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19/03/13 15:09:04
Name 23cm
File #1 5a02b083f12770305e5dc86920948a17.jpg (51.5 KB), Download : 29
출처
Subject [유머] 월 300만원이 많이 버는 편인가요?


30대 중반에 저정도면 많이 버는건 맞는거 같은데
지금 시대가 시대인지라...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9/03/13 15:11
수정 아이콘
30대 중반이면, 못해도 대리급은 되겠네요

대기업이면 아니오

중견기업이면 그럭저럭

중소기업이면 네
음란파괴왕
19/03/13 15:11
수정 아이콘
이상하다. 인터넷에선 다들 연봉 1억이던데...
유자농원
19/03/13 15:22
수정 아이콘
리얼 크크크크크
바보왕
19/03/13 15:38
수정 아이콘
인터넷 사람들은 예절도 발라서 예비군 가면 조교함테 존댓말도 꼬박꼬박 써주고 성격도 성실해서 대학에선 다들 조별과제 혼자만 열심히 하고 힘들다고 푸념하는 사람들입니다. 그리고 게임하면 다들 한번도 꼴픽따위 한 적이 없으며 매번 성실한 필승메타만을 꼬박꼬박 잘 따라가고 그로 인한 게임의 획일화를 걱정해주는 배려심도 갖춘 사람들이지요.

이런 훌륭한 사람들이 현실로 나와주지 않는 건 정말이지 이상한 것 같습니다.
존코너
19/03/13 16:22
수정 아이콘
한명씩은 있는데
교집합은 없...
우울한구름
19/03/13 16:57
수정 아이콘
저런 사안들에 대해 누가 목소리, 그러니까 댓글을 주로 다느냐의 문제일 뿐이죠.
복슬이남친동동이
19/03/13 15:11
수정 아이콘
맞벌이가 아니라는 거 보니까 가구당 소득이 월 300이라는건데 애까지 있으면 진짜 쪼들릴 액수긴 하네요.
19/03/13 15:11
수정 아이콘
세후 300이면 적은건 아닌데...
srwmania
19/03/13 15:11
수정 아이콘
정말 모든 분야에 있어서 저 정도로 아껴 살면, 왜 한달에 몇십만원씩 오버되는지 잘 모르겠...
뭔가 글에서 빠진게 있겠죠. 어차피 주작이겠지만, 40 전까지 세후 300 받으면 망한 삶은 아니죠.
나의규칙
19/03/13 15:59
수정 아이콘
몇십만씩 오버되는 것이 지출이 오버된다는 것이 아니라, 보너스 같이 가끔 수입이 몇십만원 오버되어 들어오는 경우가 있으니 그걸로 버텨봐라. 이런 뜻으로 보입니다.

저 남자.. 왠지 교사인 것 같은...
쪼아저씨
19/03/13 16:08
수정 아이콘
[매달 몇십만원 오버 되는거 하나만 보고 아껴 살래요]
제가 보기엔 매달 몇십만원 오버해서 쓰고 있는게 맞는걸로 읽힙니다.
살짝 오해하게 써 놓긴 했지만,
(이렇게 아껴쓰고 있는데 몰라주고) 몇십만원 오버해서 쓰는거만 보고 아껴 살래요. 라고 읽는게 자연스럽지 않을까요?
나의규칙
19/03/13 16:09
수정 아이콘
네. 그렇네요. 말씀하신대로 해석하는 게 더 맞는 것 같습니다. 저는 오버되는 돈이 들어오니까 그것으로 버텨라. 라고 이해했어요. 제가 그렇게 살기도 하고...
srwmania
19/03/13 16:31
수정 아이콘
뭐 어차피 저런 신춘문예 같은 글로 남의 생활 파악하는게 오바스럽긴 한데 (...)
제가 저 조건 비슷하게 삽니다. (대출금이 훨씬 크지만, 생활비는 대동소이)
그래서 와이프랑 많이 싸웠....
터키쉬겟업
19/03/13 15:12
수정 아이콘
넷상에선 박봉. 크크
修人事待天命
19/03/13 15:12
수정 아이콘
많다 적다가 애시당초 상대적인건데 뭘....
19/03/13 15:14
수정 아이콘
대출금 70이 포인트죠.
300이 아니라 230이니까 부족한거죠.
아이까지 있으면 부족할 수 있습니다.
제발조용히하세요
19/03/13 15:14
수정 아이콘
실수령 300이면 평범한 편이고, 가족이 합쳐서 300이면 조금 적은 편이겠죠.
요즘은 대부분 맞벌이라
티모대위
19/03/13 15:14
수정 아이콘
괜찮게 버는건데, 이 괜찮게 버는 돈으로 3인 가족이 여유있게 살수가 없다는 게 문제...
19/03/13 15:16
수정 아이콘
근데 진짜 그 정도로 쪼들릴 정돈가요
넉넉하진 않아도 거지같이 살면서 몇십만원 오버된다는것도 과장같은데..
foreign worker
19/03/13 15:16
수정 아이콘
세후 300이면 평균 이상인데, 뭐 넷상이니...흐흐흐
하우두유두
19/03/13 15:16
수정 아이콘
결혼전 싱글 300이면 넉넉히 취미생활 즐기고 저푹가능하나 결혼후 300이면 좀 빡심니다. 애 한달 분유값 기저귀값 물티슈값 따지면 최소 20~25들고 애기옷사고 뭐사고 하면 빡빡해요.
싱글 200이랑 결혼후 300정도가 비슷힌 느낌입니다.
답은 맞벌이네용
19/03/13 15:17
수정 아이콘
애만 없으면 넉넉하죠. 사실 애만 없으면 맞벌이 가능할테고 그럼 월소득 엥간하면 500넘습니다. 그럼 뭐 매년 해외여행다녀도 넉넉하죠.
19/03/13 15:20
수정 아이콘
30대 중반에 애까지 있는데 가구소득 300이면 평균이 어쩌고를 떠나서 부족해도 한참 부족하겠죠 대출금까지 있으면 뭐...
19/03/13 15:20
수정 아이콘
30대 통계로 보면 상위 30% 안쪽일 것 같은데...
http://news1.kr/articles/?3028001
30대 중위소득이 276이라는데 세금 15%만 잡아도 230만원... 세후 300만원이면 상위 20%보다도 높을거같네요
ComeAgain
19/03/13 15:29
수정 아이콘
수능 3,4등급을 "공부 잘한다"라고 이야기 안 하는 것 같은 느낌이네요.
김피곤씨
19/03/13 15:21
수정 아이콘
세후 300이면 대략 340, 연봉으론 4천이네요. 나쁘지 않게 버는거 같은데요.
signature
19/03/13 15:22
수정 아이콘
성과금 인센 기타등등해서 더 받죠.. 대략7,8천 되요
김피곤씨
19/03/13 15:23
수정 아이콘
아니 저기 써있는 거만요 성과금 인센이 모든 기업에 다 있는 것도 아니고
돼지샤브샤브
19/03/13 16:55
수정 아이콘
너무 본인회사 기준 아닙니까 크크 성과급 인센이 연봉만큼 나오는 회사가 그렇게 많나요. 딱 월급만 주고 거의 끝인 회사들 엄청 많은데..
파란무테
19/03/13 17:25
수정 아이콘
성과급 없어요. 그런거.. 공무원들도 그런거 없구요.
명란이
19/03/13 23:06
수정 아이콘
7,8천은 절대안될듯요. 오천 넘으면 인센많은편이라 봅니다
이응이웅
19/03/14 12:06
수정 아이콘
성과금을 어떻게 받아야 7,8천이 되나요 크크
잘 모르시면서 너무 단정적으로 ...
19/03/13 15:21
수정 아이콘
7개월이면 많이 들어갈게 없어서 230에 저리 아껴쓰면 모자르진 않을 텐데 빠진게 있는 것 같습니다
signature
19/03/13 15:21
수정 아이콘
세후 딱 월급만 300이면 연봉으로 7700정도?
달달합니다
19/03/13 15:25
수정 아이콘
4200선 아닌가요?
7700이면 월급이 640인데 세금을...?
19/03/13 15:26
수정 아이콘
7700이 될 리가 있나요;; 성과금이나 인센티브는 원래 연봉으로 안 치구요 그거 감안하더라도 영끌해 봐야 세전 5000 정도 될 겁니다.
signature
19/03/13 15:28
수정 아이콘
월급 세후 300에 작년 세전 7700이었어요
딱히 성과금 많이 주는 회사도 아니고요
아리에타
19/03/13 15:31
수정 아이콘
월급 세후 300인데..연봉이 7,700이라굽쇼??? 돈떼이신거 아닙니까...
19/03/13 15:31
수정 아이콘
제가 그 정도 받을 때 400은 가뿐히 넘고 500 가까이 됐던 걸로 기억하는데요; 상식적으로 생각해도 윗분 말씀처럼 단순 12개월 나누면 세전 640인데 세금하고 국민연금, 기타 등등 해봐야 200도 안 뗍니다.
김피곤씨
19/03/13 15:32
수정 아이콘
세후 300이면 세전 340 정도고 본봉만 보면 4000 정도죠.
성과금이 3700 이면 1000% 가 넘네요.. 대기업도 그렇게 많이 주는 회사 없는데요..
19/03/13 15:33
수정 아이콘
???

월급이 세후 300인데 세전 7700이 되려면 성과급이 1000% 전후는 찍혀야 되는데

대한민국에서 성과급 1000% 찍히는 회사면 최상위 회사인데요... 무슨 소리 하시는건지..
마법사9년차
19/03/13 15:37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제가 원천징수 영수증상 작년 한해 8230정도 나오는데
실수령 7000이 넘는데 뭔가 이상한데요?
이건 당직비 포함한거고
기본급은 세전 월 620 정도인데 실수령 500 이상 되는데요?
사비알론소
19/03/13 15:39
수정 아이콘
세전 5000받을때도 그것보다 많이 받았던것 같은데요(기본급만)
술마시면동네개
19/03/13 15:46
수정 아이콘
제가 상여포함하면 세후 300좀 넘는데 작년연봉 4200이었습니다.
signature
19/03/13 15:55
수정 아이콘
원천징수 7720이었어요
월급찍히는건 세후 300 사실 295만원 정도?
아무리 주작 어그로는 아닌데 어그로 끌게 되서 죄송합니다
유리한
19/03/13 16:09
수정 아이콘
그렇게 월급 찍히는걸 계산하실거면 성과급,상여금 포함한 총 실수령액을 12등분 하셔야죠..
19/03/13 16:16
수정 아이콘
명절 보너스 2번추가로 14로 나누는거까지야 뭐.. 이런거에 고려 안하고 생각할수도 있는거지만 세전연봉 그정도면 18로 나누는게 맞는거 같은데 이 정도면 그냥 그걸 월급처리해서 평균잡든지 해야죠 당연히.. 저기 본문글도 격월로 월급 2배씩 들어오는데 월 300이라고 했겠어요.

말만 상여지 급여나 다름없는 형식의 돈이 아니라 비정규적인 성과급을 얘기하는거면 당연히 세전연봉 얘기할때도 빼셔야 되는거고요.
돼지샤브샤브
19/03/13 16:56
수정 아이콘
이 댓글을 나중에 봤는데 "세후" 라고 얘기하는 건 월에 들어오는 기본급 상여 수당 다 합쳐서 보통 얘기합니다. 일단 기준 자체를 많이 잘못 생각하고 계시고, 위에 댓글에 쓴 대로 그건 본인 회사에서 뭘 더 많이 주는 것 뿐이구요.. -,-;;;
SCV처럼삽니다
19/03/13 16:07
수정 아이콘
착각하신게 있는거 같네요. 아니면 연봉 포함된 상여비중이 아주아주 크거나요
위원장
19/03/13 16:11
수정 아이콘
12번 받는게 아니신거 같은데요.
금융권은 18번 같이 받기도 하니까요
이혜리
19/03/13 16:15
수정 아이콘
거짓말이거나, 기준치가 높거나.
초봉 4100만원 받을 때가 딱 305만원 정도 찍혔고, 그 당시 250% 정도 성과급에 이것저것 받았을 때 총급여가 5천 넘었거든요.
총 급여 7700이면, 월급 세후 500정도에 성과급 250% 정도 터지는 수준.
19/03/13 16:33
수정 아이콘
현대에서 보이는 금액같네요.
당장 그 부러운꼴을 옆에서 봐서...-_-
Multivitamin
19/03/13 22:32
수정 아이콘
삼전에서 쩌리 사업부가 세후 400에 성과급 20%대+Pi 100%x2 나올때 세전 연봉 8000수준 입니다. 세후 300에 세전 7700이면... 다른 기타수입이 있지 않은 이상 불가능인데요
19/03/13 15:28
수정 아이콘
1년이 24개월쯤 되나요..
19/03/13 15:48
수정 아이콘
인센이 3천이거나, 총보상 얘기거나..
feel the fate
19/03/13 15:50
수정 아이콘
4300
클레멘티아
19/03/13 15:57
수정 아이콘
세후 월급 300인데, 연봉은 4000 좀 넘네요.
성과금 인센 포함해서요...
19/03/13 16:15
수정 아이콘
수당이 많으신가보네요.
졸린 꿈
19/03/13 17:52
수정 아이콘
제가 연봉 4000좀 넘습니다;
수당 포함해서 세후 300만 딱 됩니다.
도대체 세금으로 얼마를 떼이시는겁니까 크크크

혹시라도 수당 잘주는곳이면 저 좀 소개해주세요 ㅠㅠ
아스날
19/03/13 18:23
수정 아이콘
본인자랑인지 글이 이해 안되는건지 모르겠는데 연봉7700 받는데 왜 저런글 쓸까요?
Alcohol bear
19/03/14 10:14
수정 아이콘
다른 세상 아저씨네
19/03/13 15:22
수정 아이콘
외벌이면 넉넉하진 않을 것 같긴 합니다
ComeAgain
19/03/13 15:24
수정 아이콘
양육수당 20만원, 아동수당 10만원이 해피해피합니다.
Lord Be Goja
19/03/13 15:24
수정 아이콘
딱 표준이니까 인터넷문화급생활하려면 맞벌이해야죠.
마도로스배
19/03/13 15:24
수정 아이콘
세후 300에 성과금 상여금 나온다 치면
연봉 5000이상 아닌가요?
signature
19/03/13 15:27
수정 아이콘
제가 딱 그랬는데 작년 세전 7700이었어요
몽키매직
19/03/13 15:3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세전 7700 이면 세후 월급 525만원 입니다.
연봉 7700 에 계약하고 실수령 300 받으셨으면 계약서 한 번 다시 들여다 보세요.
그리고 연봉 비교할 때 성과급은 당연히 빼고 이야기하는 겁니다.

둘 중에 하나는 맞추셔야죠.
계약 연봉 이야기 하시려면 계약된 연봉과 월급을 말씀하시면 되고,
실수입을 이야기하시려면 성과급 포함된 대략 연봉과 실수령 평균 월급을 말씀하시면 됩니다.
성과급 상여금 같은거 직장 상황 안 좋으면 싹 사라지고 아파서 쉬거나 하면 못받는 건데.
signature
19/03/13 15:55
수정 아이콘
영끌 원천징수 7700이었어요 어그로 죄송합니다
김유라
19/03/13 15:37
수정 아이콘
제가 순 계약연봉이 4500인데 성과급 받고 이래저래하면 세전 7000 조금 넘고 세후 5500 전후더라고요. 이러면 세후 월급으로 딱 260 나옵니다 크크크
signature
19/03/13 15:56
수정 아이콘
저랑 딱 비슷하네요
유리한
19/03/13 15:26
수정 아이콘
세후 300이면 연봉 4200 정도..?
김유라
19/03/13 15:29
수정 아이콘
그렇긴한데 보통 국민연금, 고용보험 등 제해서 나온걸 세후라한다 봤을 때 세전연봉 5000 넘는다고 봐야죠.
유리한
19/03/13 15:42
수정 아이콘
세전 5000이면 세후 350이 넘어요....

4200이 월 350인데 4대보험 + 세금으로 45만원 조금 넘게 공제되요. 실수령 300 좀 넘죠..
김유라
19/03/13 15:54
수정 아이콘
제가 계약연봉이 4500인데 14등분하면 300 안되는데요...;; 12등분해도 안되고요.
유리한
19/03/13 16:01
수정 아이콘
4500/12 는 375인데요.. 14로 나눠도 320이 넘구요..
김피곤씨
19/03/13 16:03
수정 아이콘
14등분하면 이해가 가지만 4500을 12등분 하면 375인데 75만원을 넘게 뗄리가요..
유리한
19/03/13 16:04
수정 아이콘
단순계산으로 연봉 4500이면 실수령액 3,239,250원이고 총 공제액은 510,750원 입니다.
공제사항을 좀 더 자세하게 보면
국민연금, 건강보험, 장기요양, 고용보험, 소득세, 지방소득세 순으로
164,250원, 113,880원, 8,400원, 23,720원, 182,280원, 18,220원
입니다.
김유라
19/03/13 16:17
수정 아이콘
계산보다 더 많이 떼네요. 기억은 잘 안나는데 국민연금은 거의 20만원 넘게 떼였던건 기억합니다.
몽키매직
19/03/13 17:15
수정 아이콘
월급에서 비율로 떼는 거라 그러면 실수령 월급이 더 많다는 얘기입니다. 월급은 낮은데 국민연금은 더 많이 떼고 그런거 없어요. 소득세 원천징수 비율하고도 별개이기 때문에.
대장햄토리
19/03/13 15:27
수정 아이콘
세후 300이면 많이 버는거죠..
근데 상황이...
고정 지출이(대출금70) 있고 혼자서 두명을 부양해야되니 쪼들리는거죠..
19/03/13 15:2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성과급하고 인센이 모든 회사에 있는게 아닌데.. -.-;; 당연하게 계산하는건 좀...

성과급, 인센이 있는 회사 만큼이나 없는 회사 많습니다...

있는 회사들도 회사마다, 팀마다 그 양이 천차만별이고요.....
유리한
19/03/13 16:14
수정 아이콘
그것까지 더해서 12로 나눠야 계산이 되는데..
19/03/13 16:17
수정 아이콘
봉은 조상님이 들어주는 것이냐던 말이 생각나네요.. 크크크
아니 무게 칠 때 왜 봉 무게는 빼는데?
Complacency
19/03/13 15:28
수정 아이콘
독신중에선 상위권일 거 같은데 결혼한 30대 중반 직장인 내에서 평균내면 어느정도일까 싶네요.
위원장
19/03/13 15:29
수정 아이콘
세전 5000 정도 같네요. 성과금 같은게 없다면요.
Openedge
19/03/13 15:37
수정 아이콘
성과금 없는 5000은 월 350 찍힙니다
마인부우
19/03/13 15:37
수정 아이콘
상여금 없는 회사가 생각보다 엄청많습니다 크크 다들 좋은곳만 다니시는듯...
세후300이면 식대비과세10만원 잡고 그냥 일반적으로 했을때 연봉은 4100정되겠네요
중소기업 기준 급여로 4100정도면 꽤나 상위권일텐데..
일면식
19/03/13 15:42
수정 아이콘
잘번다 못번다는 상대적인 개념이니 사람마다 그 정의가 다를것이고
퍼센트로 말하자면 30대 중반기준 상위 25%근방 되지 않을까 싶은데요.
초능력자
19/03/13 15:43
수정 아이콘
댓글만 봐도 좋은 회사 다니는 분들이 많다는 걸 느낍니다.
19/03/13 15:46
수정 아이콘
좋은 회사 다니는 분들만 댓글을 다니까 그런 것 같습니다...
By Your Side
19/03/13 18:16
수정 아이콘
맞는 말씀이긴 한데 pgr이 고학력자가 많은 편이어서 사회 평균보단 높을 것 같습니다.
아스날
19/03/13 18:25
수정 아이콘
은근히 자랑댓글도 많아요..
19/03/13 15:48
수정 아이콘
30대 중반에 세후300이면 많이버는거라고 생각합니다만...
대기업 아닌이상에야, 세후 300이면 평균내면 많이받는 편이죠.
300벌기도 그렇게 지랄맞는데......
김아무개
19/03/13 20:14
수정 아이콘
사실 저게 전형적인 최저시급에 잔업 특근비 포함되어 나오는 세후 300일수도 있습니다....
300이상 월급쟁이들 태반이 완전 엘리트 아니면 온갖 고정 잔업특근이 포함 되더라구요
19/03/13 15:51
수정 아이콘
언니는 회사 다녀?
유리한
19/03/13 16:07
수정 아이콘
회사 안 다녀!
알고보면괜찮은
19/03/13 16:37
수정 아이콘
맞벌이 하겠다 하는데 남편이 말리네요
김아무개
19/03/13 20:15
수정 아이콘
저분은 남편이 말리는 입장이니 속이 타겠쥬....
19/03/13 20:22
수정 아이콘
이 유머를 이해하신분은 유리한님 밖에 없는걸로...
19/03/13 15:51
수정 아이콘
기본급 4200받을때 매달 297따리 찍혔습니다. 대기업초봉수준인거니 많은건아니죠. 수도권 상위 20-30퍼 대학을 좋다고 안하잖아요.
비싼치킨
19/03/13 15:52
수정 아이콘
대출금 제외하면 230이라는 건데 저희 남편이 조금 더 버는 정도네요
미용실 석달에 한 번 가고 아기 소고기 이유식 한우로 해주고 주 1회 치킨 월 1회 회 먹을 수 있고, 제철음식, 과일 먹고 살고...
옷은 제가 워낙에 관심이 없어서 거의 안삽니다만 남편 옷은 계절마다 사줍니다
화장품은 가족들 면세점 찬스 쓰긴 하네요
다만 저축은 아기 통장으로 매달 30만원 해주는 게 다예요
양육수당 들어오는 거 해주는 거라 월급이랑 상관없고...
거지같이 살 정도는 절대 아닌데...?
19/03/14 00:44
수정 아이콘
알뜰하시네요 존경합니다. 제가 직접 해보니까 270~80정도 들더라구여..
처음과마지막
19/03/13 15:55
수정 아이콘
세후 실수령액이 중요하죠
feel the fate
19/03/13 15:56
수정 아이콘
연봉 4400 얼마일때쯤 세후 320 턱걸이 찍힌걸로 기억...
큰 사치나 본격 유흥은 안하고 카메라 취미나 맨날 지인들이랑 맥주 마시며 노는데 그냥 혼자 살기 딱 좋았습니다. 애 있으면 힘들듯......
19/03/13 16:00
수정 아이콘
30중반 세후 300이면 잘 버는 거죠.
많이 번다고는 못하지만 어디 가서 아쉬운 소리 들을 수준은 아니죠.
넷 이야기는 무섭네요;
미끄럼틀
19/03/13 16:06
수정 아이콘
거지같이 살 정도는 절대 아닌데...?(2)
분명 본문엔 없지만 월세라던지 보험이라던지
돈이 빠져나가는 구멍이 있는 것 같아요
제가 아이 돌까지 저것보다 적은 돈으로 살았는데
거지같이 살진 않았거든요. 취미생활, 외식, 저축 다 했는데;
가계부를 보그 싶다
Rorschach
19/03/13 16:11
수정 아이콘
2019년 기준으로 퇴직금 따로 적립되면 연봉 4200이면 세후 300 살짝 넘을겁니다.

"딱 월급만" 이라고 표현하는건 애초에 성과급 등으로 월급보다 더 받는다는 이야기니까 딱 월급이 300이라해도 더 버는거죠...
19/03/13 16:12
수정 아이콘
(수정됨) 300으로 애키우면서 대출까지 갚을라면 버겁긴 하죠.
주변에 그정도 받으면시는 분들 왠만하면 특근을 많이 뛰던가 그게 안되면 투잡 알바를 뛰는 경우가 많네요.
Zoya Yaschenko
19/03/13 16:21
수정 아이콘
(수정됨) 잘버는건 당연한거고,
대출이 자산화되는 과정으로 보이니 문제될것도 아닙니다
덴드로븀
19/03/13 16:27
수정 아이콘
수저 분류하는것만큼 기준이 맘대로인게 소득인것 같습니다.
누구는 월급을 기준으로 누구는 연봉을 기준으로 누구는 원천징수를 기준으로...
19/03/13 16:34
수정 아이콘
그래도 저 위에분은 너무 둔감하셔요(...) 본인 케이스가 그렇다는것 정도야 당연히 말할수 있는거지만
리플이 '당연히' 월 300이면 세전 7700정도 아님? 이라고 하니까 사람마다 본인 시야에 잡히는곳만 보고 사는구나 하는걸 오늘도 여실히 느끼고 갑니다.
작별의온도
19/03/13 16:46
수정 아이콘
월급은 계약서상으로 이야기하고 연봉은 상여나 수당 포함 실수령액으로 얘기하신 걸로 봐선 저도의 흘리기가 아닌가 싶.. 크크
19/03/13 17:44
수정 아이콘
흘리기 아니면 좀 심한말로 멍..한거죠 ;;
셧더도어
19/03/14 16:48
수정 아이콘
저렇게 멍청한데 7000넘게 주면 회사가 코미디
이민들레
19/03/13 16:42
수정 아이콘
어른 두명에 300은 좀 낮지않나 싶네요 국민소득 3만불인데 어른두명이면 6만
김철(34세,무좀)
19/03/13 16:44
수정 아이콘
(수정됨) 아껴고 아껴서 230으로 못산다는 게 거짓말이네요.

제가 4인 가족 대출금 합쳐서 200을 안쓰는데...그것도 서울에서..
심지어 와이프는 매달 10만원씩 개인 쇼핑도 합니다.

애기가 7개월이면 아직 돈도 크게 안 들때인데
부부가 덜 아낀겁니다.
19/03/13 16:55
수정 아이콘
액수도 액수인데, 서울 울산 같이 물가 높은 곳이냐 대구 같이 싼 곳이냐에 따라 체감 쪼들림 차이가 크죠.
19/03/13 16:59
수정 아이콘
애 둘에 맞벌이로 한달 생활비 300이상은 나가는 거 같습니다.

주말마다 애들 데리고 놀러가서 먹고 하는 게 좀 크긴 하더군요;
라이츄백만볼트
19/03/13 17:00
수정 아이콘
윗분은 그냥 가볍게 자랑좀 하신것 같은데 여기가 남초사이트라 소위 흘리기에 둔감하다보니 다들 직선적으로 받아서 댓글이 넘쳐나게 된것 같네요.
누렁쓰
19/03/13 17:03
수정 아이콘
사실이라면 다른 데 줄줄 새는 데가 있다는 이야기.
19/03/13 17:05
수정 아이콘
생후
도들도들
19/03/13 17:11
수정 아이콘
요즘 아기 있으면 매달 30만원씩 주던데 그것도 적지 않죠.
19/03/13 17:11
수정 아이콘
많이 버는데 많이 부족하다
WhenyouinRome...
19/03/13 17:17
수정 아이콘
이동네 고액 연봉자 많은건 알겠네요.. 그리고 내가 얼마나 버는 수준인지도 알구요...
곽철용
19/03/13 17:26
수정 아이콘
맞벌이 하는게 나아보이는데.. 머 애가 어리니 외벌이하는거고 좀 크면 맞벌이하겠죠
남겨진아이
19/03/13 17:29
수정 아이콘
성과금 없는 곳이 훨 많을텐데..
루크레티아
19/03/13 17:31
수정 아이콘
본문처럼 거지 같이 산다는 사람 치고 진짜로 그런 사람 없더군요.
저렇게 말하는 사람의 90프로는 일단 3보 이상 택시로 생활이 시작합니다.
사상최악
19/03/13 17:33
수정 아이콘
부족하죠.
대출금 빼고 230을 다 생활비로 쓰는 것도 아니고.
기본적인 공과금이나 세금 포함한 관리비, 주유비(아니면 교통비), 보험료, 저축 등 빼고 아이한테 들어가는 돈에 최소한의 식비하면 빠듯하죠.
많이 버냐고 하면 많은 건 아니고 보통이라고 봅니다.
흔히들 많이 번다고 하면 유명 대기업 수준은 되야죠.
케이아치
19/03/13 17:46
수정 아이콘
흠 비슷한 월급에 대출로 130정도 빠져 나가서.. 한달에 180정도 남는데.. 애기 둘 키우면서 먹고싶은거 먹으며 살고 있습니다.

가끔 계산해보면 이게 어떻게 생활이 되는거지? 싶을때가 있긴있더라구요. 와이프야 고마워 ㅠㅠ
19/03/13 17:51
수정 아이콘
사람인 계산기 돌려보니까 연봉 4100이면 딱 실수령 월 300 나오네요.

[사람인 연봉 계산기 결과] 국민연금 149,240원 / 건강보험 107,120원 / 장기요양 9,110원 / 고용보험 21,550원 / 소득세 117,770원 / 지방소득세 11,770원 / 공제액 합계 416,560원 / 월 예상 실수령액은 3,000,106원입니다. / http://www.saramin.co.kr/zf_user/tools/salary-calculator
예루리
19/03/13 17:51
수정 아이콘
신기한건 엠팍을 비롯한 인터넷 도처에서 연봉 6-7천인 분들이 한창 업무가 바쁠 시간대에 친절하게 공제금액까지 계산해가면서 리플을 달아 주신다는 거죠. 그 연봉에 그 시간 여유라니 정말로 부럽습니다.
19/03/13 17:53
수정 아이콘
전 직장에서 연봉 1억 넘던 고참 부장님들이 업무시간에 하시던걸 보면.. 하아.. 할많하않..
예루리
19/03/13 17:59
수정 아이콘
저도 큰회사 작은회사 다양하게 돌아봤는데 회사 내부에서 과장 차장호칭 없애고 알파벳 뒤에 숫자 붙여서 직급 나타내거나 시니어 급에게 선임이나 책임등의 호칭을 쓰는 직무급제 실시중인 대기업에서는 그런 양상이 좀 줄어든 것 같더라구요.

연공서열제의 영향이 강하게 남아있고 아직 영업이익이 좀 나는 회사들은 말씀하신 부장님들이 더러 계신것 같았습니다.
19/03/13 17:58
수정 아이콘
중간에 기적의 수학가가...
돈퍼니
19/03/13 18:07
수정 아이콘
연봉 4000 이 거의 300 근접하죠...~~
제 주변엔 4000 넘는 사람이 흔하지 않은데 인터넷에선 워낙 다들 잘 버셔서..
아스날
19/03/13 18:20
수정 아이콘
지방이면 평균내외 수도권이면 적은것같네요.
미카엘
19/03/13 18:35
수정 아이콘
저거보다 적게 벌어도 거지같이 안 사는 3인 가구가 대다수일 겁니다. 분명히 필요 이상, 아니 초월 수준으로 과소비하는 항목이 있을 거에요.
19/03/13 18:42
수정 아이콘
다들 본인 기준으로 하니까 댓글에서 분란이 일어나는거죠...
세후 300인데 연봉이 4천인 사람이 있고 6천인 사람도 있습니다.
Burnout Syndrome
19/03/13 19:04
수정 아이콘
제가 4200이고 월305~ 310정도 수령합니다. 솔로들은 매년 아주 잘 살고 잘 놀러다니고 3달에 한번 해외여행 가고 그럽디다. 외벌이나 결혼준비하면... 허리띠 졸라매고 사는거쥬 뭐.. ㅜㅜ

사실 같아 졸업한 또래들의 평균을 보면 적당히 버는거라고 생각하는데, 살짝만 고개를 위로 올리면 적당히 벌기는 커녕 부족하다, 라는 생각이 많이 들어요. 10대 대기업, 10대 건설사들 보면 3백을 기본으로 받고 성과급 파티 펑펑 터지는데 포괄임금제 시행하는 저희 회사 같은 경우는 변동 없이 순액으로만 3백이죠.

욕심 가지지 않고 살고자 하는데.. 살다보면 참 그게 쉽지 않네요.
리듬파워근성
19/03/13 19:10
수정 아이콘
많이 버는 거고
대출금도 적게 나가는 편입니다
개구리농노
19/03/13 20:17
수정 아이콘
평균이상.
끼리끼리 있으니까 모르는거.
삶은 고해
19/03/13 20:44
수정 아이콘
현실인식이 떨어지는 사람이 항상있어요 좀 둔하다고 해야하나 아니면 그냥 내가 이만큼 받는다는게 너무 자랑스러워서 견디기 힘들었거나
19/03/13 21:51
수정 아이콘
그냥 평균인듯
19/03/13 22:26
수정 아이콘
논란을 잠재워줄 연봉 실수령표 입니다 크크
http://job.cosmosfarm.com/ko/calculator/salary
19/03/14 11:2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제경우 실수령액으로만 따지면 제가아는 제 연봉보다 몇백~천만 정도 높군요. 모르긴해도 회사에서 좀 덜때고 주고 연말정산때 좀 많이 정상되는듯 하네요. 인쎈은 따로나오고 포괄연봉이라 딱히 다른것이 붙지는 않을텐데...)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82170 [유머] 불패너.. 결혼 고민..txt [146] 꿀꿀꾸잉20136 20/04/06 20136
380821 [유머] 성공하려면 공대장을 해야하는 이유 [20] kapH11112 20/03/24 11112
373321 [유머] 아니, 삼각형 내각 합이 180도인거 누가 모르냐고 [36] KOS-MOS14575 20/01/03 14575
372527 [유머] 30대 이상만 안다는 컴퓨터 브랜드.jpg [18] 김치찌개9127 19/12/25 9127
371226 [유머] 2-30대 행복한 남성의 특징.jpg [65] 삭제됨15671 19/12/08 15671
370186 [유머] 10대때 몸매를 유지한 30대 [16] prohibit13513 19/11/25 13513
367244 [유머] 결혼 포기한 30대 여자백수.jpg [42] 미메시스20859 19/10/26 20859
367092 [유머] 안전이별 팁! [42] 스티프너13561 19/10/24 13561
366275 [유머] 30대 남자 히드라리스크 [21] TWICE쯔위9056 19/10/16 9056
362707 [유머] `갤노트=남성폰` 공식 깨졌다 [9] 홍승식10430 19/09/09 10430
361110 [유머] 30대들이 갑자기 운동하는 이유 [28] swear11159 19/08/24 11159
360467 [유머] 필리핀 기상예보의 적중률이 높은 이유 [12] 스토리북12034 19/08/16 12034
360464 [유머] 집값폭등 물려받은 세대 [31] ZZeTa11931 19/08/16 11931
360237 [유머] 한국역사상 최고동안 레전드.jpg [37] 차오루18225 19/08/13 18225
358793 [유머] 30대 보통 남자 스펙 공개.JPG [115] 비타에듀19290 19/07/28 19290
355897 [유머] 일본의 10대 40%, 이세계 가고 싶어하다. [36] 이호철12072 19/06/23 12072
355746 [유머] 전쟁나면 20,30대 참전 44%... [57] 삭제됨11420 19/06/21 11420
355076 [유머] 예측된 결말 [11] 길갈11359 19/06/12 11359
355061 [유머] 국가가 인정한 노안 [12] 이호철11017 19/06/12 11017
347609 [유머] 월 300만원이 많이 버는 편인가요? [145] 23cm32120 19/03/13 32120
343934 [유머] 인터넷 허언증.jpg [33] 킬리언 머피16806 19/01/21 16806
338715 [유머] 2, 30대 행복한 남성의 특징 [38] swear9091 18/11/09 9091
338146 [유머] 30대의 장점 [17] 나와 같다면11406 18/11/03 1140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