낌을 주는건 작년 RNG가 젤 컸던거 같아요.
GjCKetaHi
19/08/09 03:56
수정 아이콘
저는 프레이도 결국 국내에서 포스를 뿜어낸 원탑이었던 적은 길지 않다고 생각해요.

12 - 13 윈터는 원탑이었는데 그이후는 임프 / 피글렛 (나중에는 임프 / 데프트)이 갈라먹었고, 15-16때는 뱅과 같이 투탑. 17때도 데프트, 룰러와 같이 탑급.

꾸준히 탑급에 있었던 것이 대단한 선수라고 봅니다.
카르타고
19/08/09 07:54
수정 아이콘
뱅이 몇년을 해먹어서 그렇죠
St.Johan
19/08/09 07:19
수정 아이콘
14 임프는 솔직히 마타가 그 이상 빛났다고 생각을하고(그래서 실제로 마타가 더 스포트라이트를 가져갔죠.전무후무한 롤드컵 서포터MVP도 나왔고)

16뱅은 울프도 당연히 잘했지만 온전히 선수자체가 미친놈인가하는 생각이 절로 들었던 한해가 아니었나싶음..
반니스텔루이
19/08/09 07:29
수정 아이콘
갠적으로는 17 전반기 뱅이 제일 잘했다고 생각.
후반기때 너무 임패트있게 못해서 더 역대급.
담배상품권
19/08/09 07:45
수정 아이콘
피글렛이랑 임프도 들어가야죠.
교자만두
19/08/09 08:05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프레이는 못미친다고봄..
카르타고
19/08/09 08:08
수정 아이콘
왜요?
교자만두
19/08/09 09:08
수정 아이콘
와!!!! 피지컬!!! 이런 느낌이 들었던 적이 없어서요. 뱅 데프트 는 그런모습 자주봤구요..
정은비
19/08/09 08:40
수정 아이콘
데프트에겐 밀릴게없죠
뚠뚠이
19/08/09 08:44
수정 아이콘
뱅 - 피글렛/임프 - 룰러 - 프레이 - 데프트 - 테디 순서 정도 되겠군요.
곽철용
19/08/09 09:00
수정 아이콘
피글렛은 내려야죠
딱 1년잘한선순데 커리어줄세우기라해도 임프 룰러가 밀릴이유가 없죠
저그의눈물
19/08/09 09:15
수정 아이콘
(수정됨) 룰러vs피글렛은 차이나는커리어가 롤드컵 준우승vs 롤챔스 우승2번 인데 사람마다 취향은갈릴듯싶은데요

임프vs피글렛은 차이나는커리어가 lpl우승1회 vs lck우승1회라 이것도 취향차이일거같구요

(임프 lck우승1회 lpl우승1회로 알고있는데 틀렸으면 지적해주세요)

번외로 피글렛은 msi전신대회라고 해석하시는분들도 있는 14년 올스타 우승기록도 가지고있습니다.
곽철용
19/08/09 09:56
수정 아이콘
밀릴 이유가 없다는거죠.
근데 피글렛을 더 위로놓으니 드리는 말씀이에요.
전성기이후의 꾸준함이 룰러임프에밀리는데다 커리어도 큰 차이없는데 피글렛이 왜 위냐는거죠.
저그의눈물
19/08/09 10:14
수정 아이콘
네 셋이 동급이라는 의미면 저도 동의합니다. 내려야죠 라는단어에만 집중했었네요.
뚠뚠이
19/08/09 10:31
수정 아이콘
말씀하신대로 피글렛과 임프는 동급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를 사용했구요. 다만, 룰러는 롤챔스 우승이 아니라 결승전도 밟아본 적이 없다는 점에서 임프와 피글렛보다는 한 티어 아래라고 생각했는데 기분이 나쁘셨으면 사과드려요.
곽철용
19/08/09 13:45
수정 아이콘
제가 표기를 잘못이해했네요
뱅-피글렛 을 1티어 나머지를 2티어로 표기하신 줄알았어요. 기분나쁠건 없죠 ㅜㅜ 더운데 고생하세용~~
카르타고
19/08/09 16:32
수정 아이콘
테디는 캡틴잭부터 넘어야죠
저격수
19/08/09 08:51
수정 아이콘
임팩트로 따지면 12년도 캡잭요 크크크크
쥬갈치
19/08/09 10:02
수정 아이콘
16~17초반의 뱅이 진짜 완벽했죠
그이후에 드라마틱하게 떨어져서...
좋은데이
19/08/09 10:12
수정 아이콘
한국 원딜 계보(성적 내기 시작한 순서)
임팩트 : 12캡틴잭 - 12~13프레이 - 13피글렛 - 13~14임프 - 14~15데프트 - 15~16뱅 - 17룰러
커리어 : 13피글렛 - 14임프 - 15~16뱅 - 17룰러
이런 느낌인데, 데프트 좋아하는데 롤드컵 못들어본건 참 아쉽네요.
14년도도 스프링,서머 우승/준우승이지만 결정적으로 롤드컵에서 삼화한테 꺾인게 임팩트가 컸구요.
리그에서 특히 임팩트 강했던 15~16땐 LPL이니 평가도 애매하게 받을수밖에 없구요.
그렇기에 저렇게 나열될때 잡음이 날수밖에 없다고 생각하구요.
그래도 꾸준함에선 저중에서 최고라고 생각하긴합니다.. 14~19년도 현재까지 최상급원딜인건 맞으니까요.
19/08/09 10:51
수정 아이콘
뱅 원탑
프레이 룰러
라고 생각합니다.
책 읽어주세요
19/08/09 10:56
수정 아이콘
원딜은 팀빨을 너무 타서 음...
개인적으로 뱅은 레알 말년의 호날두 과라고 생각합니다. 강팀에서 최고의 조력자를 붙여주면 최고의 결과를 만들어내는
19/08/09 11:45
수정 아이콘
뱅-프-뎊룰러 라 생각
HA클러스터
19/08/09 14:32
수정 아이콘
프레이는 피지컬 플레이보다는 뇌지컬이나 예측샷이 더욱 제 기억에 깊이 남아 있습니다.
글라시엘
19/08/10 06:59
수정 아이콘
16뱅은 원딜의 정석이었던거같네요 라인전 포지셔닝 딜링 다잘했음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66962 [LOL] 담원 사장의 귀여운 일화 [26] 여기11666 19/10/22 11666
365574 [LOL] 묵직한 페이커 사진 [28] 파랑파랑9967 19/10/09 9967
365498 [LOL] 유니콘은 살아있어! [3] 이호철6199 19/10/09 6199
365456 [LOL] 그리핀 출국 사진 [10] swear7071 19/10/08 7071
364710 [LOL] 그리핀 새 유니폼 착샷 [21] 키류9369 19/09/30 9369
364552 [LOL] 그리핀 씨맥 전 감독 근황 [17] 내일은해가뜬다10280 19/09/28 10280
364430 [LOL] '그 중소기업'의 한국형(KOREA) 10주년 이벤트 근황 [18] 203587954 19/09/27 7954
364094 [LOL] 이번 롤드컵을 통해 커리어 평가가 많이 고정될 것 같은 선수.jpg [42] 신불해11414 19/09/24 11414
363853 [LOL] 루시안 본섭 출시 당시 프로들반응 [40] swear10430 19/09/22 10430
363757 [LOL] 한국에서 논란이 많았었던 수상 [29] 반니스텔루이9813 19/09/21 9813
362735 [LOL] 퍽즈 : 내 커리어 최고의 대결이었어 [6] iwyh8384 19/09/10 8384
361950 [LOL] LCK 중계진 첨예한 여론전의 현장 [7] roqur9595 19/09/01 9595
361864 [LOL] 꼬감독 결혼기념 방송경기 첫 매치승 [2] 솔루6847 19/09/01 6847
361844 [LOL] 결승전 후 페이커 트위터 [8] 홉스로크루소8812 19/08/31 8812
361587 [LOL] SKT T1이 페이커 사진을 상습 도용?! [31] 삭제됨8267 19/08/29 8267
361332 [LOL] 세계 4대리그 결승전 장소 비교 [33] carpedieem7720 19/08/26 7720
360987 [LOL] LPL 촬영 스튜디어 방문한 WWE 선수.JPG [11] 신불해7870 19/08/22 7870
360768 [LOL] '롤드컵 직행' 그리핀, 압도적인 솔랭 현황.jyp [13] 키류7330 19/08/20 7330
360668 [LOL] 혼돈의 그리핀 숙소 사진 한 장 [26] 修人事待天命8586 19/08/19 8586
359936 [LOL] ??"보노, 트런들은 그렇게 하는 거 아니다." [5] roqur6146 19/08/10 6146
359778 [LOL] 클래스로 기억하고 싶은 원딜러들 [62] 딜이너무쎄다9971 19/08/09 9971
359693 [LOL] 아마도 2021 시즌 이후 은퇴 가능성이 높아 보이는 더샤이.JPG [40] 신불해18808 19/08/07 18808
358868 [LOL] 범인을 조금만 빨리 잡았더라면... [28] 암드맨8773 19/07/29 877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