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19/07/17 23:20:28
Name 가라한
출처 개인 경험입니다.
Subject [유머] 싱가포르의 완벽한 육아 시스템. (수정됨)
몇 년 전에 유럽계 회사를 다니던 시절의 이야기입니다.
싱가폴 출신 박사로 유럽 본사에서 일하던 한 엔지니어가 한국 출장을 와서 같이 이야기를 나누게 되었습니다.

나: 그래 유럽 생활은 어때? 좋아?
싱가폴 출신 엔지니어(이하 싱): 아니 힘들어. 돈이 너무 적어. 뭔 놈의 세금이 그리 많은지...
나: 하긴 그 동네야 기본 50%는 세금 먹고 들어가니까. 그래도 거긴 세금이 센 대신 복지가 좋잖아.
싱: 아니, 도대체 복지가 뭐가 필요해. 난 필요성을 하나도 모르겠어.
나: 흠, 그래? 요즘 한국은 도리어 복지 땜에 이슈인데. 당장 나만해도 애들 키우기가 너무 힘들어 돈도 많이 들고. 거긴 4세 부터 의무 교육으로 애들 케어 해 주니 얼마나 좋아.
싱: 이해가 안 돼. 그딴거 없어도 싱가폴에선 애 키우는데 문제 하나도 없다구.
나: 그래? 도대체 싱가폴에선 맞벌이 하면 애를 어떻게 키워?
싱: 우린 한달에 200불만 주면 애 돌봐줄 말레이시아 보모들이 널렸다구.
나: 아.......... (순간 할 말을 잃음)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이민들레
19/07/17 23:24
수정 아이콘
저도 같은 얘기 듣고 최저임금에 대해서 조금 생각이 ....
Notorious
19/07/17 23:27
수정 아이콘
자본주의 세상에서 시간이 지날수록 양극화는 심해질텐데 저같은 일반사람이 그걸 극복하기 위한 방법은 주식이나 부동산이죠. 특히 주식은 생산수단의 소유라는 점에서 어설프게하는 치킨집보다 훨씬 좋죠. 나라에서 하는 큰 방법은 복지. 근데 한국 정서상 모두 호불호가 심해요. 전 결국엔 주식이 이길거라 생각합니다. 우리나라는 복지한다고 세금 더 내라는거 절대 용납 못할꺼에요. 문재인형이 아무리 구석구석 꼼꼼히 세금 올리려고 발악해도 ..
19/07/18 00:36
수정 아이콘
으음. 그거야 말로 더 큰 양극화를 만드는 길이 아닐까요?
주식시장이 잘 되면 그야말로 더 큰 자본이 더 크게 먹는..
피식인
19/07/17 23:32
수정 아이콘
외국에 일하러 나가는 네팔 사람들에 대한 방송을 본적이 있는데, 한국 같은 나라들이 선호되는 이유 중 하나가 외국인에게도 차별없는 최저임금 때문이기도 하더라구요. 중동 같은데로 일하러 가면 내국인/외국인 최저임금이 달라서 돈 모으기 빡빡하다고 하더라구요. 싱가포르 잘사는걸로 알고 있는데 한달에 200불로 퉁치는거면 여기도 그런 시스템이 아닌가 싶네요. 방송에서 본 부작용은 외국인 최저임금을 따로 둘 경우, 그거 받고는 현지 생활이 불가능해서 내국인이랑은 완전히 분리된 외노자들만의 하층민 사회가 형성되는거 같더군요.
가라한
19/07/17 23:34
수정 아이콘
저도 그 때 자세히 물어 보지는 않았는데 싱가폴 같은 경우 말레이시아 분들이 출퇴근이나 주말 왕복도 가능하지 않나 추측이 되네요. 그러다 보니 2중 급여 체계를 해도 별 부작용도 없고. 참 싱가폴은 의외로 복받은 구석이 있는 듯 합니다.
다빈치
19/07/18 01:09
수정 아이콘
싱가포르는 최저임금이 없습니다. 정부에서 최저임금은 시장선택에 따라 결정된다고 해놨어요 크크
19/07/17 23:32
수정 아이콘
동남아인끼리 서로에 대한 인종차별이 어마어마하게 심하다던데
구라쟁이
19/07/17 23:58
수정 아이콘
인종차별이라기보단 민족 차별이 심합니다....
왜냐면 서로 싸워온 나라라서...
도들도들
19/07/17 23:35
수정 아이콘
가사의 외주화가 국경을 넘은 건 오래 됐죠. 우리도 조선족 얼마나 많이 쓰는데요.
그런데 싱가포르는 특수한 케이스로 봐야 합니다.
워낙 작은 나라라, 말레이시아에서 거주하면서 출퇴근이 가능하니까 저런 게 가능한 거고,
일반적인 규모의 국가에서는 해당국가 거주비를 부담해야 하는데 임금을 저런 식으로 낮출 수가 없죠.
19/07/17 23:38
수정 아이콘
싱가폴 보모들 입주 아닌가요?
가라한
19/07/17 23:41
수정 아이콘
입주라 하더라도 숙식 제공에 주말에 집에 다녀 오면 되니 괜찮지 않을까 추측 해 봅니다.
풍각쟁이
19/07/18 11:37
수정 아이콘
남아공에서 체류한 경험에서 보면 도우미와 백인 직장인의 경우 열 배에서 스무 배까지도 차이가 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Jedi Woon
19/07/17 23:59
수정 아이콘
홍콩에도 저런 이주민 보모, 가정부들이 꽤 많고, 갈등이나 문제도 생기고 있다고 하던데.....
19/07/17 23:59
수정 아이콘
아는분도 동남아인 보모쓰더라구요
한국에서요
츠라빈스카야
19/07/18 00:14
수정 아이콘
혹시 몇 달 전에 미국에서 사망하신 조회장님네......?
mystery spinner
19/07/18 01:04
수정 아이콘
음 200불은 한 십년전 얘기 같네요. 말레이시안 내니는 주로 산후도우미 Confinement nanny들인데, 지금은 1800불 이상 줘야해서 산후도우미 아니면 필리핀, 인도네시안, 미얀마 입주 헬퍼를 들이는데 샐러리 외에 levy, 식비 및 기타 등등 비용하면 천불 이상은 들어요. 육아에 전문성은 물론 기대하기 힘들구요. 그래도 한국보다 낮긴 하지만 대신 어린이집, 놀이방이 3시간 기준 월 천불 이상씩 하네요.
구르미네
19/07/18 01:33
수정 아이콘
싱가포르 입주 가정부 표준가격이 월 1,000불이고요.
게다가 외국인에게는 자국인에 비해서 20퍼센트 비싼 가격이 붙기 때문에 싱가포르인이 느끼는 것과 외국인이 느끼는 것은 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교육비도 예를 들면 초등학교는 인터네셔널은 그렇다 치고 공립은 PR(영주권)이 있어도 외국인이 들어가기는 하늘에 별따기 이지만 그나마 가격도 비쌉니다.
에프케이
19/07/18 08:53
수정 아이콘
싱가포르가 생각보다 인종차별이 심한 나라더군요.
동아시아 사람들이 가서 무시받지 않고 호의적으로 봐주니까 못느끼는 것일뿐
말레이계나 인도계는 중국계에 비해서 사람 대 사람으로서의 대우가 많이 안좋더라구요.
붕어가시
19/07/18 09:53
수정 아이콘
지금 미안마 입주 가정부 월 700불씩 주고 쓰고 있습니다(싱가포르입니다). 아이 둘 키우는 입장에서 직장 다니는 마눌님의 만족도가 높네요. 여성인력 활용에 있어서 이렇게 가성비가 높은 정책은 아마 없을 걸요.

인종 차별 심합니다. 30년전에 이민오신 교민에 따르면 한국인 위상이 필리핀과 그리 다르지 않아 서러운 일을 많이 겪으셨대요. 지금은 "문명인" 대접 받지요. 늘어난 국력과 한류 덕분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58102 [기타] [영화] '캣츠' 공식 예고편 [18] 빨간당근8263 19/07/19 8263
358101 [유머] 담합대회.JPG [8] 비타에듀9088 19/07/19 9088
358100 [서브컬쳐] 에반게리온... 입문한 계기.jpg [14] 삭제됨7748 19/07/19 7748
358099 [유머] 회사 단합대회 가는 직장인들.JPG [34] 비타에듀14296 19/07/19 14296
358098 [유머] 특이점이 온 AMD 홈페이지 [6] 홍승식9147 19/07/19 9147
358097 [서브컬쳐] 신 에반게리온 극장판:∥ 2020년 6월 개봉 [43] ZZeTa10301 19/07/19 10301
358096 [기타] 변호사가 알려주는 빌려간돈 받아내는 꿀팁.jpg [23] 매일푸쉬업12039 19/07/19 12039
358095 [유머] 5개월 남아따.jog [30] 삭제됨13577 19/07/19 13577
358094 [기타] (스압) 현재 일본 방사능 근황.jpg [73] 매일푸쉬업17125 19/07/19 17125
358093 [유머] 주인님, 이렇게까지는 하고싶지 않았는데... [8] 짱구10424 19/07/19 10424
358092 [기타] [영화] '탑건 2' 공식 예고편 [49] 빨간당근10341 19/07/19 10341
358091 [서브컬쳐] 어벤저스 : 엔드게임 작가와의 Q&A [26] 키류10158 19/07/19 10158
358090 [유머] 오덕 자살소동 레전드 [12] 파랑파랑12303 19/07/19 12303
358089 [LOL] LEC 프로덕션은 놀랍네요 [12] 앚원다이스키7702 19/07/19 7702
358088 [유머] 남들은 모르는 오뚜기의 진실 [16] 길갈12598 19/07/19 12598
358087 [유머] 프로페셔널이 해주는 최신 미러리스 카메라 스펙 프리뷰 [7] v.Serum9143 19/07/19 9143
358086 [LOL] 오늘자 큐베의 미친듯한 플레이 [23] 10429 19/07/19 10429
358085 [유머] 호불호 갈리는 군대 간부 스타일.jpg [40] 김치찌개12303 19/07/19 12303
358084 [유머] 대리석에 구멍내지 말라고 글루건으로 단 벽걸이 TV.jpg [6] 삭제됨9973 19/07/19 9973
358083 [유머] 본인이 가장 선호하는 편의점은?.jpg [35] 김치찌개9574 19/07/19 9574
358082 [유머] 본인들의 떡볶이 취향은?.jpg [23] 김치찌개6967 19/07/19 6967
358081 [유머] 제주도 만원 수제돈가스.jpg [21] 김치찌개10685 19/07/19 10685
358080 [LOL] 최고 연봉, S급 선수들의 위엄.. [47] Leeka13720 19/07/19 1372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