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19/03/28 10:55:25
Name 다크템플러
출처 표는 베리타스 기사 중 발췌
Subject [유머] '물화생지'가 무슨 뜻이죠???
zNtg6bo.png

물화생지는 옛날 말입니다

이제 대 지생화물의 시대가 왔습니다

시대에 뒤떨어지지 않으려면 외우세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저격수
19/03/28 10:56
수정 아이콘
저는 항상 지구과학을 필수교육과목에서 제외하고 다른 과목에 시간을 써야 한다고 주장해 왔습니다 크크크
다크템플러
19/03/28 10:56
수정 아이콘
시대의 흐름을 보지 못하셨군요! 크크크
19/03/28 10:57
수정 아이콘
물화생지라고 써져잇네요..?
그런게중요한가
19/03/28 10:58
수정 아이콘
저희 때는 물리가 상위권대학에서는 필수였는데, 요즘엔 그런거 없나봐요?
19/03/28 10:59
수정 아이콘
물화생지라고 부를때도

화학 생물>>물리>지학이었습니다만ㅜ
ComeAgain
19/03/28 11:01
수정 아이콘
그냥 부르는 순서였는대요?
다크템플러
19/03/28 11:02
수정 아이콘
그냥 개드립...
로즈엘
19/03/28 11:01
수정 아이콘
화학 인원이 줄어든게 특이하네요. 문제 경향이 바뀌었나
개인적으로 물리는 자신있어서 표준점수가 높아서 좋았는데 하필 수능때 물리가 엄청 쉽게 나와서 만점만 1등급이라서 조금 손해본 경험이 생각나네요
cluefake
19/03/28 11:05
수정 아이콘
그냥 어려워서 시험 터질 가능성 때문에.. 안 고르는 경향이 생겼습니다. 난이도가 폭발한 적이 최근에 꽤 되서..
19/03/28 11:02
수정 아이콘
외우기만 해서 치면 된다고 쉽다고 다들 화생했는데...
추세가 바뀌나
스위치 메이커
19/03/28 11:03
수정 아이콘
지구과학이 늘고 화학은 줄어들었네요
19/03/28 11:03
수정 아이콘
과 2 는 난이도가 많이 어렵나요? 거의 선택 안하넹
retrieval
19/03/28 11:13
수정 아이콘
서울대, 의대준비, 과고 외엔 선택안합니다. 저 과목은 찍으면 9등급 나온다 그러죠
cluefake
19/03/28 11:24
수정 아이콘
서울대
정시파이터
과고의 프라이드
이 세 종류만 하는 과목..
호랑이기운
19/03/28 11:06
수정 아이콘
원래 물리가 항상 응시자는 적었죠
cluefake
19/03/28 11:08
수정 아이콘
화학 진짜 지옥불 난이도로 나와서 터질 수 있는데
지학은 최저선은 보장해주는 과목이기 때문에..
19/03/28 11:09
수정 아이콘
진짜 공부잘하는 학생들은 물2로 가더라구요. 만점 맞으면 표준점수가 저 멀리 가버려서 크크
물맛이좋아요
19/03/28 11:16
수정 아이콘
제가 그 생각으로 물2를 준비했는데 정작 수능 때는 가장 쉬운 1점 자리를 틀렸죠.
그런거없어
19/03/28 14:10
수정 아이콘
그렇게 생각해서 물2로 갔지만 다들 그렇게 오기때문에 표준점수는 그닥.. 수능 두번봐서 다 물리 만점 받았지만 표준 점수는 처참했습니다 크크
꿈꾸는용
19/03/28 11:15
수정 아이콘
지구과학은 옛날부터 많이 봤던거 같은데요... 다만 실수라도 하면 표준점수는 안드로메다로...
cluefake
19/03/28 11:23
수정 아이콘
근데 요즘은 정시파이터가 줄어서
등급 확보가 제일 중요한터라..
19/03/28 11:27
수정 아이콘
그 실수의 위험때문에 안했죠...
저격수
19/03/28 11:19
수정 아이콘
지구과학 과목을 없애버리고 물화생 시험을 셋 다 봐야 합니다 (주장)
修人事待天命
19/03/28 11:24
수정 아이콘



주인없는사냥개
19/03/28 11:33
수정 아이콘
물리 개꿀인데 왜 안하지... 오히려 지구과학 동서남북 나오는게 더 열받지 않으려나
저격수
19/03/28 11:34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제가 공부하면서 이걸 도대체 이 시간 들여서 왜하나 싶었던 두 과목이 중학교 기술가정과 고등학교 지구과학이었어요 크크
지구과학이 싫어지니까 왜 물리 physics 화학 chemistry 생물 biology인데 지구과학은 얼마나 안중요하면 고유의 이름도 없고 earth science냐 이걸로도 태클걸었으니까요 크크
cluefake
19/03/28 11:38
수정 아이콘
고교 지학 선생님이 지구과학은 물화생 에서 안 배우는것들 배웁니다 라고 정리를 뙇..
cluefake
19/03/28 11:36
수정 아이콘
그냥 깡으로 외우는 과목이 인기가 좋고
물리는 사람 수가 적어서 더 인기가 없죠. 수가 적으면 등급 받기 더 힘들어지니
다크템플러
19/03/28 11:40
수정 아이콘
거꾸로말하면 그 천문만 포기하면 기본은 다 맞출수있고, 상위권입장에선 그 천문만잡으면 점수 쏠쏠하니 서로윈윈..
cluefake
19/03/28 11:47
수정 아이콘
설령 시험장에서 천문을 그날 유달리 못해서 좀 조졌어도 기본은 나오니 상위권정시파이터 아니면 수시 정도에선 충분히 커버가 가능하기도 하고요. 최저 안전선이 3등급인데 의대도차도 수시 최저로는 전과목 1등급을 요구하지는 않으니까..
불려온주모
19/03/28 11:35
수정 아이콘
지구과학은 어쨌든 눈에 보이는걸 배우는지라 이해도 쉽고 암기도 잘되고 가끔 나오는 산수는 그래봐야 산수라 천문만 어케 넘기면 되고요.생물도 학문 특성상 어렵던 말던 좋아하는 애들이 있습니다
학문이 추상적 화-물로 갈수록 안되는 애들은 안됩니다. 인간의 타고난 추상-연산 지적 능력이 고대로 반영되는 학문인지라. 게다가 물리는 수포해도 된다는 입시 시대에 수포자들이 덤비기 어렵기도 하고요
cluefake
19/03/28 11:37
수정 아이콘
실제로 천문이 그나마 지학 중 학생들이 제일 까다로워하는 영역이죠.
나머진 뭐 솔직히 까다로울 것도 없기도 하고.
19/03/28 11:39
수정 아이콘
물2 했었는데 옛날이여
펠릭스30세(무직)
19/03/28 11:41
수정 아이콘
욕은 안먹지만 제일 해악을 끼치는 교육정책 중에 하나지요 집중이수제
BibGourmand
19/03/28 11:45
수정 아이콘
그러게나 말입니다. 과탐2 제대로 배우지도 않고 이공계 간다는 게 참 끔찍한 일입니다... 그거 배울 시간에 과탐1 타임어택 연습이나 하니 이게 교육인가요.
저격수
19/03/28 11:42
수정 아이콘
외국에서는 그런데 지구과학 가르쳐요? 진짜 왜하는지 모르겠는데
지구과학이란 이름 지우고 비중 낮춰서 생활과학이나 일반과학 이런 이름으로 가르치면 모르겠는데..
다크템플러
19/03/28 11:51
수정 아이콘
이분 진심이셨구낰크크 지구과학 일본 대만은 있습니다. 유럽쪽은 없는데도 있을거에요 지학이라는 말자체가 일본에서온거라 일본교육과정 영향이좀남아있는거긴하죠
물맛이좋아요
19/03/28 12:01
수정 아이콘
지구과학은 과학을 빼고 지구라고 불러야합니다.
미카엘
19/03/28 11:44
수정 아이콘
물리는 공부 안 해도 되어서 지학보다 쉽던데ㅜㅜ
꼭두서니색
19/03/28 11:45
수정 아이콘
3교시 탐구영역때 공통사회, 공통과학을 풀고 생물2를 푼거같은데.. 요즘은 다 선택인가보네요
아웅이
19/03/28 11:53
수정 아이콘
더 놀라운건 2를 선택하지 않는 학생이 전체의 90%가 넘는군요
이과만 쳐도 80%이상 되려나요
초짜장
19/03/28 12:06
수정 아이콘
난이도를 좀 낮추는 한이 있더라도 물리 강제 3선1택, 이과는 II 강제 해야한다고 봅니다
루카쿠
19/03/28 12:08
수정 아이콘
지구과학이 가장 꿀이란 뜻이군요. 저도 인정합니다.
Albert Camus
19/03/28 12:20
수정 아이콘
이야 이걸 물리를 거르네
19/03/28 12:36
수정 아이콘
지구가
생각이 야하면
화가나고
물이 나온다.

드립도 어렵네요. ㅠㅠ
요플레마싯어
19/03/28 12:48
수정 아이콘
어 옛날에 화2 하는 사람 많았는데 지구과학하면 은근히 무시하고
유열빠
19/03/28 12:52
수정 아이콘
화학 생물 물리 지구과학 순으로 좋아했는데.
19/03/28 13:16
수정 아이콘
예전에 잠시 문과에서 미적 뺐다가 식겁하고 다시 집어넣은 것 처럼
하루빨리 바뀌길 바랍니다.

대학교육 이수든 이공계 진로선택이든, 최소 물리1, 화학1 수준의 지식은 있어야 된다고 생각하는데, 정책이 저 모양이니 선택을 안 하죠.
3+1 이나 2+2 시스템 나쁘지 않았다고 보는데, 도대체 왜 2개만 선택하게 바뀐건지.
아델라이데
19/03/28 15:14
수정 아이콘
아직도 학교마다 존재하는 제물포 선생님이 있나보네요. 물리가 제일 적은걸 보니...크
난감해
19/03/28 16:15
수정 아이콘
심지어 이번 1학년은 수능때 사탐1 과탐1개 입니다. 공대를 가도 물리 화학을 안해도 됩니다,,
이른취침
19/03/28 19:39
수정 아이콘
일단 사회 과학 교차 응시 가능이긴 한데 아직 대학발표가 안나와서 정확하지는 않습니다.
19/11/23 16:11
수정 아이콘
지금도 생지하고 공대 많이 갑니다. 정시로 대학가려면 생지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48853 [LOL] 페이커가 알려주는 리산E진입 꿀팁 [8] swear7148 19/03/29 7148
348852 [LOL] 아프리카가 5승한 이유 [9] Leeka8040 19/03/29 8040
348851 [게임] [하스스톤] 오늘은 벽덱 카운터의 날 [13] BitSae5516 19/03/29 5516
348850 [서브컬쳐] 한국과 같은 전투기를 맞이하는 일본의 준비 [7] Lord Be Goja8457 19/03/29 8457
348849 [LOL] 여전한 도원결의 세 팀.jpg [23] 감별사7260 19/03/29 7260
348848 [게임] [돌겜] 간만에 마음에 드는 카드가 공개됐네요. [16] valewalker5765 19/03/29 5765
348847 [유머] 최신 97년생 근황.jpg [35] ZZeTa14205 19/03/29 14205
348846 [유머] 로또 1등 당첨된 사람이 경찰에 체포된 이유.jpg [7] 홍승식10025 19/03/29 10025
348845 [유머] 먼길 온 막내 격하게 환영하는 가족들.jpg [40] 삭제됨13885 19/03/29 13885
348844 [서브컬쳐] [컴덕]컴갤러, 한국 최초로 [17] Lord Be Goja7059 19/03/29 7059
348843 [유머] 철저하게 고증을 거친 의복 자료.jpg [5] 삭제됨10738 19/03/29 10738
348842 [게임] 성기사 전설 카드 공개!!! [33] 스위치 메이커6402 19/03/29 6402
348841 [LOL] 핑와를 향한 앰비션의 집념...clip [15] Double6618 19/03/29 6618
348840 [유머] 얼마 전 한복 자료집 낸 흑요석 작가 근황.jpg [45] 삭제됨12659 19/03/29 12659
348839 [유머] 원빈되기 vs 그냥살기 [30] 아지르8388 19/03/29 8388
348838 [유머] 떼껄룩 [15] 길갈8056 19/03/29 8056
348837 [유머] 전여친이 참 원망스럽네요.JPG [21] 비타에듀14948 19/03/29 14948
348835 [연예인] 입금 [21] 타카이11520 19/03/29 11520
348834 [기타] 시미켄이 권장하는 횟수 [52] 도축하는 개장수12453 19/03/29 12453
348833 [기타] [영화] 배심원들, 티저 예고편 [6] 빨간당근6067 19/03/29 6067
348832 [게임] [배필5 ]아부지 돌 굴러가유 [10MB] [5] Lord Be Goja5485 19/03/29 5485
348831 [유머] 네 놈은 글렀어 공부나 해라 [24] 타카이12050 19/03/29 12050
348830 [유머] 그냥 쳐드세요.jpg [40] 삭제됨12189 19/03/29 1218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