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19/01/27 12:44:16
Name Croove
출처 유튜브
Subject [유머] 그래프로 보는 연도별 세계 GDP 순위 변화 TOP40
천조국의 위엄


세계 기업 순위 TOP10 변화 2000~2018

기업가치가 줄어든게 아닌데 그래프상 상대적으로 순삭당하게 만드는 애플,구글의 위엄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돌심보
19/01/27 12:52
수정 아이콘
아직도 삼성이 세계기업 순위에서 경쟁한다는 사실이 신기하네요. 게임기 수입해서 팔고 그랬었는데.
바카스
19/01/27 14:35
수정 아이콘
원래 대구에서 쌀 팔던데 아니였던가요? 크크 반도체 특히 일본이 버린 ram 산업을 기가 막히게 잘 들여오고 모바일, ssd 초호황 슈퍼사이클을 잘 소화해낸거죠. 세트쪽은 옴니아도 확실히 버리고 갤럭시를 연착륙시키구요.
19/01/27 17:16
수정 아이콘
우선 기업순위의 경우, 매출/규모/순익/가치 등의 순위가 아니고, 브랜드 가치 순위입니다(숫자를 보면 Interbrand에서 따온 값). 브랜드 가치는 평가 방법이 한두가지가 아니고 각각의 방법도 구체적으로 들어가면 매우 복잡하지만, 브랜드 가치에서 가장 핵심적인 것은 기본적으로 똑같은 물건(물론 회사마다 물건/서비스가 완벽하게 동일하진 않습니다만)에다 그 브랜드를 붙여 팔았을 때 얼마나 바가지를 씌울 수 있는가 그리고 그렇게 바가지 씌운 물건을 총 얼마나 팔 수 있는가입니다. 한마디로 브랜드를 붙였을 때 가능한 바가지 총량의 현재가치가 곧 브랜드 가치입니다.

애플은 타회사 대비 수백달러 정도 바가지를 붙인 스마트폰을 연 2억대 이상씩 꾸준히 팔고 있는 회사니까 당연히 브랜드 가치가 높은 것이고, 엑손모빌이나 쉘 같은 정유사들은 00년대 중후반 고유가 시절에 한동안 요즘 애플과 비슷한 규모의 순이익을 계속 기록했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브랜드 가치가 그다지 안 높은건 '우와 Mobil' '우와 Esso' '우와 Shell' 하면서 기름값 리터당 1-2백원 더 내고 거기만 찾아가서 주유하는 사람이 없기 때문입니다. 기업가치는 기본적으로는 (향후) (안정적인) 순익 창출 능력에 달려있는 것이기 때문에, 브랜드 가치와 정비례하는 것은 아닙니다. 아람코 같은 회사는 기업가치는 매우 높지만 브랜드 가치는 별로 없고, 코카콜라나 질레트 같은 것들은 기업가치나 규모에 비해서 브랜드 가치가 꽤 높은 편이죠.

삼성의 경우 어느 정도 밸런스형인데, 애플처럼 대당 수백달러씩 바가지 씌우는 제품(S/노트)는 겨우 수천만대밖에 못 팝니다만, 어쨌든 경쟁 제품 대비 약간 허접한 스펙으로 만든 중저가폰을 미묘하게 비싸게 팔면서 그걸 연간 수억대씩 파니까 여기서 브랜드 가치가 주로 나옵니다(+@로 일반가전). 반면 현재 이익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반도체쪽은 소비자가 애초부터 소비자가 일반 개인이 아닌 기업이 주를 이루는 시장이기 때문에, '우와 삼성 RAM' '우와 삼성 NAND' 하면서 사는 분야라기 보다는 정유나 금융과 비슷한 분야고 그래서 브랜드 가치와는 크게 관련이 없습니다. 다만 반도체 시장이 호황이라 이쪽 이익이 아주 높은 관계로, 순익 랭킹으로 하면 오히려 순위가 올라갑니다. 리스트상 회사 중 순익 랭킹으로 해도 TOP 10에 들어가는 회사는 애플과 삼성 뿐이고, 나머지 자리는 원래 금융이나 정유사들이 채우는 것이 보통입니다(요즘에는 유가가 낮아서 정유사 실적이 부진하지만).

바가지를 순익랭킹 TOP10에 들어갈만큼 대규모로 씌우는데 성공한 회사는 그리 많지 않습니다. 원래부터 특성상 규모가 큰 자동차 회사들은 가끔씩 성공하기도 하는데(예를 들어 도요타는 동급차를 다른 일본차나 미국/한국차 등에 비해 5-10%쯤 비싸게 팔면서 볼륨은 계속 1위/천만대 근처를 유지하고 있어서 가끔씩 순익 TOP10에 들어오기도 함), 그 외에 바가지 씌우기로 순익 TOP 10에 들어온 것은 거의 독점에 가까운 시장을 가지고 있는 인텔과 마이크로소프트 뿐이고, 이런건 사실 브랜드로 바가지를 씌웠다기 보다는 독점시장이라 그럴 수 있었던 것에 가깝죠. 노키아 등은 최전성기에도 순익이 금융이나 정유쪽 대기업에 견줄만한 정도는 아니었고요.
돌심보
19/01/27 17:59
수정 아이콘
뭔가 엄청난 답변이네요.
홍승식
19/01/27 13:17
수정 아이콘
미국이 최상단에서 고정이 되니까 아래 나라들 그래프가 늘었다 줄어드는게 신기하네요.
19/01/27 13:21
수정 아이콘
이건 오히려 일본의 위엄이라고 해야하나?
여기서는 구 공산권이 빠져있는데 소련경제가 어느정도 규모였는지가 궁금하네요.
감전주의
19/01/27 13:28
수정 아이콘
일본이 대단하긴 했네요. 미국이 위협을 느낄만 했군요.
쿼터파운더치즈
19/01/27 13:41
수정 아이콘
삼성이 대단하긴 해요
그리고 거품경제 꺼지면서 몰락하는 일본이 눈에 확 띄네요
19/01/27 13:51
수정 아이콘
와 노키아가 저 정도였구나
19/01/27 15:16
수정 아이콘
노키아는 정말 업계에서 신이었습니다. 이렇게 몰락할 꺼라고는 상상도 할 수 없었던..
레가르
19/01/27 15:30
수정 아이콘
아마존의 기세도 무섭네요. 조만간 애플. 구글 따라잡겠네요
나스이즈라잌
19/01/27 16:45
수정 아이콘
차를 거의 하나도 모르는데 도요타가 저정도로 큰 회사였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44489 [LOL] 100T 안다-후히-아프로무에 묻혔지만 오늘나온 하드쓰로잉 [18] telracScarlet7440 19/01/28 7440
344488 [게임] [벽람항로] 대단한 깡을 지닌 일러레 [3] 라플비6930 19/01/28 6930
344487 [방송] 가장 완벽한 한국어 패치 [46] 무라세 사에16982 19/01/28 16982
344486 [기타] 솔로인 이유.JPG [29] 비타에듀14052 19/01/28 14052
344485 [기타] 남자 끼부림 [13] 쎌라비10176 19/01/28 10176
344484 [게임] 국적 제한이 없는 오버워치 리그의 결말 [36] Leeka10511 19/01/28 10511
344483 [기타] 코딩 [15] 쎌라비7890 19/01/28 7890
344481 [동물&귀욤] 내게 도대체 뭘 원하는거냐 닝겐... [6] 검은우산7557 19/01/28 7557
344480 [LOL] 어웨이큰 관련 : 카자흐스탄 모델 “롤, 이렐리아에 내 얼굴 도용” 주장 [45] 타카이16433 19/01/28 16433
344479 [기타] 불 붙으면 난리날것 같은 미투 [108] 쎌라비15663 19/01/28 15663
344477 [기타] 약속시간 자주 늦는 사람 마인드 [56] 쎌라비14184 19/01/28 14184
344475 [유머] 출소 [5] 인생의낭비8235 19/01/28 8235
344474 [유머] 몇키로짜리 뛰셨나요?.jpg [37] 김치찌개10810 19/01/28 10810
344473 [유머] 무난한데 싫어하는 사람 은근 많은 음식.jpg [21] 김치찌개8787 19/01/28 8787
344472 [유머] 재미로보는 스낵 계급도.jpg [42] 김치찌개8508 19/01/28 8508
344471 [유머] 37%의 확률로 이분들 직업 모르시는분들 계심.jpg [29] 김치찌개9932 19/01/28 9932
344470 [LOL] 챔피언의 패러다임을 바꾸다 [20] 스위치 메이커8712 19/01/28 8712
344469 [동물&귀욤] 친구랑 같이 동영상 보기 [1] 검은우산5415 19/01/28 5415
344467 [유머] 징병징병징병 I like 징병검사~♬ [55] 아지매12066 19/01/28 12066
344466 [유머] [GIF] 도망가는 범인을 보고만 있는 경찰 [10] 인간흑인대머리남캐9514 19/01/28 9514
344465 [기타] 플스 대란 때 맘카페 반응 [24] swear10282 19/01/28 10282
344464 [유머] 유사역사학 빙고 [38] kurt10703 19/01/28 10703
344463 [유머] 누군가의 불행은 [7] 가난6965 19/01/28 696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