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19/04/30 22:28:28
Name 홍승식
출처 더쿠
Subject [유머] 세계 각국의 최초 지하철 개통 연도.txt
1890
영국 런던 (London Underground)- 최초의 지하철

1896
헝가리 부다페스트 (Budapest Metro) - 당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1897
미국 시카고 (Chicago "L")

1900
프랑스 파리 (Paris Métro)

1902
독일 베를린 (Berlin U-Bahn)

1904
그리스 아테네 (Athens Metro)

1913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Buenos Aires Underground)

1919
스페인 마드리드 (Madrid Metro)

1927
일본 도쿄 - 도쿄 메트로 (Tokyo Metro)

1935
러시아 모스크바 (Moscow Metro) - 당시 소련

1950
스웨덴 스톡홀름 (Stockholm Metro)

1954
캐나다 토론토 (Toronto subway)

1955
이탈리아 로마 (Rome Metro)

1959
포르투갈 리스본 (Lisbon Metro)

1960
우크라이나 키예프 (Kiev Metro) - 당시 소련

1966
조지아 트빌리시 (Tbilisi Metro) - 당시 소련
노르웨이 오슬로 (Oslo Metro)

1967
아제르바이잔 바쿠 (Baku Metro) - 당시 소련

1968
네덜란드 로테르담 (Rotterdam Metro)

1969
멕시코 멕시코시티 (Mexico City Metro)

1971
중국 베이징 (Beijing Subway)

1973
북한 평양 (Pyongyang Metro)

1974
체코 프라하 (Prague Metro) - 당시 체코슬로바키아
대한민국 서울 (Seoul Metropolitan Subway)
브라질 상파울루 (São Paulo Metro)

1975
칠레 산티아고 (Santiago Metro)

1976
오스트리아 빈 (Vienna U-Bahn)
벨기에 브뤼셀 (Brussels Metro)

1977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Tashkent Metro) - 당시 소련

1979
루마니아 부쿠레슈티 (Bucharest Metro)

1981
아르메니아 예레반 (Yerevan Metro) - 당시 소련

1982
핀란드 헬싱키 (Helsinki Metro)

1983
베네수엘라 카라카스 (Caracas Metro, Los Teques Metro)

1984
인도 콜카타 (Kolkata Metro)
벨라루스 민스크 (Minsk Metro) - 당시 소련
필리핀 마닐라 (Manila Light Rail Transit System)

1987
이집트 카이로 (Cairo Metro)
싱가포르 싱가포르 (Mass Rapid Transit)

1989
터키 이스탄불 (Istanbul Metro)

1995
폴란드 바르샤바 (Warsaw Metro)
콜롬비아 메데인 (Medellín Metro)

1996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Rapid KL)
대만 타이베이 (Taipei Metro)

1998
불가리아 소피아 (Sofia Metro)

1999
태국 방콕 (BTS Skytrain)
이란 테헤란 (Tehran Metro)

2002
덴마크 코펜하겐 (Copenhagen Metro)

2008
스위스 로잔 (Lausanne Metro)

2009
도미니카 공화국 산토도밍고 (Santo Domingo Metro)
아랍에미리트 두바이 (Dubai Metro)

2010
사우디아라비아 메카 (Al Mashaaer Al Mugaddassah Metro Southern Line)

2011
페루 리마 (Lima Metro)
알제리 알제 (Algiers Metro)
카자흐스탄 알마티 (Almaty Metro)

2014
파나마 파나마시티 (Panama Metro)

2019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Jakarta Mass Rapid Transit)

공사 중 (연도는 개통 예정)
호주 시드니 (Sydney Metro) - 2019
에콰도르 키토 (Quito Merto) - 2019
파키스탄 라호레 (Lahore Metro) - 2019
카타르 도하 (Doha Metro) - 2019
베트남 하노이 (Hanoi Metro) - 2019
방글라데시 다카 (Dhaka Metro) - 2021
코트디부아르 아비장 (Abidjan Metro) - 2022/23
나이지리아 라고스 (Lagos Rail Mass Transit) -2022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9/04/30 22:34
수정 아이콘
스위스 최대 도시는 취리히인데 지하철은 로잔에 있네요! 신기
19/04/30 22:34
수정 아이콘
?? 시드니에 지하철 없어요?

방콕은 가봐서 알지만 지하철 이름이 BTS....

BTS말고 또 비슷한거 하나 더 있었던거 같은데 기억이 안나네요
19/04/30 22:36
수정 아이콘
MRT? 였나요
페르세포네
19/05/01 07:59
수정 아이콘
MRT는 마닐라 아닌가요??
19/04/30 22:38
수정 아이콘
런던 지하철은 오피셜 1863입니다.
제가 2013년에 갔는데 150주년이라고 엄청 홍보하더군요 크크
19/04/30 22:39
수정 아이콘
와 진심 1863이면 뭐 조선은 흥선대원군 아닙니까? 크크 철종인가 ㅡㅡ;
휴먼히읗체
19/04/30 23:10
수정 아이콘
둘 다 1863인데 런던 지하철은 1월 고종 즉위는 12월이네요 지하철이 더 빨랐던걸로..크크
19/04/30 22:42
수정 아이콘
평양이 서울보다 빨랐군요;;
하심군
19/04/30 23:01
수정 아이콘
지나가는 이야기로 들어서 거의 70%확률로 틀린 이야기이겠지만 저것 때문에 빡쳐서 서울 지하철을 최대한 땡겼다는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는데...
한국화약주식회사
19/04/30 23:57
수정 아이콘
한때 이 사실을 말하면 국보법 위반이였습니다 크크
교자만두
19/04/30 22:46
수정 아이콘
영국은 진짜 언빌리버블함.. 소키울때 땅뚫음..
하심군
19/04/30 22:58
수정 아이콘
아테네가 의외긴 하네요. 남미의 경우에는 의외로 1910~45년정도가 전성기라고 들어서 그럴수도 있겠다 싶은데 아테네면 1차세계대전 전후로 시달리던 시절로 아는데...
19/04/30 23:01
수정 아이콘
1890년이면 우리나라는 방곡령 떄문에 농민들 죽창들고 다니던 시기 아닌가요?....
문명차이가 이렇게 심했다니 ㅠㅠ
하심군
19/04/30 23:05
수정 아이콘
레드데드리뎀션2 배경이 1899년이란걸 생각해보시면 좀 도움이 될 것 같고 댓글에 있는 런던 오피셜로 볼 때는 남북전쟁 발발 2년후에 런던지하철이 생긴겁니다.
19/04/30 23:10
수정 아이콘
1860년대면 어...김정호가 대동여지도 만들어서 출판했을 쯤인데....ㅠㅠ
지구 반대편에선 땅 뚫고 다녔군요 크크크
휴먼히읗체
19/04/30 23:12
수정 아이콘
예전에 피지알 유게에서 봤는데 템즈강 아래를 관통하는 터널이 1843년 완공이더라구요 진짜 놀람
19/04/30 23:18
수정 아이콘
예전에 NGC 채널에서 템즈강 뚫는거 봤네요 크크크
쉴드공법인가 뭔가로 뚫었었다고 하던데 크크크
저 당시에 조선은 세도정치하던 시절이네요 크크크
하심군
19/04/30 23:13
수정 아이콘
(수정됨) 오히려 김정호가 그렇게 최근 인물이라는 게 좀 놀랍네요. 역시 역사공부 할때는 연도 꼽아놓고 지구본 굴려보는게 개꿀맛...

....그건 그렇고 진짜 연도 지정한담에 구글어스 식으로 어디에 무슨 사건 일어났다는 데이터베이스 같은거 없을까요.
19/04/30 23:24
수정 아이콘
자 이제 만들어주세요
19/05/01 10:57
수정 아이콘
사건과 연도는 위키에 잘 있고.. 누군가 잘 파싱해서 좌표를 잘 붙여주면 됩니다?
좌표는 일부는 자동으로 붙일수 있을거 같네요. 물론 그때 지명과 지금 지명이 같지 않아서 일부만 가능하겠지만요.
음.. 제가 여기까지 알려줬으니 만드시는 분은 저에게 고마워하시면 됩니다(?)
초보저그
19/04/30 23:08
수정 아이콘
뉴욕은 왜 없나해서 찾아봤더니 1904년이군요.
다람쥐룰루
19/04/30 23:20
수정 아이콘
북한이 우리나라보다 1년 빨랐네요...
신기하네요...일부러 빨리개통했나?
한국화약주식회사
19/04/30 23:57
수정 아이콘
북한이 지하철에 적극적이였던 이유가 한국전쟁때 평양에 남은건 초가집 한 채 뿐일 정도로 얻어맞아서 유사시에는 대피용으로 쓸 수 있는 지하철을 만들었죠. 물론 새력과시도 있고...

근데 북한 지하철 공사 난이도 생각해보면 그냥 그 당시 북한이 잘 살았던 거에요. 지하 100m에 파고 평양 지하에 수맥이랑 암반이 너무 많아서 공사 난이도가 엄청났는데도 개통을 했으니...
다람쥐룰루
19/05/01 00:02
수정 아이콘
베이징 개통시기를 보니까 중국의 도움은 아닌듯 하고 소련이 도와줬나 싶긴 합니다만 아무튼 대단하네요
한국화약주식회사
19/05/01 00:10
수정 아이콘
기술은 소련 객차는 동독이랑 체코 뭐 여러군데서 받아왔습니다 저땐 공산주의 나라들간의 물자이동이 원활했으니까요. 중국은 왕따였고...
세츠나
19/05/01 03:29
수정 아이콘
어릴땐 잘 몰랐는데 북한이 더 잘살았던 시기가 생각보다 길었더군요. 정확하게는 모르지만 저 때가 한참 남쪽이 거의 따라잡거나 역전하려던 시기였을 겁니다.
metaljet
19/04/30 23:37
수정 아이콘
규모가 너무 쩌리긴 한데 (역 2개 짜리 500m 구간) 터키 이스탄불도 최초 개통은 1875년으로 올라갑니다.
에밀리아클라크
19/04/30 23:45
수정 아이콘
시드니 노선 길게 하나 빼고있던데 그걸 써놓은걸까요? 지하철 잘만 타고 다녔는데...
파랑파랑
19/05/01 00:53
수정 아이콘
1890년 개통 실화냐..
Misaki Mei
19/05/01 01:07
수정 아이콘
댓글에서도 여러 분이 말씀하셨지만, 런던 지하철 개통일은 1863년 1월 10일이기 때문에 1890년은 실화가 아니기는 합니다. 본문의 1890년 이야기가 왜 나온 건지 지금 따로 찾아보는 중인데, 글 작성자님께서 남런던 철도가 개통되어 런던 지하철이 확장된 1890년을 런던 지하철 최초 개통일로 착각하신 게 아닐까 추측되네요.
파랑파랑
19/05/01 01:14
수정 아이콘
1863이면 더 대단한데요.. 흥선대원군 시절 -_-;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01761 [기타]  사우디에서 처음으로 등재된 세계 문화유산.jpg [28] TWICE쯔위12866 20/10/25 12866
400799 [기타] 한국이었으면 방산비리 [6] 판을흔들어라10494 20/10/16 10494
393525 [기타] 세계 시가총액 1위는...? [19] Binch10993 20/08/01 10993
383853 [스포츠] EPL 뉴캐슬 구단주의 재산 [46] 키류11104 20/04/23 11104
381807 [기타] (주식주의) 원유 WTI 레버리지 현재 상황 [34] HesBlUe9176 20/04/02 9176
380350 [기타] 사우디 "유가 10달러대 간다" [28] 파랑파랑8766 20/03/19 8766
379366 [유머] 이번 원유 선물 사태 체감짤방.jpg [71] 김유라16721 20/03/09 16721
379337 [기타] 포풍같은 외교관계 [12] Lord Be Goja12109 20/03/09 12109
379323 [기타] 원유 근황 [15] 불행8461 20/03/09 8461
373578 [기타] ???: 아 이건 좀;; [5] 크레토스6754 20/01/07 6754
373468 [기타] 초한지식 외교 [30] 크레토스10901 20/01/06 10901
368351 [유머] 사우디 사막의 위엄 [8] 길갈10924 19/11/06 10924
368211 [유머] 주식계를 흔들 거대기업 상장 [14] 카루오스10541 19/11/05 10541
351650 [유머] 세계 각국의 최초 지하철 개통 연도.txt [31] 홍승식13146 19/04/30 13146
344888 [기타] 전세계 국방력 순위.jpg [31] 매일푸쉬업15029 19/02/03 15029
339217 [기타] 사우디 근황.news [18] 삭제됨10811 18/11/16 10811
335150 [스포츠] 총체적 난국.gfy [22] 손금불산입11722 18/09/24 11722
329130 [스포츠] 월드컵 위기의...나라들...구원할..유일한 희망의 한 남자 시리즈 [9] 드문15942 18/06/17 15942
325360 [유머] 사우디 왕자와 80마리의 매 [24] 인간흑인대머리남캐11529 18/04/09 11529
321850 [기타] 세계 국력 지도 [56] swear14033 18/02/14 14033
321113 [기타] 건물 높이가 유머 [21] 인간흑인대머리남캐8888 18/02/04 8888
316879 [유머] (알쓸건모) 알아두면 쓸데없는 건배사 모음 [36] 한박27339 17/11/24 27339
315760 [유머] 사우디 왕족들이 갇힌 감옥사진 [11] 내일은해가뜬다13625 17/11/07 1362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