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19/02/27 09:19:15
Name BTS
File #1 눈치게임.jpg (101.0 KB), Download : 38
출처 유튜브 캡쳐
Subject [기타] 폴더블폰 근황


일!
..일!!
이..이일!!


와하하~
샤오미, 화웨이, 삼성 아웃!
자, 다시!!




애플, LG : (휴...)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시린비
19/02/27 09:28
수정 아이콘
1세대이기도하고 어디나 밝혀진 것 말고도 문제야 넘칠것 같지만
애플LG가 안도의 축배를 들 정도일지는 잘 모르겠네요
Lord Be Goja
19/02/27 09:31
수정 아이콘
애플은 모르겠는데 lg는 2세대시점에 1.5세대 맹들어올거같다는 느낌이
모나크모나크
19/02/27 09:31
수정 아이콘
오... 오른쪽 1/4이 잘린 사진을 붙인 게 폴더블인가 했는데 아주 절묘하게 잘려 보이는거였네요.
김철(34세,무좀)
19/02/27 09:40
수정 아이콘
삼성 것도 뭔가 문제가 나타난건가요? 잘 몰라서...
19/02/27 09:41
수정 아이콘
김철(34세,무좀)
19/02/27 10:04
수정 아이콘
헐 그렇군요. 감사합니다.
카루오스
19/02/27 09:58
수정 아이콘
뭐 그래도 만들어본놈이 더 잘 만들겠죠. 흠...
달포르스
19/02/27 10:32
수정 아이콘
(수정됨) 화면 주름, 우는 문제가 해결된다고 해도
폴더블이 완벽한 대세가 될것인가
저는 좀 회의적입니다.

가장 크게 이야기하는 구매 이유가
이걸 태블릿처럼 쓰면 되지! 하는데
정작 그 태블릿 시장 자체가 횟수로 5년전인
2014년부터 정체하다못해 쪼그라들었거든요.
사람들이 태블릿 자체를 아예 구매 안하게 된지
반십년이 됐다는 건데
이런 상황에서 무슨 메리트를 느낄수있을지..
미나리돌돌
19/02/27 10:41
수정 아이콘
기술자랑?
모나크모나크
19/02/27 11:13
수정 아이콘
들고 다니기 힘들어서 쪼그라 들었을 수도 있으니.. 지켜봐도 괜찮지 않을까 합니다.
카디르나
19/02/27 11:28
수정 아이콘
지금 폴더블폰이야 화면 주름, 우는 문제 때문에 살 마음 없지만, 완벽한 폴더블 폰이 나온다면 당연히 살 마음이 높죠. 태블릿은 들고 다니려면 무조건 가방이 필수이고 평소에 들고 다니다 떨어뜨리면 그냥 박살이라서 안쓰는 거지만, 폰만큼 튼튼하고, 주머니 넣고 다닐 수 있는데 사용할 때만 커질 수 있다면 아주 편하고 좋죠.
달포르스
19/02/27 15:39
수정 아이콘
아래 댓글로 갈음할게요.
몽키매직
19/02/27 12:24
수정 아이콘
예전에도 화면큰 스마트폰 누가 사냐고 했지만 결국은 화면이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화면 커져서 추가되는 만족도가 엄청나서 폴딩으로 2-3배씩 커지는 건 못 쳐줘도 대박 아이템입니다.
나중엔 폴딩 혹은 롤링이 기본이 될 거라 봅니다.

태블릿과의 비교는 적절하지 않은 건 태블릿을 안 쓰는 이유가 들고다니기 불편해서 인데,
접어서 현재 폰 크기면 그런 이유가 적용되지 않습니다.
달포르스
19/02/27 15:38
수정 아이콘
터치 인터페이스이후 스마트폰부터
다양한 사이즈의 태블릿, 노트북에까지 응용되었죠.
태블릿 경우에 7인치부터 10인치 까지
다양한 사이즈의 제품들이 나왔었어요.
그 다양한 태블릿 제품들이 현재에는
모두 10인치 언저리로 통일됐습니다.

7인치 정도의 태블릿이란게
실제 뭘해도 좀 애매한 포지션입니다.
큰 화면으로 뭘 보자할 경우
부가적인 거치대가 필요하고
억지로 각잡아주고 뭐 유튭이라도 보기엔 좀 작구요.

그래서 삼성갤탭s도 오래전부터 9인치후반~ 10인치 모델뿐이고
애플 아이패드 미니도 새모델 안나온지 4년 됐어요.

한손에 잡고 휴대하며 접고 편다면
큰화면이 대략 7인치에 수렴되는데
7인치는 태블릿 포지션으로 하기엔 애매하다고
시장에서 검증이 끝난 상태니까요.
훌륭한 기술이지만 실제 큰 수요가 있을까
의문입니다.
19/02/27 12:31
수정 아이콘
조심하세요. 2025년에 댓글 박제되어 돌아다니는 수가..
19/02/27 10:51
수정 아이콘
스마트폰 1세대도 문제가 많았지만 그때 피쳐폰 만들던 LG가 승자가 된건 아니죠
티모대위
19/02/27 11:19
수정 아이콘
그래도 삼성껀 정면에서 보면 문제없을것 같은데... 제가 돈이 많다면 사서 써봤을 듯...
타카이
19/02/27 11:28
수정 아이콘
LG 롤러블 디스플레이가 폰으로 안나오고 폰 악세로 출시하고 어쩌고하면서 시장이 형성되다가
증강현실 글라스쪽으로 끝날듯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46606 [연예인] 성공한 김장훈 덕후 후속영상 Endless Rain5552 19/02/28 5552
346605 [기타]  한정판 티셔츠 [2] Lord Be Goja6079 19/02/28 6079
346604 [유머] 광안대교 화물선 충돌 이유. [38] 삭제됨13793 19/02/28 13793
346603 [스포츠] 무에타이와 태극권의 접목 [5] 이호철7989 19/02/28 7989
346602 [기타] 북미회담 한장요약.jpg [16] 박찬호11434 19/02/28 11434
346601 [LOL] 조커센세 찡한 장면 [3] 7190 19/02/28 7190
346600 [유머] 최근 5년간 고교 내신 시험 유출 현황 [36] 23cm11246 19/02/28 11246
346599 [스포츠] 차원이 다른 피지컬 [21] 이호철10228 19/02/28 10228
346598 [게임] 항아리 게임 근황.gif [23] TWICE쯔위11091 19/02/28 11091
346597 [기타] 이글이글 열매 먹은 스모커 [21] 나와 같다면9735 19/02/28 9735
346596 [유머] 북미회담 파토가 모 만화가에게 미치는 영향. [8] 삭제됨9990 19/02/28 9990
346595 [유머] 광안대교 충돌영상 공유요청하는 CNN기자. [15] 삭제됨11646 19/02/28 11646
346594 [유머] 대한민국의 오늘 하루 요약 [8] 짱구10714 19/02/28 10714
346593 [기타] 광안대교 근황 [31] 블리츠크랭크12776 19/02/28 12776
346592 [게임] 전염병 주식회사 신 컨텐츠 [1] 이호철6575 19/02/28 6575
346591 [기타] 한국인의 웹사이트 접속 2019년 1월 버전+작년 [26] Lord Be Goja8789 19/02/28 8789
346589 [유머] 유부남의 본심 [32] swear12217 19/02/28 12217
346588 [유머] 1대1 남자의 싸움 [8] 파랑파랑9606 19/02/28 9606
346587 [기타] 지옥행 버스가 출발하였습니다.jpg [28] 김유라13778 19/02/28 13778
346586 [LOL] LPL과 LCK의 차이 [19] Leeka9086 19/02/28 9086
346584 [유머] 호불호 갈리는 프라모델 [11] 길갈9742 19/02/28 9742
346583 [유머] ??? : 사람은 고쳐쓰는거 아니다 [57] 야부키 나코13377 19/02/28 13377
346582 [동물&귀욤] 달마시안에게 시달리는 인절미 [12] 검은우산8902 19/02/28 890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