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19/02/26 00:27:31
Name 내일은해가뜬다
출처 트위치
Subject [LOL] 오늘자 루키 아칼리 (수정됨)






오늘 더샤이도 미쳤지만(바로 아래아래글) 루키도 현 세체미의 위엄을 가감없이 보여줬죠. (1세트 11/0/4)

9.2버전 아칼리지만 정말정말 플레이메이킹 하는게 오우야..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스위치 메이커
19/02/26 00:33
수정 아이콘
아 9.2에요? 아 그러면 이해가 되네요. 9.3에선 프로에서 절대 못 쓴다 그러던데...
은여우
19/02/26 00:36
수정 아이콘
더이상 저런 아칼리 대회에서 안봐도 되서 다행이네요. 스킬 설계가 정말 끔찍해요..
수분크림
19/02/26 00:43
수정 아이콘
근데 lpl 미드는 루키보다 나이트가 더 잘 한다는 얘기 있던데 아닌가요?
펠릭스30세(무직)
19/02/26 00:54
수정 아이콘
이거보고 LPL보는데 진짜 두렵던데요.

끝도없이 싸웁니다. LCK는 그 치욕을 당하고도 아직도 와드놀이 하는데. 지금 보는 게임이 20분에 24킬이 나오네요. 이렇게 싸우면서 경기하던 선수들과 우리처럼 시야놀이 하면서 성장한 '도련님'들과 싸우면.... 상대가 될까? 라는 생각이 듭니다.
스위치 메이커
19/02/26 01:00
수정 아이콘
붙어봐야 알죠.
어차피 공격성의 LPL 수비적인 LCK는 롤판에서 바뀐 적이 없었어요.
지난 한 해 졌다고 해서 벌써부터 졌다 소리 나올 필요는 없다 싶습니다.
펠릭스30세(무직)
19/02/26 01:07
수정 아이콘
왜 공격적으로 안하는 걸까요? 솔랭에서는 그 새가슴 프로들이 전부 점멸을 오로지 공격스킬로만 쓰고 달려들던데. 미친듯이 싸우던데.
사운드커튼
19/02/26 01:29
수정 아이콘
본인이 내부 인원으로서 알고 부연을 붙이는 게 아닌데 획신에 차신 것 같네요. 미친듯이 붙이시네.
Faker Senpai
19/02/26 07:06
수정 아이콘
결과만 놓고보면 운영위주의 한국이 롤드컵 5번, 공격적인 운영의 중국이 롤드컵1번 우승했습니다.
19/02/26 09:53
수정 아이콘
그1번이 최근인데요?
Faker Senpai
19/02/26 10:51
수정 아이콘
최근이니까 이런 이야기가 나오는거겠죠. 1와 5은 무척 큰차이입니다만 현재와 가장가까운 최근이니까 1의 무게를 무시할수 없으니까요.
경험상 한번일어난일이 꼭 두번일어나는 법은 없었지만 두번일어난일은 세번 네번 일어나더군요. 중국이 올해도 잘해서 2번우승할수도 있겠죠. 아닐수도 있고요. 잘하는 리그는 늘 잘하는 리그입니다.
김피곤씨
19/02/26 09:15
수정 아이콘
https://www.youtube.com/watch?v=G6BFt_ftLhc
이거 보시면 조금 도움이 되지 않을까요?
LCK는 로우리스크 로우리턴을 쌓아가는 방식이고 LPL은 하이리스크 하이리턴인거죠.
19/02/26 01:03
수정 아이콘
올해 양대리그 교전하는 것만 클립 따놓고 아이디 지우면 딱히 어디가 LPL이다, LCK다 할 수 없을걸요.
이건 심지어 상위팀이면 북미나 유럽도 마찬가지임... 타 리그 경기로는 어차피 판별이 안되더라구요. 붙어보기전엔 모름..
딜이너무쎄다
19/02/26 01:16
수정 아이콘
리그 불문 외국도 킬 안나오는 게임 있고, 한국도 진짜 끝도 없이 치고 박는 팀들이 있죠. 그리고 당장 고평가 받는 그리핀이 '끝도 없이 싸우는 팀'이 아니에요.
스위치 메이커
19/02/26 01:23
수정 아이콘
솔직히 그리핀이야말로 진짜 싸울 때 싸우고 불리할 때 빼는 게 확실한 팀이죠
사운드커튼
19/02/26 01:27
수정 아이콘
(수정됨) 삼블 삼화랑 삼블 크트아랑 킬데스로 비교하면 두 배 이상 차이가 납니다. 롤드컵 우승은 누가 했죠? 알고 말하나요?
19/02/26 01:13
수정 아이콘
저런 아칼리를 두번이나 킬한 헤카림 유저가 있다??
사운드커튼
19/02/26 01:15
수정 아이콘
(수정됨) 나이트가 달이지는밤 그 분 맞나요? 스타일이 안 닿는데요?
19/02/26 03:0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아닙니다 달밤 나건우는 유럽갔다 작년에 챌코복귀하고 승강실패했고 lpl나이트 국내솔랭아이디는 띵구입니다
반니스텔루이
19/02/26 03:08
수정 아이콘
다른사람입니다
카바라스
19/02/26 14:54
수정 아이콘
lpl 나이트는 중국인입니다. 솔랭 최고 유망주 중 하나였죠
카바라스
19/02/26 01:17
수정 아이콘
9.5에 아칼리가 돌아올까 두렵습니다..
19/02/26 01:57
수정 아이콘
롤드컵 시즌에 맞춰 돌아온다면 호달달
세오유즈키
19/02/26 03:31
수정 아이콘
화면이 안 나와요...트위치는 매번 이러네요.저만 이런가요
솜방망이처벌
19/02/26 07:49
수정 아이콘
크롬으로보세연
애플주식좀살걸
19/02/26 04:19
수정 아이콘
롤드컵 꿀잼 기대됩니다 크ㅡ
쿼터파운더치즈
19/02/26 09:07
수정 아이콘
(수정됨) epl 라리가 세리에도 스타일 완전 다르죠 lck와 lpl lec도 그런 차이라고 생각합니다
케스파컵이나 초중반에 스타일 바꿔보려고 많은 팀들이 노력하던데 결국 원래 모습으로 돌아가는거보면.. 굳이 스타일 바꿀 필요없이 증명하면 되는거라 봐요
lpl lck한테 맨날 지던 시절엔 edg같은 팀을 필두로 한국식 와드놀이 따라하고 그랬어요 운영 특히 폰데프트나 마타 있는 팀은 더더욱이요 근데 결국 실패했고 원초적인 lpl스타일로 증명한거죠 작년에
백년지기
19/02/26 09:33
수정 아이콘
여러 말들이 나오지만 가장 중요한 팩트는 작년 롤드컵 우승은 LPL이라는거.
19/02/26 10:01
수정 아이콘
와 9.3에도 쓸만한가? 하고 들어왔다가.. 이런.. ㅠㅠ
19/02/26 13:55
수정 아이콘
최신 메타가 교전 지향적인 메타고 작년에 중국에게 완패 했기 때문에 충분히 우려섞인 반응이 나올 수 있죠.
반대로, 우리가 예전에 운영 중심으로 5번 해먹었을 때는
중국 쪽에서 '피지컬은 우리도 밀리지 않거나 우리가 더 위다. 하지만 우리도 싸움보다는 운영적인 측면을 탑재해야 한다' 고 말이 나왔던 거구요.

저도 LPL의 시원시원한 싸움이 참 보는 맛은 있으면서도, 작년 모든 국제대회에서 패배했기 때문에 우려가 안 될수가 없더군요.
대처 자체가 힘든 이니시 챔프들이 많이 너프된 상황에서도 저렇게 싸워대면,
경기당 교전각을 보거나 설계하는 능력향상과 교전시 메카닉 획득 경험치가 LCK와는 어마어마하게 차이가 날 거 같거 같거든요.

붙어보기 전까지는 모르는 거지만,
최근에는 중국 쪽 운영이 딱히 밀리지도 않고 교전으로 거두어 가는 이득이 훨씬 큰 메타라, 우려가 되긴 합니다.
그리핀은 잘 해줄 거 같은데 그 밑으로는 꽤 밀릴 거 같아요.
내일은해가뜬다
19/02/26 13:57
수정 아이콘
작년 롤드컵에서 운영은 해외팀이 더 잘했죠. LCK는 킹각선의 법칙은 어디갔는지 양쪽에서 동시에 손해보고... 기존 방식대로 운영이라도 잘했다면 조별따리, 8강따리 하지도 않았을겁니다.
19/02/26 14:04
수정 아이콘
운영이라는 개념을 어디부터 어디까지 볼 거냐에 따라 다를텐데,
저는 작년엔, 운영을 해외가 더 잘했다라고 평가할 수 있는 시점 돌입하기도 이전에
그냥 손가락 차이로 게임이 져있었다고 봅니다.

챔프 숙련도에서는 우르곳, 아칼리, 르블랑, 이렐리아, 아트록스에 대한 연습이나 활용이 너무 형편 없었던 점,
교전을 걸고 굴리는 게 훨씬 중요한 메타에서도 하던대로 받아치는 방식의 연습과 훈련을 해왔던 점 등으로
(당시 챔프 성능상 날개 운영보다보다 뭉쳐서 이니시를 거는 쪽이 무조건 유리함.)

어디가 운영을 잘하고 좋다 평가하기 이전 단계에서 게임이 성립이 안된거라고 봐요.
그냥 박살이 난거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46526 [게임] 넥슨 인수전 뉴페이스 참전 [30] Leeka9188 19/02/27 9188
346525 [LOL] 꾸역꾸역 다이아를 올라온 그 해설 [30] 딜이너무쎄다8571 19/02/27 8571
346524 [유머] 무시무시한 햄스터 트랩 [5] 파랑파랑7438 19/02/27 7438
346523 [유머] 자전차왕 엄복동 명대사.JPG [11] 파랑파랑9580 19/02/27 9580
346522 [유머] 일(공부)은 안하고 게임은 계속하는 패턴.txt [3] Right7078 19/02/27 7078
346521 [유머] PGR 회원 넘버 1~10 [31] 길갈7744 19/02/27 7744
346520 [기타] 슈퍼마이크로 메인보드 새로운 백도어 의혹 [7] Lord Be Goja9174 19/02/27 9174
346519 [서브컬쳐] 초딩 맥심 (후방주의) [38] 리자몽16573 19/02/27 16573
346518 [유머] 국도 지나갈 때 특징 [21] ZZeTa10085 19/02/27 10085
346516 [동물&귀욤] 부트캠프 설치 완료 [7] 길갈6477 19/02/27 6477
346515 [유머] 모친께서 굴김치를 좋아하셨나보군요. [15] 이호철10420 19/02/27 10420
346514 [동물&귀욤] 코박죽 안마시술소 [5] 미캉7187 19/02/27 7187
346513 [동물&귀욤] 곰고기 소금절임 [9] 미캉7655 19/02/27 7655
346512 [동물&귀욤] 천하의 인절미도 참을 수 없는 것 [15] 검은우산9400 19/02/27 9400
346511 [유머] 레고가 90년대 위기를 극복한 방법.jpg [31] 홍승식10356 19/02/27 10356
346510 [유머] 일행을 모집하는 오타쿠 [7] 미캉9312 19/02/27 9312
346509 [게임] 시리즈의 정체성과,팬들의 요구가 무엇보다도 중요했던 게임(후방) [12] Lord Be Goja8144 19/02/27 8144
346508 [유머] 어이없는 PGR 광고 [38] 미캉8502 19/02/27 8502
346507 [스타1] 구제역 방어한 충주시 포스터 [16] swear8406 19/02/27 8406
346506 [기타] 공익급 평발 [8] 이호철7460 19/02/27 7460
346505 [유머] 프랑스에서 라면 먹지 말아야 하는 이유...씁쓸.. [14] 복슬이남친동동이10201 19/02/27 10201
346504 [유머] 피지알러들이 좋아하는 아이스크림.jpg [13] 홍승식7510 19/02/27 7510
346502 [LOL] 형 혹시 '그 장면' 알아? [10] Dune8196 19/02/27 819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