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18/12/21 17:00:31
Name 길갈
File #1 167ced4e6b2abd0.jpg (145.9 KB), Download : 25
출처 https://bbs.ruliweb.com/news/board/1001/read/2179445?telegram
Subject [기타] 숫자로 보는 2018 게임 업계


1. 글로벌 시장 규모
- 모바일 632억 달러(전년 대비 12.8% 성장) - 태블릿 132억 달러(+7.8%), 스마트폰 500억 달러(14.2%)
- PC 334억 달러(3.2%) - 브라우저 게임 43억 달러(-14.8%), 패키지 및 다운로드 PC 게임 292억 달러(6.5%)
- 콘솔 383억 달러(15.2%)

보다 상세한 자료는 링크에서.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PC와 콘솔이 아웅다웅할 때 그깟 pc, 그깟 콘솔 얘기하는 모바일의 위염입니다.

하긴 풀프라이스 작품 살 때 할인하는 곳 찾아서 사면서도 볼륨에 비해 비싸다는 이야기를 많이 하지만
뭐 모바일은 기본이 5.5에 11짜리도 우습게 지르긴 하니까요 -_-;;;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12/21 17:03
수정 아이콘
답은 이모탈이다-
삑삑이
18/12/21 17:03
수정 아이콘
브라우저 게임은 일반적으로 말하는 웹 게임을 말하는거겠죠?, 그건 그렇고 게임회사들이 왜 유저들한테 욕을 먹으면서도 모바일게임에 전념 할 수밖에 없는지를 보여주는 차트네요.
달포르스
18/12/21 17:10
수정 아이콘
킹C방 점유율에 목 매달지만
사실 월드와이드 PC시장은 콘솔시장조차
단 한번도 넘어선적이 없죠.
이부키
18/12/21 17:53
수정 아이콘
본문 보면 pc항목 2개 합치면 콘솔보다 훨씬 크고 모바일이랑 비슷한거 아닌가요?
DevilMayCry
18/12/21 17:56
수정 아이콘
PC게임의 각 세부항목이 저렇다는거고 콘솔보다 작은거 맞습니다
서린언니
18/12/21 17:19
수정 아이콘
콘솔게임 가격이 90년대에 비해서 거의 안올랐죠 제작비는 계속 오르는데...
콘솔게임한정 고부가가치 산업이 아닌듯...
18/12/21 17:21
수정 아이콘
최근 몇 년동안 블쟈에서 콘솔, 모바일 개발자 꾸준히 구인한 이유가 있죠. 기존 팬층이 PC기반이라 욕은 먹겠지만 수익구조는 나아질꺼라 생각은 드네요. 근데 주가 매수티이밍은 언제로 잡아야지하지..
내일은해가뜬다
18/12/21 17:25
수정 아이콘
개발비도 모바일 가성비가 월등히 좋죠. 그리고 pc, 콘솔은 상대적으로 하드코어 게이머가 많아서 기준도 꽤 깐깐합니다.
박찬호
18/12/21 17:30
수정 아이콘
작년인가 재작년자료가 시장 비율이 1:1:1이었는데 모바일이 진짜 미친듯이 빨리 크네요
캐터필러
18/12/21 17:33
수정 아이콘
VR 이 나온다면 어떨런지...
18/12/21 17:47
수정 아이콘
VR은 나와봤자 PC랑 콘솔 지분 잡아먹을 듯요.
그리고 이미 나왔습..
1perlson
18/12/21 19:04
수정 아이콘
VR은 아직까지 소매시장에서 이렇다할 반향을 일으킬 물건이 아닙니다. 렌즈형 AR같은 물건이 활성화될 기술이 보급되면 모를까.. 하긴 그정도 기술이면 그것도 모바일일듯
Zoya Yaschenko
18/12/21 17:35
수정 아이콘
가챠 흑흑
아이즈원
18/12/21 17:36
수정 아이콘
pc 시장은 그나마 요 몇년 새 엄청나게 큰거죠.(특히 디지털 다운로드 시장) 다 ESD 세우는데 혈안이 되어있는것도 그런 맥락이고.
18/12/21 18:29
수정 아이콘
사실 개발사 기준으로 순익은 PC가 콘솔보단 좋습니다..

모바일은 애플이 30%
플스는 소니가 30%.. 등등을 다 때가지만

PC 온라인은 결제 수수료 빼곤 본인들이 다 먹거든요 -.-;;;;;;

포트나이트만 해도 PC는 본인들이 다 먹는데 ios나 플스는 소니와 애플에 30% 때주고 먹기 땜시......

뭐 그런면에선 둘이 투닥투닥 하는데 모바일이 너무 앞서가고 있긴 하죠..
아이고배야
18/12/21 18:47
수정 아이콘
보급된 기기 Pool 기준으로 보면 모바일은 아직도 훨씬 더 큰 잠재력이 있는 시장이라는게..
크랭크렁
18/12/21 19:09
수정 아이콘
모바일게임시장이 크긴 큰데 저거 절반 이상은 유사카지노 사행성게임 매출 아닌가요? PC나 콘솔정도 퀄리티는 기대도 안하니 옛날 피처폰 게임 수준정도만 지켜줘도 모바일게임에 대한 인식이 바뀔텐데 말이죠.
개발괴발
18/12/21 19:28
수정 아이콘
피처폰 게임수준의 게임은 이미 많습니다. 타이쿤류 격투게임류 퍼즐류 등등.
매출 순위 상위에 없을 뿐입니다.
크랭크렁
18/12/21 19:48
수정 아이콘
그 많은 게임들 왜 하나도 들어본 적이 없을까요? 유사 카지노겜 광고는 지겹게 보는 것 같은데요.
달포르스
18/12/21 20:37
수정 아이콘
구작 JRPG 이식작들만해도 피쳐폰 수준은
넘사로 아득히 넘습니다.
모바일 특화만 해도 희대의 명작 모뉴먼트 밸리 시리즈가 있고 킹덤러쉬 시리즈도 괜찮죠.
클래시 시리즈 만든 수퍼셀 게임들도 괜춘하구요.

피쳐폰 명작들하면 검은방 영웅서기 게임빌 프로야구 시리즈 정도인데..
요즘 잘 만든 모바일 게임에 솔직히 못비빕니다. 게임성 자체가 그냥 넘사예요.
개발괴발
18/12/21 20:57
수정 아이콘
애니팡, 쿠키런, 캔디크러시사가... 혹시 모르시는지요?
과금이 빡세지 않아 매출순위에는 없어도 넘사벽 인지도를 가진 모바일 게임인데...
대작이 없냐하면 JRPG 이식작들도 완성도가 높지요.
그저 오로지 몇십억짜리 TV광고 빵빵 때릴수 있는 매출 높은 게임에만 초점을 맞추시는건 아닌가 합니다.
1perlson
18/12/22 00:30
수정 아이콘
광고는 돈이 되는 애들이 하는거고 돈 안되는 애들은 광고할 돈도 없다고 봐야...
에스프레소
18/12/21 19:13
수정 아이콘
모바일이 수익 저러는거는 다 가챠 아닌가요
18/12/21 19:24
수정 아이콘
콘피대전은 사실 참피대전이었던걸로..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60439 [기타] K-POP 을 위협하는 새 한류 콘텐츠.jpg [20] 미메시스10690 19/08/16 10690
357979 [기타] 오늘자 유니클로 매장 상황 [77] 톰슨가젤연탄구이15580 19/07/17 15580
353464 [기타] 화웨이와 거래 안하는 이유! 3번은 당하지 않는다 !! [18] 아지매10252 19/05/21 10252
345916 [기타] 죽어도 말 못 해 [6] 치열하게9135 19/02/19 9135
343925 [기타] 가자, 남미로 [44] 도축하는 개장수14242 19/01/21 14242
341869 [기타] 숫자로 보는 2018 게임 업계 [24] 길갈7069 18/12/21 7069
340820 [기타] 같은 뜻, 다른 인물 [10] ramram8169 18/12/06 8169
338093 [기타] 3분기 세계 스마트폰 판매량 작년보다 6%감소 [10] Lord Be Goja5536 18/11/03 5536
334940 [기타] 2018년 개봉예정 최고 기대작 전자 vs 후자.jpg [32] NCS9998 18/09/20 9998
327438 [기타] 빗썸이 상장 예고한 코인의 정체. [40] 낙원12678 18/05/15 12678
326708 [기타] 살인의 천국...멕시코와 필리핀.. [19] Lord Be Goja11972 18/05/01 11972
323936 [기타] [저스티스 리그] 최종 흥행 발표...DCEU 역대 최저 [46] swear7951 18/03/19 7951
319764 [기타] 코인에 대해 비판한 유시민과 거기에 반박한 정재승 [97] 로고프스키12867 18/01/13 12867
312609 [기타] 글로벌 월별 스마트폰 점유율.jpg [33] 아라가키9856 17/09/14 9856
309475 [기타] ○○페이? 두고보자!! [7] 한박8486 17/07/21 8486
297307 [기타] 타임지가 선정한 가장 영향력 있는 가상 캐릭터 [30] swear14731 16/12/12 14731
288458 [기타] 글로벌 1위 전력 회사 [25] 연환전신각6905 16/08/18 6905
276463 [기타] 한국외대 클라스.doc [37] BessaR3a9302 16/05/19 9302
250170 [기타] 두번이나 망한 게임 [8] 톰슨가젤연탄구이8953 15/09/02 8953
211291 [기타] [기타] 글로벌 소비자 호구 한국.jpg [34] 파란만장8916 14/07/07 8916
205020 [기타] [기타] [도타2] e스포츠 최대 상금을 향하여... [12] 저퀴5509 14/05/11 5509
199283 [기타] [기타] [스타2] 인생은 한방 [6] 저퀴4162 14/03/17 4162
189768 [기타] [기타] [계층] 포켓몬 글로벌 링크 셧다운제 시행 안내 [10] 니시키노 마키3726 14/01/07 372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