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19/06/27 09:39:18
Name swear
File #1 1.jpg (2.27 MB), Download : 22
출처 싸커라인
Subject [게임] 게임중독 질병화에 대한 일침


말 잘하네요..크크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cluefake
19/06/27 09:42
수정 아이콘
크크크크 맞긴 맞죠.
어차피 안할 놈은 안함.
그대의품에Dive
19/06/27 09:44
수정 아이콘
게임은 왜 유독 중독 소리를 많이 듣나요? 본문처럼 당구든, 바둑이든,운동이든,티비시청이든 취미가 일상생활 잡아먹는 건 어느 시대에든 있었는데...
cluefake
19/06/27 09:50
수정 아이콘
높으신 분들이, 나이드신 분들이 하지 않는 취미라서 그렇습니다. 그냥 시간차에요.
만화책 보던 사람들을 안보던 어른들이 에휴 만화가 다 망친다 만화를 없애자~했고, 그시절 사람들이 커서 만화는 괜찮은데 이 게임이란 건 뭐냐? 이게 다 망친다 라떼는 말이야~ 하는 겁니다.
솔직히 지금 피지알에서 게임중독 규제 욕하시는 분들 중 나중에 무언가 새로운 게 나오면 또 그걸 규제하자고 하는 분도 많을겁니다. 저는 게이머분들은 남의 취미에 너그러울 줄 알았는데 피지알에서 그게 아니란 걸 배워서, 그냥 사람들은 내가 안하고 이해 안 가면 이상한 취미라고 취급하는구나를 배웠어요.
19/06/27 09:51
수정 아이콘
내가 모르는 부분에 대한 가장 편한 대처가 부정이거든요
정지연
19/06/27 09:54
수정 아이콘
옛날엔 만화가 그 대상이었고 저 어릴때는 티비보는것도 강도는 좀 약해도 비슷한 취급받았고요..
새로운 취미가 나왔는데 메이저로 진입하려하면 탄압받는건 인류의 유구한 역사입니다.. 새로운 취미를 일상화한 세대가 기성세대가 되기전까지는 계속될수밖에 없어요..
홍승식
19/06/27 10:17
수정 아이콘
게임은 중독을 유인하는 요인이 많고, 게임사들이 점점 그것을 노리고 만듭니다.
게이머 상호간 돈이 안 걸렸을 뿐이지 사실상 도박게임들과 별 차이가 없습니다.
19/06/27 10:54
수정 아이콘
(수정됨) 하지만 반대로 가장 빨리질리기도 합니다 그래서 중독이라고 하기가 어려운거죠. 마약이 좀만하면 질리거나 그러진않잖아요. 근데 게임은 질리는 구간이 오잖아요. 중독물질이 오히려 중독을 방해하는 격이죠 .물론 사행성 조장은 당연히 저 분도 엄청 비판하는거고요.
Chandler
19/06/27 11:17
수정 아이콘
사행성이 문제라면 이미 도박중독이 질병으로 되어있고 그걸로 해결하면 되는거죠.

리얼로 사행성게임에 대해선 매출관 별개로 여론들이 워낙에 안좋아서 사행성조지는건 게임팬들도 얼쑤할걸요
미나사나모모
19/06/27 09:46
수정 아이콘
갓성회 응원합니다
스토너 선샤인
19/06/27 09:49
수정 아이콘
팩트로 뼈때린다고 폭행죄로 안잡혀가려나 걱정될정도로 정확한 타격이네요 이런걸 핀포인트 타격이라고 하던가요?
19/06/27 09:49
수정 아이콘
동감합니다
헛된희망
19/06/27 09:50
수정 아이콘
저도 진짜로 궁금한게 왜 한국은 게임산업을 굳이 죽이고싶어하는건가요? 도대체 그 근본적인 이유(진심)을 알고싶네요.
cluefake
19/06/27 09:51
수정 아이콘
나이든 사람들 높으신 분들이 안하고 이해 못하는 물건이니까요. 지금 게이머층이 나이들면 그때 나오는 새로운 무언가를 또 죽이려 들거에요.
도라지
19/06/27 09:56
수정 아이콘
[내 아이가 이렇게 된건 내 책임이 아니야. 게임 때문이지.] 라고 책임전가를 하기 위한게 기저에 깔려 있다고 봅니다.
修人事待天命
19/06/27 09:56
수정 아이콘
떠오르는 특정 신규분야에 대해 '통제'를 하고싶은 행정기관의 욕망
+
'시장'을 넓히고 싶은 의료단체의 욕망
+
내 자식이 결코 지가 못나서(혹은 내가 못나서) 공부를 못하고 좋은대학에 못가는게 아니라는 '핑계'를 찾고있던 학부모단체

삼위일체
22raptor
19/06/27 13:47
수정 아이콘
저도 딱 이렇게 생각합니다
검은바다채찍꼬리
19/06/27 14:35
수정 아이콘
2222222

지능이 부족해서 그래요
이성적으로 현실파악하기보다는
각자 자기입장 자기 이득만 생각하죠

게임하는게 죄입니다 정말
헛된희망
19/06/27 10:10
수정 아이콘
(수정됨) 아니 그건 기성세대들 인식인건 알겠는데 근데 이걸 정부차원?에서 굳이 이렇게까지 하려는게 납득이 안되서요...그나마 뒤에 댓글들처럼 돈때문이라는게 더 이해는 가는데 그것도 어이없는건 그건 게임산업이 성장해서 세금을 더 걷으면 될 일이지 산업 자체를 죽이려는(성장억재) 그것도 이해가 안되고요. 이건 의료쪽이랑도 혹 연결되는건지...솔직히 제가 오히려 의료쪽을 못믿는 사람이라...(온갖 편법으로 본인들 의료사고도 본인들이 처벌 안받게 하고, 또 유리하게 법을 제정하려고 하는모습들도 많이 봐서요)
19/06/27 10:26
수정 아이콘
아마도 그런 규제가 "표가 되기 때문"이 아닐까요. 게임 소비층은 집단화된 행동을 하지 않지만, 게임에 적대적인 학무모 단체 등은 이미 많이 조직화되어 있고, 그래서 게임 규제에 대한 의견이 과잉 대표되는 것 같습니다.
헛된희망
19/06/27 10:29
수정 아이콘
뭐 이것도 일리가 있네요, 어쨋든 그 부정하는 세력이 목소리가 큰게 사실이니 그쪽 비위를 맞추려는 모습으로 비춰지기도 하네요...그럼 위 댓글들 말이 맞긴하네요.
아타락시아1
19/06/27 10:40
수정 아이콘
죽이는게 아니라 이권싸움인듯 합니다. 죽으면 죽는대로 다른 분야에서 돈을 생기게 만들거고 죽기 직전까지 가면 그쪽에서 돈을 준다는 시그널을 보낼 수도 있으니 결국 돈 많은곳 빼먹는 거 같아요. 참...
정지연
19/06/27 09:50
수정 아이콘
그러고 보니 요즘은 가스나 본드한단 얘기는 들어보지를 못했네요..
ICE-CUBE
19/06/27 09:54
수정 아이콘
벤졸이었나, 아세톤이었나, 박카스병같이 생긴거에 들어있는거 불고 그랬죠.
서울에서 중학교 다녔는데 반에서 5명 -10명씩 단체로 걸리고 그랬습니다.
19/06/27 10:03
수정 아이콘
이제는 '진짜'를 구하는게 그리 어렵지 않아서 그런거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시린비
19/06/27 10:10
수정 아이콘
그래요...? 진짜가 구하기 쉬워서 그것들을 즐기는 학생이
많을런지...
그대의품에Dive
19/06/27 10:10
수정 아이콘
가볍게는 술,담배가 쉬워졌고
헤비하게 할 수 있는 거는 돈만 있으면 되고...
용노사빨리책써라
19/06/27 10:14
수정 아이콘
술담배는 옛날이 훨씬 쉽지 않았을까요. 십여년 전만 해도 소주 뚫리는 구멍가게가 쎄고 쎘는걸요.
19/06/27 10:17
수정 아이콘
술, 담배는 예전이 훨씬 쉬웠죠.
헛된희망
19/06/27 10:20
수정 아이콘
(수정됨) 진짜를 구하기 쉬워진건 맞긴한데 그렇다고 그게 예전것들을 능가할 정도는 아닐듯한데요...주변에 본드 가스하는 사람들이 있던 시대인데 지금 주변에 진짜를 하는사람들이 흔하지는 않잖아요, 그리고 그 진짜를 떠나 요새는 여러방면으로 다양해졌죠 뭔가를 해소할수 있는 분야들이요.
19/06/27 11:01
수정 아이콘
요즘은 해피벌룬이 문제가 많다고 하더군요
어랏노군
19/06/27 09:51
수정 아이콘
결국 돈인거죠. 게임이 질병이니 그 질병을 제공하는 회사가 돈을 내라. 그리고 그 돈은 내가 꿀꺽! profit!
목소리패티쉬
19/06/27 09:58
수정 아이콘
거 정신과 의사들도 호황좀 누려보고 그럽시다
먹고 살자고 좀 뽑아먹겠다는데 디게 뭐라그러네
cluefake
19/06/27 10:01
수정 아이콘
이미 호황이라 들었습니다. 요즘은 정신과가 진짜 잘나가요.
돼지도살자
19/06/27 10:03
수정 아이콘
정신과 의사들은 그 똑똑한 의사들 사이에서도 최상급 인재가 모인곳인데
사실 쭉 잘나갔습니다 요새는 예전보다 더 잘나가고요 크크
헛된희망
19/06/27 10:05
수정 아이콘
요새 뭔 범죄만 터졌다하면 심신미약(정신질환)핑계들을 데던데...이미 충분히 호황이지 않을까요?크크 게다가 확실히 통계적으로 정신질환환자(치료)도 늘어났다고들 하고요.
열역학제2법칙
19/06/27 10:18
수정 아이콘
일단은 정신병원 문턱이 낮아진 게 아닐까라는 생각이 먼저 드네요.
헛된희망
19/06/27 10:24
수정 아이콘
뭐 제 개인적으로는 그부분은 오히려 좋은 방향일수 있다고 생각드네요. 치료가 힘든 분야이긴하지만 그래도 치료가 가능하고 받을수 있다면 받는게 시도조차 못하고 폐인이나 문제가 커지는 것보다는요, 물론 그걸 악용해서 감형받으려는 범죄자들이나 의료계 정재계쪽은 좀 문제있고 바뀌어야겠지만요...
19/06/27 10:14
수정 아이콘
근데 게임 관련 없어도 잘나가긴 합니다. 요즘 십대 이십대 온갖 매체에 노출되면서 방황하는 경우 많은데 병원 많이다니죠.
뻐꾸기둘
19/06/27 10:03
수정 아이콘
백번천번 맞는말.
비누풀
19/06/27 10:09
수정 아이콘
아니 형 쫄지말고 게임썰도 좀...이미 형 터질거면 벌써 옛날 게임썰 동영상만으로도 수백번 터졌을테니 게임썰도 좀...
MC_윤선생
19/06/27 10:32
수정 아이콘
(대충 이미늦었다는 의사선생님콘)
19/06/27 10:12
수정 아이콘
WHO가 한국 단체였나..
DownTeamDown
19/06/27 10:20
수정 아이콘
한국단체는 아닌데 한국의사들(물론 한국만은 아님 대표적으로 중국의사들도 가서 그럼) 이 가서 설친것도 한몫해서요
오리엔탈파닭
19/06/27 10:20
수정 아이콘
게임 중독 관련 논문의 대다수가 한국에서 작성했다고는 합니다.
Chandler
19/06/27 10:21
수정 아이콘
Who는 통과되었지만 저 기준이 우리나라에 어떻게 들어올지는 미확정이니 그거가지고 최대한 열심히 싸우시는 중이겠죠
19/06/27 10:55
수정 아이콘
관계자가 동아시아 쪽에서 게임질병화에 대한 압력이 있었다고했죠
유리한
19/06/27 11:06
수정 아이콘
19/06/27 12:36
수정 아이콘
링크 누르니 '미우새' 김종국, 홍선영 특훈 '비욘세 몸매 만들기 돌입' 이런 기사가 뜹니다
유리한
19/06/27 12:56
수정 아이콘
모바일하고 PC하고 완전히 다른 기사가 뜨는군요.. 뭐지 대체..
어쨌든 모바일용 링크로 다시 드립니다.
https://m.edaily.co.kr/news/Read?newsId=01121766622488592&mediaCodeNo=257#forward
솔로14년차
19/06/27 11:07
수정 아이콘
특정 국가의 압력이 있었다는 말이 관계자에게서 나왔고,
그게 한국 아니면 중국입니다.
관련 논문은 한국이 가장 많고요.
19/06/27 10:18
수정 아이콘
응원합니다
위원장
19/06/27 10:20
수정 아이콘
음 초크칠도 많이 하고 소주에 새우깡도 먹고 lol에서 정치질도 하고 게임도 많이한 저는 뭐죠ㅠㅠ
Chandler
19/06/27 10:22
수정 아이콘
삐빅 즐거운 인생을 사시는 중입니다
헛된희망
19/06/27 10:25
수정 아이콘
충분히 삶을 만끽하신듯하네요, 물론 미래를 책임지지는 못하지만요...크크
나와 같다면
19/06/27 10:28
수정 아이콘
최고의 인생
티모대위
19/06/27 10:31
수정 아이콘
그러고도 충분히 멋진 인생 살고 있단걸 알려주시면 됩니다 흐흐
초크질 소주 롤 게임이 인생을 망치는 게 아니라 절제하지 못하는 사람이 문제라는걸 누구보다 잘 아실테니...
Thanatos.OIOF7I
19/06/27 10:37
수정 아이콘
인생2회차세요???
스타나라
19/06/27 10:41
수정 아이콘
온갖 질병은 다 가지고 계시군요!
그럼 어서 가까운 병원으로......
아타락시아1
19/06/27 10:42
수정 아이콘
홀스형이야?
19/06/27 10:55
수정 아이콘
즐기는 자 a.k.a. 종합병동
애플주식좀살걸
19/06/27 10:33
수정 아이콘
중독의학회? 숙원사업이라고 하던정도인대 성과가 나오는듯
바닷내음
19/06/27 10:40
수정 아이콘
정확히 이게 본질입니다
19/06/27 10:57
수정 아이콘
사행성 게임에 대한 규제로 논의를 끌고 가야 하는건데(게임의 종류가 얼마나 많은데... 스포츠중독이랑 뭐가 다른건지)
게임중독응 질병화하려는 쪽도 방어하려는 업계쪽도 그러지 않지요. 양편의 의도가 짐작이 가고... 그래서 누구 편도 들어주기 싫네요.
시린비
19/06/27 10:58
수정 아이콘
레콘은 숙원의 추구자들이죠. 아 누군가가 닭머리란건 아니고요
솔로14년차
19/06/27 11:08
수정 아이콘
언젠가 이야기했지만,
게임에 중독(과몰입)된 사람은 병이 있지만, 그 병이 '게임중독'은 아니라고 봅니다. 게임과몰입은 병이 나타난 현상이지 병 그 자체가 아니죠.
스타카토
19/06/27 11:10
수정 아이콘
갓성회!!!!!
이건 짤로 보는것보다 영상으로 직접봐야 카타르시스가 느껴집니다.
꼭 영상으로 찰진 발음을 들어보세요. 강추합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GBgQnNo_xRg
1perlson
19/06/27 12:10
수정 아이콘
도박중독이 있으니까 개임 중에 악질인 애들을 도박으로 분류하면 자연스럽게 해결될텐데... 또 기준 가지고 뭐라 싸우겠지만 그래도 전장이 그쪽인게 좀 낫지 않나 싶습니다. 과한 게임이 많은 판이라...
영칠이
19/06/27 12:36
수정 아이콘
음성지원 오지네
Fanatic[Jin]
19/06/27 13:49
수정 아이콘
진지하게 정신과의사협회(??)와 거래가 있는거라고 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63175 [게임] 아들 코인 떡상 [10] swear10288 19/09/14 10288
361703 [게임] 검은사막 노빠꾸 닥쳐좌 [22] swear9123 19/08/30 9123
356158 [게임] 게임중독 질병화에 대한 일침 [69] swear8601 19/06/27 8601
355869 [게임] 당신은 죽었습니다. 이제 당신이 마지막으로 플레이한 게임에서 환생합니다 [151] swear11267 19/06/23 11267
355489 [게임] 1998년 pc방의 풍경 [37] swear11748 19/06/18 11748
352042 [게임] 용준좌 학생 시절 [9] swear8841 19/05/05 8841
344574 [게임] 혼자서 2인용 게임하기 [36] swear10351 19/01/29 10351
340832 [게임] 어릴때 친구집 갔다가 빠져서 열심히 했던 게임 [21] swear12389 18/12/06 12389
338919 [게임] 심즈 한국식 주택 [12] swear6702 18/11/12 6702
338425 [게임] 현실 괴혼 [15] swear8087 18/11/06 8087
336457 [게임] 승리를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27] swear8650 18/10/13 8650
335062 [게임] 디아블로 넷플릭스 드라마화 루머 [49] swear9939 18/09/22 9939
331897 [게임] 뮌헨 회네스 회장 "뭐? e스포츠? 젊은 것들이 뛰어다닐 생각은 안하고 " [33] swear9497 18/08/03 9497
331514 [게임] 지금도 한 번씩 다시 보는 테켄 크래쉬 시즌2 8강 [10] swear3979 18/07/29 3979
331331 [게임] 이게 휘네? [9] swear7167 18/07/25 7167
321984 [게임] 98년, 08년, 18년 게임순위 [10] swear8095 18/02/17 8095
321979 [게임] 디아블로2에서 가장 많이 잡은 몬스터는? [44] swear10385 18/02/17 10385
321483 [게임] 게임 서비스종료 1분전 [23] swear12110 18/02/09 12110
318773 [게임] 게임 초보한테 추천하는 게임들 [57] swear11163 17/12/27 11163
316750 [게임] 90년대후반~2000년대초 게임 [39] swear10535 17/11/22 10535
316250 [게임] 의외의 무과금 혜자게임 [7] swear8712 17/11/15 8712
315982 [게임] 게임하는데 방해하지마라. [8] swear9078 17/11/11 9078
315759 [게임] 소림누님 근황 [30] swear13491 17/11/07 1349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