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19/05/30 15:00:07
Name 비타에듀
출처 엠팍
Subject [기타] 50년대 독일유학 가는법.TXT
대학생 시절 할아버지 교수님이 서울대 50학번이셨는데 58년인가 59년인가에 서독 유학을 가셨는데 경로가 후덜덜 하더라구요

먼저 전제조건들.

- 비행기는 도쿄에서 출발해서 동남아,인도 환승해야하는데 무지 비싸서 이용 불가
- 인도양 해상 치안 문제로 수에즈운하 통과하는 여객선은 없었음
- 비행기건 배건 일단 일본을 가야함
- 유럽은 Eu가 아니므로 통화가 다 다름. 서독은 마르크, 프랑스는 프랑, 이태리는 리라, 네덜란드는 굴덴, 스페인은 페소 등등
-신용카드 이딴거없음. 무조건 현찰 환전


교수님이 모든돈 탈탈 털어 가신 루트는

1. 서울에서 부산까지 열차 이동
2. 엔화 환전후 요코하마까지 배 편 이동
3. 달러 환전후 하와이로 배 편 이동
4. LA로 배 편 이동
5. 열차로 미국 동부로 이동
6. 영국 파운드화 환전후 배로 리버풀로 이동. 유럽 대륙 가는 배가 비싸서.
7. 리버풀에서 굴덴 환전후 로테르담으로 배로 이동. 함부르크 행이 비싸서
8. 로테르담에서 마르크화 환전후 열차 몇번 갈아타고 드디어 뮌헨 입성

여기서 석박사 받고 교수도 하시고 74서독월드컵도 보시고 박정희 편지받고 우수과학자 모시기 프로젝트로 한국으로 오셨다지요


-------

소매치기라도 당했으면 완전...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9/05/30 15:04
수정 아이콘
이동 기간 동안에 밥도 사먹고 잠도 자고 해야하는거 생각하면 저렇게 가는 것보다는 비행기가 더 싸지 싶은데;;
디포르테
19/05/30 15:09
수정 아이콘
저 시절엔 노선이 없었을걸요..
19/05/30 15:17
수정 아이콘
54년 스위스 월드컵 대표 선수들도 비행기를 타고 갔다고 하니 없진 않았을거에요.
환승이 필요하긴 하지만;;

비용의 문제죠.
19/05/30 16:00
수정 아이콘
그건 아마 특별노선/전세기 같은 거 아닐까요? 민항노선이 있진 않았을 거 같아요
19/05/30 16:09
수정 아이콘
밑에도 썼지만, 스위스 월드컵 대표팀 눈물나는 이동기 읽어보면 민항노선도 겨우 얻어 타가면서 간거라...ㅠ
타마노코시
19/05/30 15:14
수정 아이콘
아마 환승대기가 그 지역에서 생활하는 수준이었을지도..
19/05/30 15:18
수정 아이콘
54년 스위스 월드컵 대표팀이 이동에 50시간쯤 걸렸었다네요.
유유히
19/05/30 15:22
수정 아이콘
In the 21st century, air travel is relatively cheap, but in the 1950s, you could expect to pay 40% or more for the same ticket you buy today. A ticket on TWA in 1955 from Chicago to Phoenix, for example, cost $138 round-trip. Adjusted for inflation, that's $1,168.

1950년대 시카고에서 피닉스로 가는 티켓이 왕복 138불이었다 합니다. 인플레이션 적용시 현가치로는 1168불.. 기사에 따르면 40%정도 비싸다네요. 대충 백수십여만원 정도가 되는데.. 물론 발전된 나라인 미국 내에서 움직이는 것이니 개도국-선진국 간 이동은 다르겠지 싶습니다.

When Qantas started flying from Brisbane to Singapore in 1935, to connect with the British-operated Imperial Airlines (now British Airways) for the flying boat flight to England, the total journey took around two weeks, with up to 43 stops. By the time Qantas introduced the Kangaroo Route from Sydney to London in 1947 the journey took four days, and included stops in Darwin, Singapore, Calcutta, Karachi, Cairo and Tripoli, and two overnight stays. Compare that to the 22 to 23 hours it takes to fly from Sydney to London today, with just one refuelling stop, or the 17-hour non-stop flight from Perth to London due to start in March 2018 aboard a Qantas 787-9 Dreamliner.
콴타스 항공이 1935년 브리즈번-싱가포르 운항을 개시했을 때, 영국 운항의 임페리얼 항공(현 브리티시 에어웨이즈)과 공동운항을 위해 약 2주가 걸렸고, 총 여정은 43회까지 정차했다. 1947년 "캥거루 노선"으로 소개된 시드니-런던 노선은 나흘이 걸렸고, 다윈, 싱가포르, 캘커타, 카라치, 카이로, 트리폴리에 들렀고, 두 번의 야간 체류도 포함되었다. 현재 시드니에서 런던까지 비행하는 데 22시간에서 23시간이 걸리는 것과 비교해 보라.
------------------------------------------------
35년으로 좀 전이긴 하지만 국가보정을 감안하면 이 정도로 보는 것이 맞는 것 같습니다. 소요시간 2주, 중간기착 43회.. 이정도면 비용도 비용이지만 걸리는 시간에서 크게 이득이 없네요;


As for cost, these days, you can pick up a return flight to London for as little as $1,300, with ticket prices averaging out at around $2,000. In the 1950s and 1960s a return flight from Sydney to London would set you back around five times as much as it does today.
비용에 관해서는, 요즈음 당신은 시드니에서 런던으로 가는 왕복 항공편을 1,300달러의 저렴한 가격에 구입할 수 있으며, 티켓 가격은 평균 2,000달러 정도 된다. 1950년대와 1960년대에 시드니-런던 왕복 항공편은 오늘날의 다섯 배 가량이다.
--------------------
역시 당시에도 국내선에 비해 국제선이 더 비쌌던 것 같아요. 현재도 성수기 한국-독일 항공권은 기백만원 가량인데, 거기서 다섯 배면 충분히 부담 될 만한 듯 합니다.
19/05/30 15:29
수정 아이콘
(수정됨) 네, 당연히 부담되는 가격이겠죠. 그런데 위에도 썼듯이 54년 스위스 월드컵 국가대표팀이 서울에서 스위스까지 가는데 1주일 정도 걸렸다고 합니다. 그런데 그게 국가 대표팀이라고 편하게 간 게 아니고 중간 중간 사고가 잇달아 터지면서 그 정도라고 하니, 그냥 일반 사람이 준비하고 가도 시간은 그 정도 걸릴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문제는 비용인데, 비행기 타고 가는게 비용이야 더 들겠습니다만, 본문의 루트로 가면 족히 한 달은 넘게 걸릴텐데 그 기간 동안 소요되는 추가 비용 고려하면 그게 비행기 값과 그렇게 차이가 있었을까 싶어서요.

물론 그 교수님이 알아서 싼 루트로 가셨겠습니다만요 크크크

개인적으로 출처를 확인할 수 없는 인터넷 글은 구라 추정의 원칙에 따라서 일단 구라라고 생각하고 의심하는 편이라...
한국화약주식회사
19/05/30 15:36
수정 아이콘
국가대표팀은 군용수송기와 화물선얻어타고 가서 기한을 단축 시킨건데 민간인이 수송기와 화물선 얻어타고 갈 방법은 없죠.
19/05/30 15:38
수정 아이콘
수송기 얻어타고 간건 일본까지고, 그 다음부터는 민항기로 이동했다고 하네요.
그것도 표를 제대로 못 구해서 남에 표 얻어서 가고 그랬다고 합니다.

뿐만 아니라 당시 한국 대표팀은 스위스로 가는 비행기 티켓조차 미리 준비하지 못해서, 일단 미군의 수송기를 얻어타고 무작정 당시 아시아에서 가장 국제선이 발달해 있던 일본의 도쿄 국제공항으로 간 다음에 스위스로 가는 비행기 티켓을 구하기 위해 동분서주한 끝에야 간신히 도쿄 - 방콕 - 콜카타 - 로마 - 취리히로 이어지는 장거리 비행을 해야 했다. 그나마도 티켓이 모자라서 날짜조차 못 맞출 뻔했는데 일본으로 신혼여행을 왔던 영국인 신혼부부가 이들의 사연을 접하고는 월드컵인데 못 가는게 말이 되느냐며 딱하게 여겨 자신들의 비행기 티켓을 양보한 덕에 1진이 먼저 출발해서 경기날짜만 간신히 맞출 수 있었던 것이다.
한국화약주식회사
19/05/30 15:53
수정 아이콘
항공기 이동이 대중화된 시대는 당연히 아니고, 저 당시 항공권 가격 생각해보면 애초에 고려도 안한거라고 봐야죠. 국가대표팀은 국가대표인데다가 월드컵 2주도 안남기고 보냈는데도 10일이죠.

그리고 애초에 도쿄까지 수송기 안탔으면 최소 3일 더 걸리네요. 저 당시 KNA에 도쿄까지 가는 민항기가 없었으니까요.

먹고자는 비용보다 더 나오는게 그 당시 항공권이고, 숙박비는 기차와 배 안에서 지낸 시간 고려하면 왕창 줄죠. 저 당시 항공기로 대서양 횡단하는 비용은 고급 여객선 특등석 가격이랑 맞먹었는데 일반인들은 고려를 안하죠. 배는 삼등석 정도면 생각보다 쌌습니다. (...)
19/05/30 16:14
수정 아이콘
어차피 서울에서 도쿄까지 이동은 배를 타고 가나 비행기를 타고 가나 똑같은 거니까 고려할 필요가 없구요.

월드컵 대표팀의 여정을 따른다면, 도쿄-방콕-콜카타-로마 까지 항공 이동 하고 로마-뮌헨 정도는 기차 이동 하면 될 것 같은데, 정확한 가격을 모르니까 저 말이 당연히 맞겠죠. 저 얘기가 구라가 아니라는 전제하에 어련히 알아서 했겠습니까. 크크

다만, 구라 추정의 원칙에 따라 보기에는 배로 이동하려면 한 달은 족히 걸릴텐데, 비행기 이동이 길어야 일주일 정도 걸린다고 치면 나머지 3주 동안 소요되는 추가비용과 시간을 고려할 때 과연 비행기 이동과 배/기차 이동의 비용 차이가 그렇게나 컸을까 하는 개인적인 의문 정도라고 봐주시면 좋겠네요.
19/05/30 15:09
수정 아이콘
지금은 구글맵없으면 해외나갈 엄두도 안나는데 진짜 대단하시네요
지나가던개
19/05/30 15:09
수정 아이콘
이동 기간만 몇일 걸리셨을까요? 반년에서 일년 잡아야 하나
소르바스의 약속
19/05/30 15:10
수정 아이콘
80일간의 세계일주 느낌
서린언니
19/05/30 15:11
수정 아이콘
70년대는 되어야 제트기가 대중화되고 티켓값도 싸졌으니 그전에는 무조건 배, 3등칸이었을겁니다.
오클랜드에이스
19/05/30 15:13
수정 아이콘
잊고있었는데 저를 포함한 사람들 모두 맛폰 없던 시절 어떻게 여행 다녔나 싶네요 덜덜덜...
저격수
19/05/30 15:14
수정 아이콘
한 달 반 동안 유럽 여행을 갔는데, 셋째날에 스마트폰을 부셔먹은 적이 있습니다.
어떻게든 다녀 지더라고요 -_-
곤살로문과인
19/05/30 15:17
수정 아이콘
과연 적응의 동물...
저격수
19/05/30 15:19
수정 아이콘
스마트폰하고 같이 여권하고 현금 300유로하고 유레일 티켓을 같이 날려 먹었는데, 신용카드가 남아있던 덕분에 어찌어찌 대사관 가서 여권 맞추고 도시들은 지도 들고 다니고.... 근데 스마트폰 없으니까 유랑 들어가서 한인 동행 구하거나 하는 건 힘들더라고요.
세인트루이스
19/05/30 15:18
수정 아이콘
해외여행시 론리플래닛 필독이었고, 가는 지역마다 지도집에 들려서 지도부터 샀었네요..
샤워후목욕
19/05/30 15:19
수정 아이콘
그땐 여행책 하나들고 잘 다녔던 기억이 납니다.
지도 보면서 찾아가는 맛 그래서 그런지 10년후
신혼여행으로 같은곳을 갔는데 지도 없이도 잘 찾아다녔습니다.
강미나
19/05/30 15:27
수정 아이콘
이번에 여행갔을 때 충전기가 고장난 걸 모르고 충전했다가 오후 2시에 길 한가운데서 맛폰이 꺼졌는데 암담하더라고요....
사진도 못찍고 어딜 찾아가려고 해도 위치도 모르고....
유유히
19/05/30 15:27
수정 아이콘
네비 없이 어떻게 운전했는지 상상도 안됩니다.
신문사에서 나눠주던 전국 지도책 하나에 의지한 더듬이 여행;
최종병기캐리어
19/05/30 15:31
수정 아이콘
어디 IC에서 내려서 몇번 국도 타고 가다가 몇번 지방도로 바꿔타고 가다가 어느 교차로에서 몇번째 집...

그 당시에는 약도 그려주는게 기본 매너였죠
19/05/30 16:15
수정 아이콘
예전 대학생 때 시리아, 요르단, 레바논, 인도 등 방학 때마다 돈 끌어모아서 두 달씩 여행했었는데..일단 숙소 도착 전까지는 론리플래닛 하나로 다녔었죠. 주요 정보는 한국에서도 프린트 해갔었구요. 다만 주요한 현지 정보는 게스트하우스나 호스텔에는 무조건 비치되어있던 방명록으로 해결했습니다. 당시에는 유명 숙소를 가는 이유가 시설보다도 그 여행자들의 정보가 누적된 몇 권짜리 방명록이었어요. 근래에 그 경험 다시 느낀건 쿠바였습니다..아직도 인터넷 환경이 최악이다보니 여행자들이 그 방명록을 쓰고 있더라구요.
돌이켜보면 그 때는 집에 전화도 안하고 인터넷은 아주 가끔 하면서 어찌 다녔나 모르겠네요. 요샌 전 맵어플 없으면 한국에서도 길 못 찾습니다.
19/05/30 18:20
수정 아이콘
론리플레닛... 정말 오랜만에 들어본 이름이네요.... 갑자기 그시절이 그리워지네요.
치킨은진리다
19/05/30 19:42
수정 아이콘
다들 한손에 가이드북이랑 지도 들고 댕기건 시절이죠 크크 지금 여행하면서 식당에서 맥주 마시며 스마트폰으로 댓글적고 있네요. 카메라, 예약, 지도, 식당등 뭐하나 안되는게 없네요. 길 다니면서 뭐 물어볼 일이 없고요.
동네형
19/05/30 15:16
수정 아이콘
리버풀?
Zoya Yaschenko
19/05/30 15:32
수정 아이콘
YNWA!
ComeAgain
19/05/30 15:17
수정 아이콘
에어매니지먼트에서 제트 시대의 개막이 1955년부터였던 것을 생각해보면 일리가 있군요.
모나크모나크
19/05/30 15:17
수정 아이콘
언어의 장벽도 엄청났을텐데.. 대단하십니다
-안군-
19/05/30 15:31
수정 아이콘
70년대는 비행기를 탄다는 것 자체가 엄청난 비용이 드는 일이었죠.
19/05/30 15:59
수정 아이콘
이런 글 보면 앞으로 70년 뒤에는 어떤 글이 올라올까 궁금해지네요.

2010년대에는 외국 한 번 가려면 미리 비행기표 일일이 검색해서 예약하고 결제하고 지하철 타고 공항까지 무려 2시간 전에 가서 대기했다가 종이 여권으로 확인받고 출국절차 밟고 좁디좁은 여객기 좌석에서 짧게는 두어 시간 길게는 열 두 시간씩 세 끼 밥 먹으면서 날아갔어야 했다. 그나마 직항은 비싸서 몇 시간씩 목적지 아닌 공항에서 기다리다가 경유해서 가능 경우도 허다했고...

뭐 이러는 거 아닐까요?

그러면 그 아래에는 “와.... 하긴 텔레포트 없을 땐 어떻게 살았는지 모르겠어요.” “또 막상 무인 제트기 타고 어찌저찌 다녀지더라고요. 사람은 적응의 동물” 이런 댓글 달리고 그러진 않을지...
19/05/30 16:46
수정 아이콘
비행 시간 자체는 획기적인 패러다임 변화 (말씀하신 텔레포트라던지...)가 생기기 전까진 줄어들 것 같지는 않더라구요
연비나 비용 문제 때문에 항공사들이 더 멀리/많이 실을 생각은 있지만 빨리 날 생각은 없는 것 같습니다
강미나
19/05/30 16:48
수정 아이콘
현실은 셀프 수속 하나만으로도 새로운 세상이 열린 느낌인데....
19/05/30 16:22
수정 아이콘
저기까지 도착하는거 자체가 인재 인증인듯하네요.
일단 전 엄두도 안납니다. 가다가 죽을꺼 같은데요? 크크크
19/05/30 17:08
수정 아이콘
저분이 강철의 연금술사인가 하는 그분입니까?
19/05/30 18:17
수정 아이콘
90년대만해도 유로가 없었던 것으로 기억하는데... 그당시 유럽갈때 환전이나 그런것들 때문에 좀 복잡했던 기억이 있네요. 여행자 수표로 환전했던 기억도 있고... 아무튼 50년대라면.... 정말 상상도 못하겠네요.
19/05/30 20:45
수정 아이콘
저거보다 조금 뒤에 배타고 희망봉 돌아서 유럽 가신 케이스를 압니다. 많이 어려운 시절이었겠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74269 [기타] 2월 개봉예정인 독일 나치 유쾌한 영화(?) 조조래빗 [6] 이쥴레이6466 20/01/15 6466
374022 [기타] 최초의 독가스 공격 2차 이프르 전투 [2] 치열하게8075 20/01/12 8075
373003 [기타] 필리핀 국적 아랍인으로 신분세탁하고 단국대 교수로 재직했던 조선족 출신 북한간첩 [23] 달달합니다14826 19/12/31 14826
371206 [기타] 독일이 항복했습니다. 전쟁은 끝났습니다. [24] 블랙번 록16728 19/12/08 16728
370912 [기타] 연도별 세계 GDP 순위 변화 TOP40 (1970~2017) 세계 경제 순위 [8] 시나브로11105 19/12/04 11105
370297 [기타] 도둑들 [15] 퀀텀리프8346 19/11/26 8346
369955 [기타] 가장 위대한 공금횡령 [20] roqur12568 19/11/22 12568
368594 [기타] 전통을 소중히 하는 독일... [18] Lord Be Goja12798 19/11/09 12798
367518 [기타] 베를린 장벽에 낙서한 한국인 근황.jpg [14] TWICE쯔위10283 19/10/29 10283
365688 [기타] 총기회사의 회의실 모습 [12] swear11431 19/10/10 11431
363996 [기타] 뜻하지 않게 발견한 댓글 모음. [18] OrBef12566 19/09/23 12566
363484 [기타] 3차대전이 일어나면 독일이 이길수도 있는 이유.TXT [23] 비타에듀10076 19/09/17 10076
362612 [기타] 2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과 영국이 알고 있던 것 [22] 치열하게13579 19/09/08 13579
362035 [기타] 덩케르크 철수 작전의 결정적하루(feat.부대 전멸의 기준) [3] 치열하게8362 19/09/02 8362
360912 [기타] 전세계 브랜드 가치 순위 2019.jpg [37] 홍승식14006 19/08/21 14006
360787 [기타] 2차 세계대전 참전국 GDP 비교 [15] 치열하게9250 19/08/20 9250
359357 [기타] 독일 개그맨의 유니클로 불매운동 [20] 키류14307 19/08/04 14307
357415 [기타] 독일 경제부 장관이 이동 중 외국인 전화 안받는 이유 [18] Lord Be Goja9415 19/07/11 9415
356822 [기타] 일본소매시장에서 AMD가 인텔을 제쳐 [4] Lord Be Goja7096 19/07/05 7096
354130 [기타] 50년대 독일유학 가는법.TXT [41] 비타에듀11630 19/05/30 11630
353547 [기타] 세계대전때 2연벙 먹은 독일.TXT [23] 비타에듀9502 19/05/22 9502
352996 [기타] 해외언론에서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는 중국 내부의 충격적 실상 [54] 키류17299 19/05/16 17299
352785 [기타] 한 레지스탕스의 고백 [5] 서현1210041 19/05/14 1004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