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19/05/17 23:43:46
Name 카발리에로
File #1 24dad76f5a564ae8cc4348edec42a9fa37497ce14e55a46b593b2689ba2367f907aed6e8a2d000ad4ccdbb408cc85753194ec5eadeb51264942e3691dbf030530948f87b4bef1a1cfe6af1c64644f7911bc244852348c8996d24ba7627d02e8b.png (105.4 KB), Download : 33
출처 나무위키
Link #2 https://namu.wiki/w/SK%ED%85%94%EB%A0%88%EC%BD%A4%20T1/%EB%A6%AC%EA%B7%B8%20%EC%98%A4%EB%B8%8C%20%EB%A0%88%EC%A0%84%EB%93%9C
Subject [LOL] 새삼 재평가되는 그 팀



15 스프링 우승

15 MSI 준우승

15 서머 우승

15 롤드컵 우승




16 스프링 우승

16 IEM 우승

16 MSI 우승

16 서머 3위

16 롤드컵 우승



17 스프링 우승

17 MSI 우승

17 서머 준우승

17 롤드컵 준우승




IG가 이렇게 허무하게 무너지는 걸 보니 새삼 이 시절 전성기 SKT가 정말 어마무시한 팀이 아니었나 이 생각이 듭니다.

롤판 시작되고 나서 9년 동안 수많은 팀들이 우후죽순처럼 튀어나왔지만 이 팀이 쌓은 커리어에 도전할 만한 팀이 지금껏 단 하나도 없음.

그나마 비벼볼만한게 멤버 바꿔가면서 롤드컵 2회 우승 + 1회 준우승한 구삼성-젠지 정도인데.


킹존이 작년에 무너지고, RNG가 작년에 롤드컵에서 허무하게 무너지고, IG가 오늘 무너지는 걸 보니 이 시절 SKT가 진짜 얼마나 미친 팀이었는지 다시 한번 재평가하게 됩니다. 17 막판에 뱅울이 번아웃와서 무너진게 이제 와서는 슬슬 이해가 될 지경......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조말론
19/05/17 23:45
수정 아이콘
일년만 더해먹게 해주세요 라고 한 분이 그럴줄은 몰랐지만
지나고보면 쓰리핏이 너무나 아쉬울 뿐이지만
그래도 저 당시의 저 팀을 넘을 팀이 이 판 끝나도록 저 팀 포함해서 없을거 같긴 합니다
19/05/17 23:56
수정 아이콘
일년만 더해먹게는 16년 아니었나요?
카발리에로
19/05/17 23:57
수정 아이콘
17년 스프링이었죠. 그게 아마 통신사 대전 때 레코드여서 꽤 화제가 됬던 걸로 기억합니다.
19/05/17 23:58
수정 아이콘
글쿤요 저는 16롤드컵인 줄 알았네요
마챠링
19/05/17 23:5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제 기억이 맞다면 16년에 1년만 더해먹게 해주세요 했는데 진짜 해먹어서 17년에도 진짜 이번 1년만 더해먹게 해주세요 한걸로...
사전인터뷰 다시보니까 맞네요 크크 뱅이 '올해까지만 더 해먹게 해주세요'는 16년도부터 외쳤는데 아마 오프더레코드로 공개된건 17년일겁니다
현실순응
19/05/17 23:45
수정 아이콘
"왕조"
승률대폭상승!
19/05/17 23:45
수정 아이콘
결국 이번 msi도 어우슼인가
19/05/17 23:46
수정 아이콘
아 진짜 쓰리핏만하지 ㅠㅠ
하기만했으면 왕조가 아니라 황조급이었을것을..
솔로14년차
19/05/17 23:47
수정 아이콘
TL이 IG도 잡는데, SKT가 우승할거라고 마냥 예상할수는 없죠.
당장 G2부터가 큰 벽이고요.
19/05/17 23:51
수정 아이콘
롤드컵도 아닌거 G2가 이겨서 유럽 미국 대결보고싶네요
의지박약킹
19/05/17 23:48
수정 아이콘
1년 반짝하고 사라진 팀이 얼마나 많은데 한번 우승했다고 올해에도 세최팀 행세 하는게 별로 맘에 안들었어요. 특히 닝.. 뭐 우승 두번은 하고 거들먹거려야 할 거 아니야 크크크
파이몬
19/05/18 00:00
수정 아이콘
누가 보면 우승 세번쯤 한 줄 알겠어요. 잘난척은 우주 최강임 크크크
의지박약킹
19/05/18 00:02
수정 아이콘
슼처럼 msi 미끄러지고 이 꽉 물고 롤드컵 우승하면 그때 인정입니다
19/05/18 00:15
수정 아이콘
뭐 거들먹거릴만은 했을겁니다. 롤드컵 우승자가 흔한거도아니고 한국에서 SKT 삼성이 다해먹다가 드디어 우승한거니 얼마나 추켜세워줬을까요 크크 자리를 지키기 힘들다는거도 내려오기시작하기전에는 모를거고..
코우사카 호노카
19/05/17 23:52
수정 아이콘
매번 패치로 메타가 바뀌는데도 3년 찍었으면 정말 대단한거죠
3년째 말이 아쉽지만..
책 읽어주세요
19/05/17 23:52
수정 아이콘
뱅은 번아웃이라기보다 워킹에씩이 별로인거 같음.
16년부터 계약전엔 잘하고 계약후엔 못함
19/05/17 23:56
수정 아이콘
무슨 계약이요?
19/05/18 00:01
수정 아이콘
원댓글분의 의견에 동의하고 말고와는 관계없이

재계약 말하는 거겠죠
건강보험증
19/05/18 00:14
수정 아이콘
라고 볼 수도 있지만.. 결과물이 넘사라 ..
17년 비판받는것도 결국 마무리가 아쉬운거였고
16년도는 더할 나위 없었으니
끝이 아쉬운게 크네요
이른취침
19/05/18 00:16
수정 아이콘
그래도 2년간 보여준 게 워낙 대단해서... 18년에도 사실상 팀의 기둥이었구요.
19/05/18 00:19
수정 아이콘
저는 아직도 그시절 뱅이 그립네요. 지금 테디가 잘하긴해도 좀 들쭉날쭉하지만 뱅은 그런거 없이 늘 잘했어서..
치토스
19/05/18 00:27
수정 아이콘
공감합니다. 게임 자체를 좋아하는 사람인건 분명한데, 우승 몇번 이후 뭔가 근성이나 열정 같은게 없어 보여요.
19/05/18 00:30
수정 아이콘
워킹에씩이라는 표현을 자주쓰나요? 첨들어보는데...
어쨌든 관점의 차이라고 봅니다. 윗분들 말씀처럼 뱅이 남긴 업적들도 고려해야죠. 애초에 자세가 안갖춰졌다면 그자리에 설수가 없는거니까요.
딱총새우
19/05/18 00:33
수정 아이콘
보통 work ethic을 씁니다.
19/05/18 00:44
수정 아이콘
아 그렇군요;;
cienbuss
19/05/18 01:55
수정 아이콘
근데 최근 10~20년 간 워크에식이나 동기부여가 말도 안 되는 장재호, 이영호, 페이커나 이스포츠는 아니지만 메날두, 테니스 빅4 같은 괴물들을 보고 눈이 높아져서 그렇지. 원래 우승 후에도 동기부여 유지하는 게 쉬운 일이 아니라... 경솔한 발언은 맥락을 감안해도 여전히 잘못했다 생각하지만 워크에식은 너무 탓하고 싶진 않네요.
볼빵빵청년
19/05/18 00:52
수정 아이콘
굳이 하나 지적하자면 티원도 멤버 꾸준히 바뀌었죠
Faker Senpai
19/05/18 01:45
수정 아이콘
한번 우승하는것도 대단하지만 그보다 대단한건 오랫동안 계속 우승하는거...
계속 승리를 갈망하고 노력하는 페이커와 김정균 감독에게 찬사를 보냅니다.
cienbuss
19/05/18 01:52
수정 아이콘
14년도 우승팀 까지는 다음 해에 부진한다는 징크스가 있었죠, 그걸 깬 게 16SK이고. 이후에도 따지고 보면 삼성은 다음 해에 부진했고.
19/05/18 03:49
수정 아이콘
롤드컵 다음에도 잘하나? 여전히 잘함
그다음에도? 그래도 잘함
또? 말도 안되
페이커가 또? (인터넷 뻘글중 skt vs rng 4강전 보러 간다는 남친때문에 헤어진 여친 글 올라와 이때당시 5연갈 하드캐리력에 모두다 충격을..)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53315 [LOL] 한국팀들 특징.txt [49] 미야와키 사딸라11128 19/05/19 11128
353313 [LOL] 그의 큰 그림.jpg [12] 멀고어6982 19/05/19 6982
353273 [LOL] 북미한테 맞고 있는 LCK [32] 감별사8969 19/05/19 8969
353245 [LOL] 이번이 역대급 MSI인 이유 중 하나 [12] Leeka7382 19/05/18 7382
353234 [LOL] 알고보니 겜알못 집단 [10] 길갈6696 19/05/18 6696
353205 [LOL] 현지MSI 직관중 [15] 서지훈'카리스9078 19/05/18 9078
353198 [LOL] IG가 지고 제일 상심한 사람들 [11] cluefake7400 19/05/18 7400
353195 [LOL] MSI IG vs TL 직후 옌슨과 더블리프트 인터뷰 [25] 체자레9203 19/05/18 9203
353193 [LOL] 이제 와서 보면 재평가가 필요한 커뮤니티 발언 [4] 라이츄백만볼트7168 19/05/18 7168
353163 [LOL] 19 IG의 위엄 [7] Leeka10334 19/05/18 10334
353159 [LOL] 오늘자 IG 팀리퀴드 요약.JIF [3] 수분크림9816 19/05/18 9816
353152 [LOL] 오늘자 G2 근황 [39] 코우사카 호노카12268 19/05/18 12268
353147 [LOL] 새삼 재평가되는 그 팀 [30] 카발리에로10822 19/05/17 10822
353143 [LOL] 애초에 IG를 고평가 안한 더블리프트 [45] 딜이너무쎄다10960 19/05/17 10960
353127 [LOL] 팀리퀴드가 IG에게 이기는 미래를 보고 오신 분 [15] 진인환8082 19/05/17 8082
353126 [LOL] 오늘경기 TL vs IG 한장 요약.JPG [2] 아지르7152 19/05/17 7152
353125 [LOL] ??? : 괜찮다 IG, T1에게 지는 건 수치가 아니다.JPG [9] 카루오스8062 19/05/17 8062
353119 [LOL] ???: 한심하구나 IG [2] 내일은해가뜬다6718 19/05/17 6718
353101 [LOL] 현 세체미의 라이즈 궁.gfy [17] 낭천8153 19/05/17 8153
353069 [LOL] G2, IG 기다려라. 분노의 페이커가 간다. [48] Leeka9383 19/05/17 9383
353066 [LOL] MSI에서 SKT우승했을시 김동준 반응.txt [48] 수분크림9306 19/05/17 9306
353038 [LOL] 울프의 IG vs TL전 전력비교 [21] pioren7994 19/05/17 7994
353037 [LOL] 상체와 하체의 차이 [13] Leeka9830 19/05/17 983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