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9/05/13 20:19
(수정됨) 지마켓이랑 옥션은 년간 흑자 550억정도라더군요
(운영주체가 둘다 이베이코리아라 같이 묶어서 발표하는거 같아요) 작년은 좀 줄어서 480억이라는거 같군요 https://www.mk.co.kr/news/economy/view/2019/04/213596/
19/05/13 20:25
지금 뛰어드는건 기존의 오프라인 유통을 쥐어잡고 있는 신세계, 롯데같은 유통대기업들입니다.
쿠팡이나 11번가같은 오픈마켓은 물류기지와 물류사가 약점인데, 신세계, 롯데는 이마트/롯데마트라는 대형 물류기지가 지역상권마다 존재하는데다가, 물류사들까지 가지고 있거든요.... 이런 오프라인 인프라에 이커머스를 얹겠다는 로드맵입니다. 그래서 최근 각각의 계열사별로 쪼개져있던 인터넷몰들을 통폐합하고 있어요.
19/05/13 19:41
본문에도 나오죠.
단순 코딩 업무를 수행하는 C급 인력은 많지만 (이들은) 딱 잘라서 (더 싸게) 중국 하청도 가능하다. 정말 필요한, 서버 오류 잡아내는 수준인 B급부터는 힘들게 모시는 상황 ㅠㅠ
19/05/13 19:58
(수정됨) 신세계, 롯데, CJ, 현백 등 기존 유통대기업들이 지금 동시다발적으로 이커머스에 뛰어들고 있습니다. 여기서 한발 늦으면 영원히 따라가지 못하는데, 직접 채용해서 성장하기를 기다리기엔 너무 시간이 촉박하죠. 그러니 동시다발적으로 사람을 구하다보니 품귀현상이 나타난것...
19/05/13 22:46
고객 자신이 뭘 원하는지 본인도 몰라서 요구사항이 픽스 되지 않고 수시로 바뀌기 때문에 중국하청은 실패했죠 이미.
중국뿐 아니라 인도 북한까지도 하청 시도했지만 우리나라의 IT 환경과는 맞지 않았습니다. 단순하청을 주려면 고객의 수준부터 높아져야 해요. 문서만 보고 코딩할수 있을만큼. 요구사항 변경은 곧 추가비용이라는 인식도 생겨야 하구요.
19/05/13 20:15
해외 괜찮은 기업에 있는 개발자를3-4억에 빼오긴 쉽지 않을 겁니다. 이미 그쪽에서 잃하고 있으면 3-4억 연봉 이상은 받을 수 있으니까요.
한국에 들어오는 게 매력적이냐라는 질문에는 개발자에서 팀단위로 운용해야 할텐데 그럴러면 단순히 개발자 한명만 들어와야 하는 것이 아니라 개발자 외 한국에 있는 인원이 아니라 적어도 5명 이상의 팀단위로 움직여야 하는데 그게 가능할리 만무하기도 해서요. 단순히 연봉문제이 아닌 그 이상의 문제가 걸려있어서 S급 개발자는 안들어 올겁니다.
19/05/13 21:29
4억이면 웬만한 사람 다 빼올 수 있다 정도는 아니어도
충분히 훌륭한 개발자 뽑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문제는 신세계 롯데 같은 회사에서 4억을 줄 리가 없다는 거죠.
19/05/13 22:24
저기서 말하는 S,A급이 우리가 생각하는 S,A급이랑 다를 거 같습니다.
컴퓨터의 성능을 낭비하지 말라며 기계어로 코딩하는 폰 노이만 정도 되어야 S급인거겠죠.
19/05/13 22:42
한때 3d업종이라고 전공자들도 기피하던 개발시장이?
0.001% 제외하면 현실은 SI 에 개발자 갈아넣고 있죠 여전히. 갖은 갑질에 개발자의 시간은 공짜라고 생각하며 일하는 기계정도로밖에 취급안하는데. 대부분의 현실과 괴리가 크네요..
19/05/13 22:46
S,A급은 아키텍트죠.
한명만 있어도 전체 및 그림이 나오는. 경험상 3~4억을 불러서라도 데리고 오는게 회사입장에서 효율적입니다. 예전 회사에서 지주사 투자 기술자문을 했었는데 자꾸 회사 혹은 회사에 묶인 특허를 살려고 하더라구요 그냥 핵심인력 몇억주고 데려오는게 싸고 유지비도 적게 들고 효율적이라고 수없이 자문해주었으나 말을 잘 안듣더라구요 아무래도 사람은 무형의 자산이다보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