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19/05/06 03:12:39
Name 카발리에로
출처 https://www.twitch.tv/bang
Link #2 뱅울 방송
Subject [LOL] 뱅울프가 트위치에서 풀어놓은 썰 대충 정리.TXT (수정됨)
1. 14년도 마치고 통합팀 되던 시기에 한상용 감독이 자기 영입시도했었다. 그리고 14 SKT T1 S에 폰이 입단테스트 봤었는데 결국 이지훈이 들어옴.

2. 15 MSI 때 준우승하고 팀원들 죄다 울었다. 롤드컵 때 보자고 죄다 이를 갈았었는데 정작 15 롤드컵 때는 스크림에서 프나틱한테 6대0, 5대1 식으로 매번 박살났다. 그래서 스트레스 엄청 많아 받음.

3. 16 시즌은 제일 힘들었던 시즌, 스프링 때 7위할 때는 죄다 선수들 죄다 정신과 다니던 해였다.

4. 16 롤드컵 우승한 건 다시 생각해도 기적.

5. 우지 우지거리길래 진짜 긴장했었는데 16년도에 막상 붙어보니 별로였다. 17, 18년도에 붙었을 때는 진짜 잘하더라.

6. 케스파컵 다시 생각해도 진심 싫다. 롤드컵 마치고 정확히 3일 뒤부터 케스파컵 연습해야 했다. 다른 팀들은 대부분 롤드컵 기간에 푹 쉬었는데 우리는 그런것도 아예 없었다.

7. 17년도 연습량 관련해서, MSI 전부터 시작해서 딱 두달 정도 놀았다. 그것도 MSI 끝나고는 다 아예 내려놓고 논게 아니라 매일 새벽에 3시까지 하던거 1시까지만 하고 쉬는 정도였는데 그거 떄문에 조질줄은......

8. 17년도 트위치 잔나 타워 6분컷은 실제로 스크림에서도 계속 저랬다. 자기들 기준으로는 그게 왜 욕먹을 일인지 아직도 이해불가.

9. 8강전 미스피츠 베인룰루로 트타 레오나한테 달려들었다가 조진 거 울프 오더임. 뱅은 야 이거 절대 못 이긴다고 말했는데 울프가 자신있게 말하길래 싸웠다가 망함.

10. 17년돋 롤드컵 결승 2세트 바루스 앞점멸은 오더 갈린게 맞음. 1세트는 그냥 무난하게 발렸고 2세트의 문제의 용앞 바루스 앞점멸은 나르 텔 보자마자 다들 위로 빠지자빠지자 했는데, 뱅은 점멸 궁 쓰고 나서 그걸 봄. 거기서 박살나고 2세트도 사실상 끝나고, 그 이후로 멘탈 터져서 3세트까지 계속 오더 다 갈림. 특히 3세트는 사실상 이긴 게임이었는데 계속 자잘한거 놓친 거 때문에 결국 역전당한거.

11. 뱅 기준 18 시즌은 개같은 시즌(바텀에 블라디가 오는), 울프는 18시즌은 그래도 행복했다.

12. 18 스프링 플옵 KT전은 다시 생각해봐도 아쉬움. 그때 막 스크림에서 합이 맞아가고 좋아지던 중이었는데 하루 정도만 시간이 더 있었어도 뭔가 달라지지 않았을까...

12. 18 서머랑 선발전은 사실상 선수들 사기가 다 떨어진 상태였음. 아마 선발전에서 삼성 상대로 이겼었더라도 그리핀한테 졌을 것.

13. 다들 이야기 들어보면 해외 나가서 처음에 적응하기 힘들었는데 자기들은 하도 해외를 자주 나가봐서 그런지 오히려 며칠만에 적응이 금방 되더라(뱅울 둘 다)

14. MSI 바텀 비원딜 AP 메타였으면 무조건 G2가 우승했을 것.(울프)





이 외에도 전반적으로 이야기들이 꽤 많았는데 일단 들은 것들 중에 기억나는 건만 몇개 써서 올립니다.

의외였던 건 팬들이 행복했던 순간을 정작 선수들은 잘 기억못한다는게...그만큼 미친듯이 달렸구나 하는 생각도 들고.

17년도 막판에 쓰리핏 말아먹은 건 지금 생각해도 열이 나지만 이야기 들으면 들을수록 얼마나 지친 상태였으면 저랬을까 싶어서 안타깝기도 하고..

뭐 지금은 다들 해외에서 그래도 편하게 생활하고 있는 것 같아서 어느 정도 홀가분하네요. 그냥 적절하게 서로 잘 헤어진 것 같음.

.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수분크림
19/05/06 03:27
수정 아이콘
15프나틱이 스크림 패왕이긴 했나보네요. 괜히 역대 최고의 서양팀이고 롤드컵 우승할거라고 설레바 친게 아닌가보네요 15슼을 스크림에서 저렇게 압도할정도면
19/05/06 04:38
수정 아이콘
저때 최병훈 감독이 현지 도착하고 해외팀들한테 스크림 거의 다졌다는 식으로 이야기 하긴 했죠. 뭔가 아다리가 안맞았는지 좀 헤맸다고... 토너먼트부터는 스크림도 다시 잘된 모양인지 평가가 바뀌는게 있었죠. 조별때는 한국팀들도 프나틱이 우승후보라고 하다가 토너먼트 올라와서는 한국팀이 제일 잘한다고 이야기 했으니...
19/05/06 10:45
수정 아이콘
저때는 라인스왑 메타가 있어서 각 지역마다 초반을 풀어나가는 개념이 조금씩 달랐습니다. 근데 스크림 거치고 까보니 다 유럽식으로 통합되었더랬죠. 결국 메타 싸움에서 유럽이 한수 위였다고 봐야할겁니다. 이게 두드러졌던게 조별리그였는데 저거 적응 못했던 중국팀들의 결과는 정말 처참 그 자체... 반면 메타 흡수하거나 고유한 대처법을 발견한 팀들과 프나틱의 대결을 보면 프나틱이 그다지 독보적인 모습을 보여주지 못했습니다. 물론 조별리그 첫주는 놀다가 얻어터진 감이 없잖아 있지만. 프나틱은 걍 스크림 안해주거나 준비기간이 짧은 MSI 같은 대회였으면 우승 확률이 상당히 높았을거라고 보는데 한국팀에게 뭔가 얻어가려다 자기껄 오히려 흡수당해서 망한 케이스가 아닌가 싶어요.
수분크림
19/05/06 11:48
수정 아이콘
그런 배경이 있었군요.
건강보험증
19/05/06 03:28
수정 아이콘
8은 애초에 라인전 단계에선 트위치 잔나가 이길수가 없는 조합이고 스크림에서도 그렇게 터지는거 겪어서 알고 픽한건데 6분 타워터진걸로 욕먹어서 억울하다 였죠
19/05/06 03:31
수정 아이콘
폰 테스트는 놀랍네요 어쩌면 SKT PawN이 다른 지구에 있었을 수도?
아 근데 그러면 황제훈이 지금처럼 되지 않았겠네요... 참 순간순간의 선택과 엇갈림이란...
박찬호
19/05/06 03:32
수정 아이콘
바텀 비원딜AP메타였으면 한국진출팀이 달라졌을지도...
아마데
19/05/06 03:51
수정 아이콘
15 프나틱은 그만큼 강력했기에 충격도 더 심했던거겠죠

역대 최강의 유럽팀인데 유럽팀 학살자를 만남...
강슬기
19/05/06 04:03
수정 아이콘
상혁이 울던거 생각나면 진짜 피가 거꾸로 솟을때가 있었는데 지금 생각해보면 3년동안 얼마나 힘들었을지 상상이 안가긴 합니다 1년 단위로 쉬는기간이 일주일도 안되는데 그런 압박감에서 산다는게 말이 안되는거죠 정신과를 그렇게 왔다갔다 했다는데 미쳐버리지 않은게 다행인거라..
강슬기
19/05/06 04:06
수정 아이콘
그리고 진짜 케스파컵은 왜하는지 이해가 좀...
19/05/06 05:14
수정 아이콘
보통 11월 초에 시즌이 끝나고 1월 중순에 스프링 스플릿이 시작합니다.
이제는 12월 중순~말에 열면서 확실히 오프시즌 행사로 자리잡긴 했습니다.
팀 입장에서도 바뀐 팀의 실전 경험을 보장해주는 몇 안되는 기회입니다.
오리아나
19/05/06 05:56
수정 아이콘
롤드컵 진출 팀 빼면 몇 달이나 아무 경기도 없는걸요.
19/05/06 06:31
수정 아이콘
지금 케스파컵은 시기적으로 괜찮습니다. 정규시즌 시작 전 메타 파악 및 팀 상태 점검 기회도 되구요.
2015년 케스파컵은 일정이 심각했던게 롤드컵 끝나고 3일인가 뒤에 시작했죠. 저때 저랬던 이유는 iem 롤 대회가 아직 있을 때라 12월에 iem 지역대회가 예정되어 있어서 케스파컵을 11월에 열 수 밖에 없었죠.
iem에서 롤 빠진 이후부터 케스파컵이 일정도 괜찮아지고 대회로서 의미를 가지기 시작했죠.
anddddna
19/05/06 08:26
수정 아이콘
신인들 등용문이기도 하니까요
Faker Senpai
19/05/06 09:18
수정 아이콘
하는건 이해가 되는데 막 롤드컵 끝낸(우승한)팀은 빼주는게 맞다고 봐요.
바다표범
19/05/06 12:05
수정 아이콘
엣날에 일정이 문제였던건지 올해만 해도 적절하게 리빌딩한 팀들 테스트하고 첫 선을 보이는 장이 되서 괜찮았죠. 그리고 케스파컵은 중국으로 치면 데마시아컵같은 대회인데 2군으로 뛰어도 아무 상관없는 대회죠.
곧내려갈게요
19/05/06 06:29
수정 아이콘
늘 생각하는건데, MSI나 롤드컵은 상위 입상할수록 다음 시즌 준비가 너무 힘들어져요. 롤드컵 상위 입상하면 케스파컵 좀 건너 뛸 권리를 선수에게 줘야하지 않나 싶습니다. 쓰리핏 도전할때 SKT 일정은 진짜 말도 안되는 수준이였어요. 선수들 노조 결성해서 휴식보장 시위 벌여할 수준이였는데...
The Special One
19/05/06 08:43
수정 아이콘
팀적으로 2군 출전시킬수도 있는거죠. 실제로 이번 중국도 그러지 않았나요?
19/05/06 09:34
수정 아이콘
플옵 방식 때문에 lck는 1패가 lpl보다 손해가 훨씬 큽니다. 밴픽으로도 오만하다는 말을 하는데 2군 내보냈다간 승부조작급으로 매장당할 걸요.
곧내려갈게요
19/05/06 10:47
수정 아이콘
좀 그래야 할텐데 도통 그러질 않죠. 롤챔스에 2군은 커녕 케스파컵도 정예로 나가는데...
바다표범
19/05/06 12:11
수정 아이콘
팀에서 주전들 휴식줘야한다고 생각하면 케스파컵은 그냥 2군 뛰어도 되는 대회입니다. 주전 내보내는건 그냥 팀 판단이에요.
곧내려갈게요
19/05/06 12:29
수정 아이콘
케스파컵 얘기는 당연히 전적으로 팀 판단에 대한 얘기죠. 케스파컵 때 그래도 연습은 좀 하고 나가야하지 않겠니 라는 말에 힘이 쭉 빠졌다고 말하는 영상이 기억이 납니다. 울프였나 뱅이였나.
NorthBank
19/05/06 06:38
수정 아이콘
14번은 완전 반대인데..선수들 발언 따는 건 신중히 해주셨음 하네요
오프시즌에만 좀더 자유롭고 시즌중 연습량과 스트레스는 어디나 비슷하다고 했는데
19/05/06 07:26
수정 아이콘
북미가 진짜 얼마나 자유로운가 몇번 얘기가 나온걸로 기억하는데 지금은 또 아닌가보군요 역시 프로의 세계는 치열한듯
카발리에로
19/05/06 08:10
수정 아이콘
오프 시즌 이야기였나요. 지금 보고 혹시나 논란 될거 같아 해당 부분 바로 지웠습니다.
내일은해가뜬다
19/05/06 07:21
수정 아이콘
14번 사실 맞나요???? 제가 들은거랑 왜 다른내용인지..
anddddna
19/05/06 08:27
수정 아이콘
이지훈이 진짜 라인전 쌔고 실수 없이 안정적이죠
카발리에로
19/05/06 08:30
수정 아이콘
윗분 말로는 오프 시즌 쪽 이야기였다는데 가만 두면 선수 본인에게 악영향을 줄 수 있는 항목 같아서 그낭 삭제했습니다. 죄송합니다.
다크템플러
19/05/06 09:24
수정 아이콘
저런 프나틱을 보고도 SKT 대 KOO 결승예측을 조별부터 했던 승빈좌 당신은 대체...????
코우사카 호노카
19/05/06 10:31
수정 아이콘
8번 저떄 이곳저곳에서 쉴드 많이 쳤는데 아직도 이해안됨..
오안오취온사성제
19/05/06 10:39
수정 아이콘
케스파컵도 연습했군요. Epl로 따지면 리그컵정도 되는 것 같은데.. 그냥 쉬지..
카르타고
19/05/06 11:51
수정 아이콘
패치가 아예 달라져서 연습을 안하고 나갈수는 없지요
19/05/06 11:20
수정 아이콘
트위치 잔나는 과정의 차이가 있었지만 결과적으로 우지밍이 뱅울프보다 훨씬 잘 버티던 모습을 보여준 것 때문에 더 논란이 된 것도 있었던 것 같네요. 제 기억이 맞다면....
19/05/06 11:29
수정 아이콘
울프는 1년을 통으로 날렸으니 터키에서 준우승이라도 한게 용하다 싶고 올해는 폼 다잡는해로 정하고 내년부터 승부보면 잘될수도 있겠다 싶은데 뱅은 스스로 어느정도 마음을 비운것 같더라구요. 최근 인터뷰보니까 자기가 많이 가르쳐주고 있고 코치도 가능성있다는거 보면 커리어,돈은 이미 최상으로 쌓아놨으니 마음 편하게 본인 하고 싶은대로 하는것 같습니다. 다만 그렇다해도 스프링은 너무 못하긴 했어요. 최소한의 폼을 보여주고 그렇게 말해야지...
책 읽어주세요
19/05/06 11:45
수정 아이콘
그때 힘든거 다 알았으니까 이제 일정 얘기좀 그만해..
보상 못받은것도 아니고
너 3시즌째 돈값 못하고 있어. 흑흑
Bemanner
19/05/06 12:10
수정 아이콘
트위치 잔나는 그 시절 비슷한 조합이 숱하게 유행하던 시기에 유독 뱅울프가 타워를 빨리 내주고
심지어 RNG-G2 경기 같은 경우 거의 유사한 밴픽 구도에서 우지밍이 9분 버티던 거랑 대비되서 그렇죠
cluefake
19/05/06 12:12
수정 아이콘
그냥 지금 생각해보면 우지 밍이 대단한 것이 아니었을까 싶습니다.. 룰러 코장도 맞대결 털렸죠.
바다표범
19/05/06 12:13
수정 아이콘
결국 지나서 알고보니 우지밍이 라인전 한정은 세체봇이었던걸로...
졸려죽겠어
19/05/06 12:55
수정 아이콘
한상용 감독이 원딜 보는 눈은 확실한거 같네요
lonelydragon
19/05/06 13:14
수정 아이콘
10인 로스터가 이럴때 쓰라고 생긴거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52118 [유머] 봉준호 영화, 기생충이 불안한 이유 [33] 파랑파랑13019 19/05/06 13019
352117 [유머] [노스포] 어벤저스 성대모사 [1] 바둑아위험해6640 19/05/06 6640
352115 [유머] 오늘자 에버랜드 근황 [17] 파랑파랑13374 19/05/06 13374
352114 [유머] 난리난 해병대 가혹행위 근황 [88] 파랑파랑16982 19/05/06 16982
352113 [유머] 40대 팬한테 반말하는 연예인이 유머.jpg [26] Synopsis13642 19/05/06 13642
352110 [유머] 디스캣 조각모음 [5] 파랑파랑9105 19/05/06 9105
352109 [기타] 오마이 뉴스 근황.jpg [19] 삭제됨11239 19/05/06 11239
352107 [유머] 원주율이 100만자리까지 실린 책.jpg [29] TWICE쯔위19380 19/05/06 19380
352106 [게임] 삼탈워 권장사양 [26] 톰슨가젤연탄구이12122 19/05/06 12122
352105 [기타] 엄복동이 남긴것 [17] 톰슨가젤연탄구이11098 19/05/06 11098
352104 [기타] (음성지원) xx방위대!! [3] 카미트리아5540 19/05/06 5540
352103 [유머] 눈치게임 대실패.jpg [27] TWICE쯔위12897 19/05/06 12897
352102 [유머] 제 완장이 바로 그 증거입니다.jpg [16] TWICE쯔위13522 19/05/06 13522
352101 [유머] 확실하게 오타쿠로 보이는 패션.jpg [17] 로즈 티코11377 19/05/06 11377
352100 [유머] 오타쿠로 안보이는 패션.jpg [13] 삭제됨12012 19/05/06 12012
352099 [서브컬쳐] [엔드게임 스포] Welcome.. [4] 스위치 메이커7767 19/05/06 7767
352098 [유머] 박유천 갤러리 근황 [9] swear12447 19/05/06 12447
352097 [기타] 한국인 1인당 연간 마늘 소비량 [51] swear13153 19/05/06 13153
352096 [유머] 피지알러의 여름 휴가.JPG [11] 비타에듀10958 19/05/06 10958
352095 [기타] [노스포] 명탐정 피카츄 주의사항 [10] 옥토패스7923 19/05/06 7923
352094 [유머] 배우가 괴한의 습격으로 죽어 무산이 된 대작영화 [19] 카루오스12479 19/05/06 12479
352093 [유머] 말 잘듣는 마왕님 [23] 카루오스10376 19/05/06 10376
352092 [유머] (스포)마블 최고의 인트로씬 [13] 길갈11248 19/05/06 1124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