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9/06/11 18:07
맞습니다. 어제 뉴스 보니 처음에는 'HOTPLACE DAEGU'를 계획을 했는데, 전반적인 반응이 이전 것이 더 낫다고 해서 그냥 되돌아갔다고...
19/06/11 14:47
지자체에서 로고 같은거에 이렇게까지 신경쓸 필요가 없는게 문제지, 원래 로고 등 이미지 사업에 돈 많이 들긴 한다더군요.
삼성이랑 엘지 로고에 얼마 들어갔는지를 생각해보면...
19/06/11 14:48
원래 CI(BI라고해야하나;;)가 별거 아닌거처럼 보이는데 돈이 꽤 많이 들죠. 그런면에서 3.5억이 그렇게 큰돈은 아닙니다만,
개인적으로 지자체가 서로 앞다투어 이 로고에 큰돈들여 바꾸는게 좋아보이진않더군요.
19/06/11 14:51
제작에만 3.5억인가요? 교체비용까지 합쳐서인가요?
전 로고가 쓰인 전 행정구역의 로고 교체비용이 3.5억이면 이해는 가는데... 색만 바꾼거고 3.5억이면 진짜;;;;
19/06/11 15:03
뭐 시안 몇십개 받고 거르고 거르다보니 저게 남은 거겠죠....? 진짜 동그라미 색 교체만 한 거 갖고 3.5억이면...... 눈먼돈은 먼저 먹는게 임자라는 말 밖에 못하겠네요
19/06/11 15:04
http://www.contentskoreas.com/news/articleView.html?idxno=4058
요거 보시면 될듯합니다. 칼라풀 대구Colorful Daegu 라는 캐치프레이즈를 바꾸려고 시작한 사업이고 시민참여를 통해 대구의 핵심 키워드를 도출하고 토론회도 하고 등등의 과정을 거쳤고 그다음 전문가 브랜드 개발 전담팀을 구성해서 170개 후보안을 도출한 후 최종 후보가 'Hotplace Daegu', 'Do Great Daegu' 등등으로 잡혔는데, 기존의 것과 최종적으로 선호도 설문을 하다 보니 바꾸는것보다 기존 Colorful Daegu를 개선해서 쓰는게 낫겠다고 결론이 나서 이렇게 된 거네요. 그냥 단순하게 동그라미 두개 바꾸는데 3.5억! 이런건 아니고 뭔가 중간에 과정이 많긴 했습니다. 애초에 CI개선작업이라는게 생각보다 비용이 많이 들기도 하고, 최종 결과가 기존에 비해 많이 바뀌면 돈값한거고 많이 안바뀌면 돈아까운거고 이렇게 보는 관점도 좀 이상하긴 하고요. 하지만 그냥 저런걸 시도하는데 돈을 3.5억 쓴거 자체가 저는 좀 아까운것 같습니다. 이제 여기저기 붙어있는 저 로고 교체하는데 또 돈이 수억~수십억 들게 되니까요.
19/06/11 15:10
두꺼운 보고서의 한 페이지도 아니고 하나의 그림만 따다가 붙언거죠. 그럴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거 정하려고 후보안도 만들고 선호도 설문도 하고 전문가 자문도하고 막 그랬을텐데요. 물론 3500이어도 하려는 업체는 있을거 같긴 합니다. 그동네 단가가 있긴하겠지만요,
19/06/11 15:18
나아졌다는 것도 잘 모르겠네요.
변경 전 검은 동그라미는 colorful이란 단어의 o임과 동시에 색동그라미들 중 하나이기 때문에 글자의 검은색과 색동그라미들의 색칠된 모습을 동시에 적용해서 검은 동그라미가 나온거라.. 의미상 따지면 전자가 더 나은거 같기도 하네요.. 후자는 사실 단순히 색깔만 더 이쁘게 바꾼거라 의미는 조금 떨어지고..
19/06/11 15:25
저희 아버지가 CI 몇개 하시고 잠실에 집 사셨다고 하더군요 약 25년전 이야기 입니다만 크크크
집값 오르기전에 딴데로 이사간게 에러 ....
19/06/11 19:17
저 위에 자세한 사정 써주신 댓글 보니까 이해되는데요.
사기업에서도 뭐 잘못 됐을때 대표가 내 돈 날렸다고 다시 뱉든지 아니면 죽으라고 하진 않죠; 여기서 사형이 나오나요
19/06/11 23:31
죄송합니다
인천 월미은하레일 생각나서 매번 혈세만 날리고 책임지는 사람은 없어서 순간 단어 선택을 잘못했네요.. 수정했어요
19/06/11 15:29
차라리 근처 소재 대학생들 상대로 대상 상금 100만원짜리 CI 공모전이라도 열었다면...
비슷한 퀄 정도 되는 걸 1/100 가격으로 뽑았을텐데 말이죠. 시청은 돈 아끼고 학생은 취업시 주요 포트폴리오가 될것이고 서로 좋았을텐데..
19/06/11 16:29
공모전 내서 만들면 왜 안되는건지 모르겠지만
아마추어 공모전을 해서 만들었어도 좋겠다는 말이 왜 역겨운지 설명 좀 해주시면 좋겠네요 지금 상태로면 역겨운 인간의 뜬금없는 헛소리 배출로 밖에 안보여서 말이죠.
19/06/11 17:03
프로랑 아마추어가 낼 수 있는 퀄리티가 베이스가 아에 다른데 대학생 공모전이라뇨. 일반 회사원이 하는 일도 대학생 알바나 시키면 되겠내요
19/06/11 17:35
최소한 3억 5천보다 훨씬 적은 비용으로 뭐든 나왔겠고 높으신 분이 컨펌하던 마우스 집어 던지고 남은돈으로 업체 넘겨 할 수 있겠죠. 1등 100만원짜리 공모전에 소모비용이 몇억 들어가는것도 아닐테고.
19/06/11 16:39
저희 아버지가 간판 업자시라 저런거 바뀌고 실제 교체 작업을 하면 수주를 자주 받았는데 돈 엄청 들어요. 사기업조차도 로고나 간판 디자인 바꾸면 돈이 우수수 떨어지는데 나랏돈이면 아마..
19/06/11 20:34
이거 전형적으로 결과물만 보고 까는거 아닌가요?
중간에 사업추진 과정을 설명한 댓글만 봐선 이해가 되는 측면도 있거든요. 과정 따윈 모르겠고 결과가 예전거에서 동그라미 두개만 바꿨으니 난 돈 못 줘 하면 바로 소송크리죠. 업체 선정 및 업무추진 중에 뭔 문제가 있는게 아닌 이상 당장 저거만 놓고 뭐라 그러는건 좀 아닌 듯 하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