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19/04/02 16:52:02
Name swear
File #1 7C0F570A_A4BA_43DE_A00C_88D794540358.jpeg (158.6 KB), Download : 26
출처 에펨코리아
Subject [기타] 지금 당장 치약칫솔을 살 돈이 없는가?


가난에는 이자가 붙는다라..참 슬픈 말이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그러지말자
19/04/02 16:57
수정 아이콘
지금 당장 여자친구가 없는가?
세츠나
19/04/02 16:58
수정 아이콘
계속 없을테니 이자는 안붙을 듯
우리는 하나의 빛
19/04/02 17:18
수정 아이콘
그럼 내년에 결혼을 하지않아도 된다
19/04/02 17:53
수정 아이콘
-가 생기지 않는기적
IZONE김채원
19/04/02 18:04
수정 아이콘
노후가 보장되었군
미나연
19/04/02 17:00
수정 아이콘
이건 너무 오바라서 안 와닿아요; 제트기 있는 사람이 극소수인데... 이건희 이재용도 제트기는 없지 않나요? 칫솔 치약 없고, 척추수술 유발할 매트리스 쓰는 사람도 소수일 거 같은데...

적당히 비교를 해야지 어디 아랍왕족이나 미국 대형팝스타급 부자랑 기초생활수급도 안되는 사람을 비교해놓으니... 우린 대부분 그 중간 어디쯤이고 적당한 침대나 바닥에서 자면서 칫솔질하며 살잖아요.

암 정도나 이해가 가면 모를까..
19/04/02 17:02
수정 아이콘
경제적 여유가 없는 사람들은 건강검진 받기가 힘들죠. 결국 병을 키우고요. 치과 생각해보시면 이해가 되실거에요. 당장 신경치료하고 크라운 할 돈이 없다고 미뤄서 나중에 결국 임플란트 하고, 그마저도 미루다가 뼈이식하고 임플란트 해야하고. 가난에 이자가 붙는다는 말 자체는 공감합니다.
사업드래군
19/04/02 17:08
수정 아이콘
맨 아래는 미국식 의료를 생각하면 저런 결론이 나올 수도 있을 것 같네요.

심지어 벌어진 상처를 병원에 가서 봉합하면 너무 비싸니까 직접 봉합하는 키트를 월마트에서 파는 나라이니. 우리나라는 본인부담금 몇 천원 ~ 만원대에서 해결 가능한 나라고요.

웬만한 조직검사비 본인부담금이 10만원도 안 하는 우리나라에서는 전혀 와 닿지 않는 얘기지요.
jjohny=쿠마
19/04/02 17:14
수정 아이콘
저는 와닿는 게, 실제로 이렇게 가난이 이자가 붙는 케이스가 제 주변에도 몇 있습니다.
("치약 칫솔을 살 돈이 없는" 심각하게 가난한 케이스가 아니어도요)

본문은 비유를 단순화해서 과장돼 보이지만, 막상 현실에서 이런 악순환을 찾아볼 수 없는 건 아닙니다.
박찬호
19/04/02 17:10
수정 아이콘
팝스타가 있는 전용기 이건희가 없겠습니까?
jjohny=쿠마
19/04/02 17:16
수정 아이콘
두 개의 글이 한 사람에 의해/연속적으로 쓰여진 게 아니니 "미국 대형팝스타급 부자랑 기초생활수급도 안되는 사람을 비교해놓"았다는 지적은 다소 불필요한 것 같고...

두 개의 글은 각각 시사하는 바가 충분히 일리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 시사하는 바가 어떠한 비슷한 맥락을 가지고 있는 만큼, 두 개의 글이 붙어서 전달된 것도 딱히 무리는 아니라고 생각하구요. (두 개의 글의 사례를 동일선에서 비교하는 게 아니라...)
MissNothing
19/04/02 17:27
수정 아이콘
극단적인 예죠;; 그냥 운전기사 딸린 자가용 정도로 생각합시다
티모대위
19/04/02 17:34
수정 아이콘
그래도 리무진 +운전기사 있는 사람의 시간과 우리 시간은 다르긴해요. 그사람들은 운전기사에게 운전 맡겨둔채 자갈돌 밟아도 안흔들리는 차 타고 일하면서 이동하거든요.
척추수술 메트릭스까진 아니어도 여유 없어서 검진 못받다가 병 키우는 일은 주변에 정말 많아요
저격수
19/04/02 20:15
수정 아이콘
이게 이해가 안 되기 시작하시면 내일부터 자전거로 출퇴근해보세요.
19/04/03 02:06
수정 아이콘
비유가 극단적이긴 하지만, 전반적으로 틀린말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19/04/02 17:00
수정 아이콘
정말 가난한 사람들에겐 맞는 말이죠.. 먹고 살 만은 한데 여유있게 돈을 쓰면서 가난하다고 남탓해대는 사람들이 문제지..
쿠키루키
19/04/02 17:05
수정 아이콘
단순하게 출퇴근을 자기차와 대중교통만 비교해도 상황에 따라서 남는 시간 차이가 엄청 크죠.
복슬이남친동동이
19/04/02 17:10
수정 아이콘
서울 기준으로는 출퇴근에 있어서 자차 이후랑 이전이랑 시간차이는 거의 없는데, (다른 지역은 상당히 차이날 것 같기도) 편의성이라던가 어디 한 번 찍고 가고 싶을 때의 차이는 정말 크더라고요. 똑같이 밖에 있어도 진이 덜 빠지고.
19/04/02 17:17
수정 아이콘
서울 내 회사 밀집지역으로 출퇴근할 경우 자차가 오히려 시간이 더 걸립니다... 차 갖고 출근할 일 있으면 평소보다 30+분 이상 일찍 나와요
프리군
19/04/02 18:10
수정 아이콘
이건 집으로 바로 이해되죠.

돈 많으면 회사 가까운곳, 돈 없으면 점점 외곽으로 빠지죠.
feel the fate
19/04/02 19:45
수정 아이콘
서울 복판 근무자로서 출퇴근 시간이야말로 내 차를 집어던지고 싶습니다... 출퇴근 아닐때 자차의 빛을 발하죠
강미나
19/04/02 23:44
수정 아이콘
문제는 서울수도권은 해당이 안되는데 거기 사는 사람이 2천만이라는 거.... 차 아파트 주차장에 박아두고 시동 한 번 안켠지 보름 됐네요.
19/04/02 17:09
수정 아이콘
극단적인 비유는 이해는 쉬워도 공감은 하기가 힘들더군요. 그래도 요지는 동의합니다.
상위 1%랑 하위 1%끼리 비교해야만 이게 맞는 소린건 아니죠 뭐.
애초에 똑같이 '일'이라는 같은 단어로 지칭된다고 해도 일 안 해도 살수있는 사람의 일과 그렇지 않은 사람의 일이 똑같이 일이겠어요.
누군가에게는 자아실현에 쓰이는 시간이고 누군가에게는 버리는 시간인것을..
겨울삼각형
19/04/02 17:10
수정 아이콘
당장 오늘 출근할때

걸어서 30분갈것인가 택시타고 5분만에 갈것인가 에서 부터

25분 더 잘수 있는 기회비용을 날린겁니다
서순이 이상하다구요???
뚜루루루루루쨘~
19/04/02 17:17
수정 아이콘
공감합니다.
창조신
19/04/02 17:19
수정 아이콘
비교가 좀 빡세긴 해도 논지는 동감합니다. 실제로 우리도 몇천원 덜 내고 2,3시간 고생해서 마트에서 장보는것 보다, 이삼천원 돈 더내고 배송, 배달 시키는거 많잖아요. 우리는 이삼천원이 아까운 사람보다 일주일에 두 세시간을 더 사는것과 마찬가지죠.

아랫글 가난이야기도 가난할 수록 돈이 없어서 건강에 좋지 않은 인스턴트 식품 먹고 성인병걸리지만 부자인사람은 유기농 식품먹고 더 건강해지죠.
지나가다...
19/04/02 17:20
수정 아이콘
굳이 제트기 비유에 집중할 필요 없이 그 다음 이야기만 봐도 확 와닿는게, 저도 자취할 때 비슷한 생각을 했었거든요.
아래는 돈이 돈을 번다는 말의 절망편이라고 생각합니다.
지나가다...
19/04/02 17:22
수정 아이콘
사실 피지알에 와서 이 글을 보고 댓글을 다는 시간에 일을 해야 하는데...( '-')
티모대위
19/04/02 17:35
수정 아이콘
사실 여기서 댓글 다는분들의 대부분은... 그 시간에 일을 더 한다고 해도 회사에서 돈을 더 줄리가 없으니 피쟐을 하는 것...ㅠ
다레니안
19/04/02 17:21
수정 아이콘
같은 시간을 노동해도 버는 돈이 다르고 자연쓰레 쓰는 양이 달라지죠.
19/04/02 17:26
수정 아이콘
가난에도 이자가 붙고 부유에도 이자가 붙죠.
19/04/02 17:31
수정 아이콘
가난에는 빚이라는 이자가 붙고, 부유에는 부라는 이자가 붙고 ㅠㅠ
Zoya Yaschenko
19/04/02 17:37
수정 아이콘
건강검진 비용이 엄청나게 부담스럽다는걸 부자들은 알기 힘들죠
SkinnerRules
19/04/02 17:45
수정 아이콘
요즘 지인들에게 항상 하는 말이 더 늦게전에 매년 부모님 건강검진 해 드려라입니다.
근데 그것도 쉽지 않아요. 아랫돌 빼서 윗돌 괴는 느낌으로 기회비용처럼 날아갑니다.
19/04/02 17:45
수정 아이콘
당장 돈이 있냐 없냐, 외모가 빼어나냐 아니냐, 힘이 쎄냐 약하냐, 주변 환경이 어떠한가 등등 이런 것들이 다 24시간이 차이나게 하는 요소들인데,
그런걸로 불공평하다고 따져봐야 아무 소용도 없는 법,
차이는 인정하고, 그 차이가 발생하는 과정을 공정하게 만들어가는게 바람직한 사회가 되는 길이겠지요.
러블세가족
19/04/02 17:54
수정 아이콘
극단적이긴 하지만, 가난에 이자가 붙어서 극복하기 힘든 건 맞죠.
유리한
19/04/02 18:17
수정 아이콘
제일 크게 차이나는건 집이죠.
월세가 제일 비쌉니다.
유진바보
19/04/02 18:28
수정 아이콘
제트기를 타고 다니면, 상대성이론에 의해 시간이 느리게 갈..
Faker Senpai
19/04/02 19:01
수정 아이콘
개인 비서가 이뻐서 빨리 갈겁니다.
스트라스부르
19/04/02 19:05
수정 아이콘
아래는 인정
위에는 노인정

말 뜻에는 공감하는데
위에건 비유가 비약이 심한듯 하고
아래건 공감되네요.
이스케이핀
19/04/02 19:37
수정 아이콘
김영감! 뭐해!! 언능 안두고!
하우두유두
19/04/02 19:11
수정 아이콘
전액학자금으로 시작하는 친구랑 부모의 도움으로 결혼할때 집한채 받고 시작하는 친구를 생각해보세요
19/04/02 21:04
수정 아이콘
전액 학자금 대출로 시작해서 결혼할 때 아내가 집을 해온다면 성공!
저격수
19/04/02 20:15
수정 아이콘
가난에도 이자가 붙고 부에도 이자가 붙어요. 아 잘생기고 싶다.
19/04/02 20:27
수정 아이콘
바닥에서자면 척추가 안좋나요???
강미나
19/04/02 23:41
수정 아이콘
저도 바닥에서 30년 잤는데 전혀 모르겠습니다. 아마 저 글쓴 분은 요도 안깔고 잔 게 아닐까 싶네요.
카페알파
19/04/02 23:52
수정 아이콘
저기 나온 말은 '매트리스가 아닌 바닥에서 자는' 라는 의미가 아니라 '헌 매트리스에서 자는' 이라는 의미일 겁니다. 당연히 헌 매트리스나 낡은 매트리스에서 자면 허리에 좋지 않습니다.
19/04/03 02:09
수정 아이콘
싸구려 메트리스 보다는 바닥이 낫다고 알고 있습니다.
19/04/03 02:09
수정 아이콘
이런 극단적인 예 말고도 많죠.
아침저녁 아이 어린이집 맞기면서 맞벌이 하는 엄마와, 아빠 벌이가 충분해서 전업주부하는 엄마가 낮에 아이 어린이집 맞기는 경우의
엄마로서의 삶만 비교해봐도 답은 나옵니다.
19/04/03 02:56
수정 아이콘
본문은 서양기준이지만 우리나라에서 몇년 전까지만해도 의료보험 적용 안되서 저소득 노인분들 틀니 문제로 뉴스도 나오고 그랬고 찾아보면 저런식의 사례들 좀 나올텐데 과장된 예시는 아닌거 같습니다.
19/04/03 04:19
수정 아이콘
아래도 첫부분 번역이 과장이 있네요. Root Canal은 신경치료지 임플란트가 아니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49245 [기타] 지금 당장 치약칫솔을 살 돈이 없는가? [51] swear11702 19/04/02 11702
346567 [유머] 가난할수록 쓰레기를 먹는다 [54] 아이즈원12992 19/02/28 12992
345734 [텍스트] 조선시대 숙종과 송편 [24] 한이연10263 19/02/16 10263
345374 [기타] 인터넷 검열에 대항하는 구글 어플 [23] 요플레마싯어13323 19/02/11 13323
345245 [기타] 프랑스 국민들이 뽑은 위대한 프랑스인 TOP20.TXT [35] 비타에듀9955 19/02/09 9955
340591 [동물&귀욤] 컴퓨터 시디롬이 신기한 고양이.gif [5] 홍승식8092 18/12/03 8092
340104 [기타] 게이머들이 범죄와는 상관없는 이유 [23] Dunn9159 18/11/27 9159
336648 [방송] 중국 사극 주원장에 나온 횡령과 뇌물 이야기.JPG (약 스압) [15] 비타에듀12243 18/10/16 12243
335930 [스타1] [고전] 임자전 공방편 [2] 4Atropos4291 18/10/05 4291
335239 [유머] 대국 근황.gisa [72] 톰슨가젤연탄구이16838 18/09/25 16838
332539 [기타] 미국 역사학자가 분석한 트럼프가 당선된 이유 [19] HejHej10825 18/08/15 10825
332045 [유머] 가난해서 집에 전기가 끊김 [5] TWICE쯔위9593 18/08/06 9593
323996 [유머] 해리포터 작가가 가난한 시절 살던 집.jpg [40] petertomasi12426 18/03/20 12426
323772 [기타] [긍정의 말]가난을 거꾸로 해보세요. [3] 영원히하얀계곡7293 18/03/17 7293
323083 [유머] '가난' 으로 2행시 함 해보겠습니다 [10] 현직백수7060 18/03/06 7060
322369 [기타] ???: 롯데는 가난하구나... [6] LightBringer7481 18/02/23 7481
319617 [유머] 중동에서의 현기차 위상 [14] DogSound-_-*8888 18/01/11 8888
316879 [유머] (알쓸건모) 알아두면 쓸데없는 건배사 모음 [36] 한박27539 17/11/24 27539
312099 [기타] 빚의 감옥 | 미국에서 가난하면 감옥에 간다 [5] 닭장군7277 17/09/05 7277
309648 [텍스트] (자체 중복) 2채널 개그 [4] 귀여운호랑이6415 17/07/24 6415
308847 [기타] 가난하지만 가정적인 부모 vs 부자지만 바쁜 부모 [88] 만일....1000110950 17/07/11 10950
307593 [기타] 성당기사단 상징 [8] 겨울삼각형7313 17/06/19 7313
307282 [유머] 오랜만에 복습하는 3013년의 환단고기. [9] tjsrnjsdlf11289 17/06/13 1128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