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19/02/06 20:52:52
Name 삭제됨
출처 엠팍
Subject [유머] 외국인이 느낄 한국어의 난이도 체감.jpg (수정됨)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9/02/06 20:55
수정 아이콘
뭐라는거여...
오클랜드에이스
19/02/06 20:59
수정 아이콘
외국어로서 한국어를 배우는 것보다는 외국어로서 영어를 배우는게 나은것 같습니다...
Ryan_0410
19/02/06 22:42
수정 아이콘
아무래도 세계 공용어인 영어는 전 세계 언어로 번역된 다양한 교수법이 존재하지만
한국어는 상대적으로 자료가 부족하다 보니 더 그렇게 느껴지는 것 같습니다.
솔로14년차
19/02/06 22:56
수정 아이콘
모국어와의 차이가 얼마냐에 달려있는 거죠.
그런면에서 대부분 영어가 한국어보단 낫겠지만요.
패스파인더
19/02/06 21:00
수정 아이콘
제가 이렇게 어려운 한국어를 어떻게 배웠죠??
19/02/06 21:05
수정 아이콘
미국 평범한 사람도

영문법같은거 들이밀면 못맞출껄요

한국인이 수능 언어 다 만점받는것도 아니니까요


말이 유창한거랑 문법이랑은 좀 다르니까요
Ryan_0410
19/02/06 22:43
수정 아이콘
우리는 배우지 않았습니다.
많이 듣고 많이 말하는 "익힘"의 과정으로 습득하게 된 것이죠.
원어민은 이렇게 모국어를 익힙니다.

하지만 외국어는 배워야 합니다. 그래서 참 어렵죠.
Hastalavista
19/02/06 21:01
수정 아이콘
그래도 문자는 아랍어보다 배우기 쉬우니 더 나은 걸로...
MissNothing
19/02/06 21:02
수정 아이콘
외국어 배우다보면 역으로 한글을 다른사람에게 어떻게 가르칠까 한번씩 생각해보는데
숨이 턱 막히죠 크크크크
Ryan_0410
19/02/06 22:44
수정 아이콘
한글?이 아니라 한국어.. 겠죠? 한글은 엄청 가르치기 쉽습니다.
다만 이 한글을 읽을 때 방생하는 다양한 음운변화를 가르치는 것이 힘들죠.
최종병기캐리어
19/02/06 21:03
수정 아이콘
한글은 쉬워.. 한국어가 어려워..
Ryan_0410
19/02/06 22:44
수정 아이콘
맞습니다.
아침이밝았다
19/02/06 21:05
수정 아이콘
이걸 보니 1골 2어씨 어떻게 읽느냔 질문이 기억나네요.
19/02/06 21:14
수정 아이콘
갤럭시 세븐과 갤럭시 팔이 생각나네요
Ryan_0410
19/02/06 22:45
수정 아이콘
3시3끼
3시3분

이게 최고죠.
솔로14년차
19/02/06 22:58
수정 아이콘
전 기본적으로 '한 골 이 어시'가 맞다고 봅니다.
칸나바롱
19/02/06 21:06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주어 생략이 좀 별로인거 같아요.. 복잡한 지문 읽을때도 주어 없으면 그거 한참 고민해야함..
19/02/06 22:09
수정 아이콘
이 글도 주어가 없..
닉네임좀정해줘여
19/02/06 22:22
수정 아이콘
제가 빵 터졌습니다.
Ryan_0410
19/02/06 22:46
수정 아이콘
키야
김솔로_35년산
19/02/06 23:58
수정 아이콘
크크크크크크
존코너
19/02/07 00:38
수정 아이콘
크크크크
집으로돌아가야해
19/02/07 01:14
수정 아이콘
노렸다고 믿고 싶네요;;
시뻘건거북
19/02/07 05:50
수정 아이콘
주어 있는것 같은데
주어 생략 ==> 주어
별로입니다. ==> 술어
영어로 하면 personally, the omit of a subject is somewhat not great.
그거 ==> 주어
고민해야함 ==> 술어
영어로 하면 while reading an involved style sentence, the absence of a subject, it makes things troublesome.
이정도 될까요?
아닌가?
나는 a 랑 the가 넘나 헷갈리던데.
19/02/07 11:20
수정 아이콘
'저는'이라는 주어가 생략된거 아닌가요
티모대위
19/02/07 12:59
수정 아이콘
맞아요. 게다가 동사도 사실 함축되었죠.
[저는 개인적으로 주어 생략이 좀 별로라고 생각해요] 가 완전한 문장인 듯... 크크
ComeAgain
19/02/06 21:06
수정 아이콘
반대로 한국인이 느끼는 영어 등 외국어의 어려움이기도 하죠.
주어? 문장 형식??
저격수
19/02/06 21:07
수정 아이콘
환국이 세계를 지배했더라면 서양인들이 한국어를 도저히 배울 수가 없어서 문명의 발전 차이가 유지됐을 텐데요.
세크리
19/02/06 21:07
수정 아이콘
진짜 게르만어족과는 한것 떨어져있는 한국어라...
Ryan_0410
19/02/06 22:46
수정 아이콘
양 극단에 있는 언어죠. 세상에 이럴 수가 있나 싶을 정도
월급루팡의꿈
19/02/06 21:09
수정 아이콘
아오 머리아프네.. 크크크
독수리의습격
19/02/06 21:09
수정 아이콘
내가 외국인이면 초급때는 주어 생략이 어려울거 같고 중급 이상으로 넘어가면 높임말에 진짜 돌아버릴 거 같음 크크
Ryan_0410
19/02/06 22:52
수정 아이콘
주어 생략은 조금 나중에 나옵니다. 중급이상.
일단 처음에는 주어 생략의 개념 자체를 얘기를 안해줘요.
그래서 처음에는 외국애들이 말을 이렇게 합니다. "나는 배고프다.", 나는 추워요."
이러다가 한국인 친구들 사귀면서 실제 회화에서는
"회화에서 주어가 명백한 상황에서는 그 주어를 생략하는 것이 더 자연스럽다."는 개념을 배우게 됩니다.
그러면 이제 헷갈려 하죠.

초반에는 "어미변화" 라는 개념 자체에 대해서 굉장히 힘들어 해요.
반갑습니다.
반가워요.

이 둘이 어떠한 차이가 있고 어떠한 규칙으로 변하는지 규칙을 외워도 힘들고 안 외워도 힘들고 힘들게 외워도 예외가 너무 많아서요.

그리고 숫자 체계가 순 우리말과 한자어가 존재하고 (사실 이것은 모든 상황에서 존재하는 어려움입니다. 옷을 빨다 = 세탁하다, 차를 몰다 = 운전하다)

각각의 명사를 셀 때 마다 단위가 존재하고 (차 - 대, 꽃 - 송이, 나무 - 그루)
각 단위 앞에 붙는 숫자마다 순 우리말과 한자어를 골라가며 써야 하고 규칙이 있음에도 불규칙도 너무 많아서 힘들어 합니다.

쓰다 보니 길어졌네요. ㅠㅠ
타츠야
19/02/06 21:09
수정 아이콘
독일 사람에게 독일어 문법 물어보면 모르는 경우 허다합니다. 이 표현에서 왜 이렇게 격이 변하냐고 하면 "몰라. 그냥 그렇게 쓰는데?" 라고 합니다.
학문으로 배우면 모든 언어가 다 어렵습니다.
서린언니
19/02/06 21:28
수정 아이콘
독일어 제일 어려웠던거 남성형 여성형이죠. ... 진짜 규칙이고 뭐고 아무것도 없고 그냥 다 외워야하는...
Ryan_0410
19/02/06 22:54
수정 아이콘
사실 명사에 성별이 존재하는 것은 대부분의 유럽어가 그렇더라고요.
잠실 롯데타워를 보고 "She's tall!" 하던 프랑스 친구가 생각 나네요.
19/02/06 21:10
수정 아이콘
진짜 영어가 참 쉬운 언어인거 같아요..
Ryan_0410
19/02/06 22:54
수정 아이콘
이건 사실입니다.
다만 우리에게 너무나 어려운 언어라는 것이 안타까울 뿐이죠. ㅠㅠ
홍승식
19/02/06 21:13
수정 아이콘
자국어 문법은 뭔가 어색한데? 라면서 느끼는거지 논리적으로 배우는게 아니죠.
돼지도살자
19/02/06 21:14
수정 아이콘
아랍어 윈
숫자체계 두개인건 우리도 헷갈려 크크
19/02/06 21:17
수정 아이콘
gyosire 는 저렇게 가르칠 필요가 있나요?
그냥 에 가 e 발음이니까,

gyo-sil-e 이렇게 발음하라고 시키면 되는거 아닌가요?
교실에 교실에 하다보면 교시레라고 쓰고 다들 알아듣고 할텐데..
MirrorShield
19/02/06 21:21
수정 아이콘
l 발음이 r 발음으로 바뀌는게 포인트입니다.
19/02/06 22:03
수정 아이콘
(수정됨) 그게 아니라,
따로 따로 발음하는거죠.
교실 + 에.
이걸 빨리하다보면 교시레가 자연스럽게 되는거고.
표절작곡가
19/02/06 21:24
수정 아이콘
교실레라고 발음할걸요~?
잘은 몰라도
L발음이 우리가 생각하는 리을과는
좀 다른 발음일겁니다.
Ryan_0410
19/02/06 22:56
수정 아이콘
이게 정답입니다.

gyosile
[교실레]
gyosire
[교시레]

이렇게 발음 됩니다.
아이군
19/02/06 21:17
수정 아이콘
정말 이걸 다 받아주는 한글의 위대함이란...

중국어랑 일본어는 성조랑 글짜 때문에 어렵다면, 한국어는 그냥 순수한 문법으로 조지는 느낌이라서....
독수리가아니라닭
19/02/06 21:19
수정 아이콘
다른 언어에 비해 음운변화가 변화무쌍한 건 사실인 것 같습니다
달콤한휴식
19/02/06 21:20
수정 아이콘
띄어쓰기랑 맞춤법 영역으로 가면 자국민도 한국어 어렵습니다
파이몬
19/02/06 22:46
수정 아이콘
장문 쓸 때는 맞춤법 검사기 씁니다..
Ryan_0410
19/02/06 22:56
수정 아이콘
띄어쓰기는 진짜 문제 있죠..
반다비07
19/02/06 21:24
수정 아이콘
나름 과학적이라고 국뽕매겼는데 그게 아니네 개어려움
블루태그
19/02/06 21:34
수정 아이콘
한글은 과학적이지만
한국어는...절레절레
스카피
19/02/06 22:05
수정 아이콘
언어는 인공어가 아닌 이상 과학적일 수가 없죠.
Ryan_0410
19/02/06 22:59
수정 아이콘
한글과 한국어는 다르니까요~
글자와 언어는 다른겁니다.

한글은 쉬운 글자지만
한국어는 "배우기에"는 별로 좋지 않습니다.
몽키.D.루피
19/02/06 21:29
수정 아이콘
전 오히려 초보들에게는 한국어가 더 쉽다고 봅니다. 영어는 어느정도 문장을 구성하지 않으면 의사소통 자체가 안되는데 한국어는 조사없이 단어만 쭉 나열해도 어색하지만 문장이 되거든요. 심지어 영어식으로 동사를 목적어보다 먼저 써도 이해하는덴 무리가 없습니다.
Zoya Yaschenko
19/02/06 21:44
수정 아이콘
Father in bag
Ryan_0410
19/02/06 23:01
수정 아이콘
영어도 단어만 그냥 나열해도 아무 문제 없습니다.
영어를 못해도 해외 여행 잘 하고 그러지 않나요?
몽키.D.루피
19/02/06 23:11
수정 아이콘
쉽게 예를 들어 I school go 해도 문장은 이상해도 알아는 듣죠. 근데 school go I 이래버리면 문장 뜻이 아예 달라집니다. 근데 한국어는 [나 학교 가] [학교 나 가] [가 나 학교] 어떻게 말하든 문장 뜻은 통한다는 애깁니다. 본문에 나오는 상황에 맞게 때려맞추는 의사소통이 문법적으로 노답이지만 실제 초보수준에서는 이게 더 편할 수 있다는 거죠.
19/02/06 21:38
수정 아이콘
책을 너무 어렵고 불편하게 썼네요
Ryan_0410
19/02/06 23:02
수정 아이콘
맞습니다. 아직 양질의 교수법이 없다는 것도 문제입니다.
한국의 위상이 올라가고 한국어를 찾는 외국인이 많아 진다면 더 좋은 책이 나올 거라고 생각합니다.
파핀폐인
19/02/06 21:40
수정 아이콘
어 렵 다!
비익조
19/02/06 21:44
수정 아이콘
문법대로 조지면 어려운데 그냥 뜻만 통하게 대충 단어 나열하는 방식으론 알아먹기 쉬운 언어 같은데
Ryan_0410
19/02/06 23:04
수정 아이콘
그건 한국어도 영어도 마찬 가지 입니다.
man drink coffee caffee
I go new york
난 원해요 용산
난 삽니다 치킨

그런데 어떠한 언어를 "배우는" 사람들은 이렇게 말하고 싶은 건 아닐테니까요.
Bellhorn
19/02/06 21:45
수정 아이콘
저도 미국살다와서 학교에서 시험볼때 항상 구냥 술술 읽히고 말이되는걸 찍었고 점수가 높았는데 친구들이 이건 왜 이거야? 라고 하면 대답을 못해줬어요.. 그냥 자연스럽게 읽히는데.. 라고만
유자농원
19/02/06 21:49
수정 아이콘
언어는 애당초 다들 쉬운게 없는 것 같아요. 일본어 쉽다는것도 한국어랑 어순때문에 상대적으로 유사성이 있어서 그렇다는거지 자체난이도는 쉽지않을듯
19/02/06 21:59
수정 아이콘
성문기본한국어?
19/02/06 22:15
수정 아이콘
한국어 굉장히 어렵습니다..우리는 네이티브니까 못 느끼는거지..
게다가 언어 구조도 서구권의 그것과 다르구요.

하다못해 우리랑 언어구조가 비슷해서 그나마 쉽다는 터키어 좀 봐보니까
그넘의 변화가.....

외국인이 느끼기에 한국어 상당히 괴랄할겁니다..
솔로14년차
19/02/06 23:07
수정 아이콘
숫자 설명이 좀 이상하네요.
보통 한국 고유어 숫자는 '세는' 개념으로 많이 쓰이죠. 외국인에게 설명하기 어렵긴 한데, 본문의 설명은 그냥 아무것도 설명하지 않은 거나 마찬가지죠.
게다가 우리는 아라비아 숫자를 한자발음과 한국고유어로만 읽지 않습니다. 은근히 영어로 읽는 경우도 많아요. 대표적으로 편의점에서 '2+1'행사를 할 때 '이더하기일'행사라고 읽는 사람은 거의 없죠. 저 문자에 알파벳은 전혀 없지만요.
Ryan_0410
19/02/06 23:11
수정 아이콘
어쩌다 보니 대댓글을 많이 달았네요.

학습이라는 것은 배울 학에 익힐 습이 합쳐진 단어죠.
모국어는 수년 간 듣고 따라 말하며 자연스럽게 습득하게 됩니다.
익힘을 한 것입니다.
외국어는 여기에 배움까지 더해져야 합니다.

그래서 배우고 있는 외국인에게 익힘만으로 습득한 원어민은 모국어를 가르칠 수가 없는 것입니다.
원어민은 그저 옳게 잘 쓸 뿐이죠. 그걸 왜 그렇게 쓰는지 이유는 모릅니다.

이미 모국어가 자리 잡힌 성인이 된 이후에는 익힘만 가지고는 습득이 되지 않습니다.
사고력과 논리력, 추리력을 바탕으로 배우고 나서 모국어를 습득했던 것 만큼 익힘의 과정이 필요합니다.
그러니 외국어를 배운 다는 것이 참 힘든 것 이지요.

외국어 하시는 분들 모두 힘내세요~
19/02/06 23:36
수정 아이콘
그릇은 plate구요
그릇된은 wrong이예요
긴 하루의 끝에서
19/02/07 00:06
수정 아이콘
위 내용 중 일부는 영어를 기준으로 한국어를 이해하려고 하니 오히려 더 복잡하고 어려워지는 것 아닌가 싶네요.
존콜트레인
19/02/07 00:45
수정 아이콘
영어 화자로선 영어를 기준으로 이해를 할 수 밖에 없죠...
긴 하루의 끝에서
19/02/07 00:14
수정 아이콘
경험상 한국어를 아무리 잘하는 외국인이라고 할지라도 어려서부터 한국에서 나고 자란 사람이 아닌 이상에야 자음동화나 구개음화 같이 연음 상황에서 발생하는 발음의 변화를 완벽하게 구사하는 경우는 본 적이 없는 것 같습니다.
괄하이드
19/02/07 01:19
수정 아이콘
19/02/07 02:03
수정 아이콘
다른것도 그렇지만 띄어쓰기는 진짜 노답입니다.

띄어쓰기는 그냥 포기.
탐나는도다
19/02/07 03:32
수정 아이콘
한글이라도 쉬운게 어딥니까....
말하기 듣기만 하면 대충 쓸수있을듯
아 근데 맞춤법......
19/02/07 09:32
수정 아이콘
외국어를 책으로만 배우는게 참 미련한 짓이라는건 확실하네요.
블레싱
19/02/07 12:46
수정 아이콘
제가 공시 준비하면서 영어와 국어의 (모국어라면 공부가 아닌 자연스레 체득하는)문법들을 공부해보니 한국어가 모국어임에도 영어가 훨씬 간단하더라고요... 한국어가 발음이나 문법이 불규칙적인거나 예외가 훨씬 많아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72180 [유머] 싸커킥 참기 - 난이도 : 지옥 [23] Star-Lord8725 19/12/20 8725
372046 [유머] 모 대학 기말고사 난이도.JPG [12] TWICE쯔위12915 19/12/18 12915
365299 [유머] [365272번글 관련] 개인적으로 꼽는 연산교차로보다 더한 공략 난이도의 교차로 [15] giants6616 19/10/06 6616
364957 [유머] 나비탕 참기 난이도 최상급(pgr 정체성 주의) [5] 에셔6917 19/10/02 6917
361583 [유머] 이거 정말 오지네요... [15] 허니드링크8945 19/08/29 8945
361324 [유머] 국가별 수도 문제 난이도 증가.indonesia [11] 홍승식9270 19/08/26 9270
359905 [유머] 역대급이었던 2018년 여름 [43] 길갈11063 19/08/10 11063
355375 [유머] 쇼팽의 평범한곡(?) 난이도 체감하기 [16] Croove10524 19/06/16 10524
355364 [유머] [펌]제자리에서 270도 걷기 보고 생각난 아둥바둥거리면서 턱걸이 하는 영상 [4] 아즈가브7421 19/06/16 7421
351793 [유머] 난이도 하.. 남자어 듣기평가.jpg [49] 삭제됨11697 19/05/02 11697
351011 [유머] take home 시험을 제출한 교수의 심정 [55] OrBef13926 19/04/23 13926
350881 [유머] [캐치마인드] 알면 허무한 캐치마인드 2탄 - 문제 4개! [34] Typhoon6846 19/04/22 6846
350878 [유머] [캐치마인드] 알면 허무한 캐치마인드 1탄 - 문제 4개! [29] Typhoon6651 19/04/22 6651
349422 [유머] 15달러로 삼국지 인물 드래프트하기 ver 2 [47] OrBef7133 19/04/04 7133
348079 [유머] 손동작 난이도 [9] 파랑파랑7767 19/03/20 7767
347017 [유머] 미세먼지 난이도 [7] SC29034 19/03/05 9034
346456 [유머] 난이도 최상. 술자리게임 [165] 키류14732 19/02/26 14732
345849 [유머] 핸드폰 중독 테스트. 최최상위 난이도. [110] 복슬이남친동동이11739 19/02/18 11739
345071 [유머] 외국인이 느낄 한국어의 난이도 체감.jpg [78] 삭제됨19755 19/02/06 19755
343467 [유머] 뽑기집 사장님의 묘수 [15] 짱구12808 19/01/14 12808
343228 [유머] 술집 알바가 느끼는 손님별 난이도 [105] swear19476 19/01/10 19476
343152 [유머] 343147게시글본후)우리를 봤을 때 반응 [14] 킬리언 머피6475 19/01/09 6475
341587 [유머] 손 모양 난이도 [18] 인간흑인대머리남캐10040 18/12/18 1004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