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18/12/03 21:57:38
Name 달달합니다
File #1 캡처8.jpg (22.8 KB), Download : 24
출처 도탁스
Subject [LOL] 대리게임 이제 법으로 막는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사악군
18/12/03 21:58
수정 아이콘
뭐같네요..멋있지도 않고
아이오아이
18/12/03 22:00
수정 아이콘
엄밀히 따지면 민번도용이고 게임 내 질서를 어지럽히는거니 막는게 나쁜건 아닌데 게임관련된 수많은 현안중에 이게 왜 굳이 라는 생각은 드네요
동굴곰
18/12/03 22:00
수정 아이콘
세금도 안내고 돈버는건데 막을만하죠
及時雨
18/12/03 22:49
수정 아이콘
잘 몰라서 여쭤보고 싶습니다.
대리 업체들 사업자 등록하고 하던데 그럼 세금은 내는거 아닌가요?
유열빠
18/12/03 23:54
수정 아이콘
현금 박치기 하면 세금을 낼리가 없죠..
及時雨
18/12/03 23:55
수정 아이콘
좋은 입법이네요
18/12/03 22:00
수정 아이콘
(수정됨) ▲ 영리를 목적으로 ▲ 게임물 관련 사업자가 제공 또는 승인하지 않은 방법을 통해 ▲ 게임물 이용자가 점수, 성과 등을 획득하게 하여 게임물의 정상적인 운영을 방해하거나 이를 알선하는 행위는 금지


회사 차원에서도 제재할 때 탄력은 잘 받겠네요. 영리 목적이 들어간만큼 그냥 개인간 대리는 어쩔 수 없지만 대리 업자는 잡겠다는 거고, 꼴보기 싫던 대리 광고는 덜 보겠군요.
Rorschach
18/12/03 22:03
수정 아이콘
저게 반드시 필요하다거나 꼭 시행되어야만 한다고 까지 생각하진 않지만
[영리를 목적으로]
라는 조건이 있으니까 막을만하죠. 기사 본문에도 나와있지만
"게임물의 정상적인 운영을 방해하는 행위" 이기도 하고요.
애플주식좀살걸
18/12/03 22:05
수정 아이콘
대리기사들 광고가 약관위배가 아니라 불법 광고가 되는거겠네요
라이츄백만볼트
18/12/03 22:05
수정 아이콘
게임 생태계 파괴에 크게 기여하던거라 개인적으로 기쁘네요.
Openedge
18/12/03 22:08
수정 아이콘
대리만 막는게 아니라 게임 외 아이템 거래나 계정 거래까지 다 막는거 아닌가요?
18/12/03 22:10
수정 아이콘
선진적이네요
코우사카 호노카
18/12/03 22:11
수정 아이콘
요즘은 사업체 등록까지 하고 대리하던데 흠
18/12/03 22:15
수정 아이콘
당사자 합의간에 대신 게임해준다는데...
부주돌리는거나 친구가 대신해주는것도 불법이라는 거네요
개인적으로는 수긍하기 힘듭니다
FRONTIER SETTER
18/12/03 22:16
수정 아이콘
영리를 목적으로 한 걸 처벌한다고 하니...
18/12/03 22:17
수정 아이콘
음 리니지는 타격이 있을지도 모르겠다고 쓰려고 생각해보니까 리니지 자동사냥 도입하는군요...
스니스니
18/12/03 22:17
수정 아이콘
기사보시면 '영리를 목적으로'라는 조건이 붙어있긴합니다.. 보통 부주나 친구가 대신해줄 때 돈을 주진 않자나요?
18/12/03 22:19
수정 아이콘
당연히 친구 계정 돌렸다고 철컹철컹은 아닙니다.
작별의온도
18/12/03 22:22
수정 아이콘
돈이 오가면 문제라는 거니까 업체들이나 전문대리업자들 대상이라고 보는 게 맞을 것 같아요.
트윈스
18/12/03 22:16
수정 아이콘
막아야죠. 저거로 돈을 얼마나 빨아먹었는데;
18/12/03 22:18
수정 아이콘
대리 막는건 좋은거 아니에요?
부정적으로 왜 보시는건지;
18/12/03 22:21
수정 아이콘
이스포츠 선진국에 걸맞는 법안이네요
최초의인간
18/12/03 22:21
수정 아이콘
실효성이 있는지는 둘째치고 신선하긴 하네요.
바다표범
18/12/03 22:22
수정 아이콘
막는게 일반유저한테는 이득이면 이득이지 손해일리가 없는거 아닌가요? 부정적인 댓글 달린게 신기하네요
트윈스
18/12/03 22:26
수정 아이콘
기사를 안읽었거나 대리 시장 규모를 제대로 모르거나..일듯요 ?
18/12/03 22:33
수정 아이콘
좋고 나쁘고 이득이고 아니고 보다는 과연 국가의 법이 이런 부분까지 규제해도 되는가에 대한 우려때문이겠죠.
법이란 당연히 사회구성원들이 더 좋은 사회를 위해 살도록 짜여지는데 그 정도가 너무 디테일하게 가면 모든 삶 행동하나하나까지 규정할 수 있고 그건 자유에 위반되죠. 간통법 폐지 이슈 셧다운제 이슈처럼요. 물론 이건이 그 정도까지이냐는 논의가 필요하긴 할겁니다.
달달합니다
18/12/03 22:35
수정 아이콘
저도 같은생각입니다
18/12/03 22:42
수정 아이콘
정확히 정리해주셨어요.
바다표범
18/12/03 22:48
수정 아이콘
이 법안이 개인의 자유를 침해하는게 있나요? 조건 걸어둔거보면 그런거랑 거리가 멀어 보이는데요
달달합니다
18/12/03 22:53
수정 아이콘
기사에도 나와있지만
상반기에 일부 의원이 '개인 대 개인의 거래를 막을 필요 없지 않다'며 조심스러운 의견을 낸 것과 달리, 하반기에는 큰 반대 없이 무난하게 통과했다"

라고 의견이 나오긴 했었네요
영칠이
18/12/03 22:26
수정 아이콘
법으로 막는다고 막아지는 영역이 아닌거 같은데..
18/12/03 22:30
수정 아이콘
대리업체를 합법적으로 조질 수 있는 명분이 생깁니다. 당연히 완전 박멸은 안 되고 결국 음지로 가겠지만 지금처럼 페북에 광고 올리며 대놓고는 못하게 되죠.
달달합니다
18/12/03 22:34
수정 아이콘
그런데 요즘엔 대리라는 말도 잘 안쓰고 교육? 학원같은 느낌을줘서 실제로 게임도 직접 접속해서 티어올리는일은 드물고 듀오로 올리더라구요....
18/12/03 22:26
수정 아이콘
대리 행위를 법으로 막는다는 게 웃긴 거죠. 그럼 매크로도 똑같이 적용해주려나요?
18/12/03 22:27
수정 아이콘
잘막었다고 생각드네요. 이번에 친구들중에 내기때문에 호기심에 10승씩 돈주고 대리 썼는데, 관전해서 보니까 잘하는 사람은 그냥 챌리져 느낌어더라고요.
종결자
18/12/03 22:35
수정 아이콘
이걸 왜 부정적으로 생각하죠?
다들 대리 돌리시나??
18/12/03 22:44
수정 아이콘
기사 눌러보시면 조건이 적혀있어요

▲ 영리를 목적으로 (친구 아이디 돌리는건 문제 안되고)
▲ 게임물 관련 사업자가 제공 또는 승인하지 않은 방법을 통해 (게임사가 대리를 허용하면 문제 안됩니다)
▲ 게임물 이용자가 점수, 성과 등을 획득하게 하여 게임물의 정상적인 운영을 방해하거나 이를 알선하는 행위는 금지된다. 게이머가 이를 위반할 경우, '전문대리게임업자'로

나쁠 부분이 없어보이는데..?
던져진
18/12/03 22:45
수정 아이콘
관련 업계에서 총 출동 하셨나......

게임 회사, 일반 유저 모두에게 손해를 주는 행위로 부당하게 이득을 취하는데

막지 말아야 할 이유가 도대체 어디에 있죠?
18/12/03 23:07
수정 아이콘
대리가 나쁜건 이견이 없는데 처벌수위가 좀 읭? 스럽긴 하네요.

일반폭행: 2년이하의 징역 혹은 500만원 이하의 벌금
성매매를 한 경우: 1년이하의 징역 혹은 300이하의 벌금
업무상 위력에 의한 추행: 2년이하의 징역 혹은 500만원의 벌금
공중밀집장소에서의 추행(치한): 1년이하의 징역 혹은 300만원의 벌금

대리게임이 나쁘긴 한데 위 나열된 사항들보다 사회적인 해악이 압도적인지가 좀 갸우뚱하긴 합니다. 막는건 좋긴 하다만..
던져진
18/12/03 23:24
수정 아이콘
어차피 형량 결정하는건 엿장수 마음이고
일반적으로는 위에 제시 된 범죄보다 훨씬 낫게 나오지 않을까 합니다.

또 위의 범죄들은 개인이 개인에게 1:1로 발생하겠지만
대리의 경우에는 한 번에 다수의 건이 엮여서 판결이 날올 것 같네요.
도라지
18/12/04 08:17
수정 아이콘
그건 예시로 든 것들의 형량이 비정상적으로 낮은거라 봐야 할 것 같습니다.
복슬이남친동동이
18/12/03 22:55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는 반감을 가지는 게 이해 안 되는게 아닌데 (관련업계나 대리 유저 같은 경우가 아니더라도.) 아마 예상되는 부작용은 크게 나타나지 않을 거라고 봅니다. 오히려 실효성 쪽이 문제지. 구체적으로 어떤 식으로 규제하고 해소할 건지는 시행령이나 별도의 규칙 봐야 알 건데 그냥 큰 사회적 물의가 나타났을 경우의 최소한의 규제 근거 정도로 보여요.
루루라라
18/12/03 23:10
수정 아이콘
전 이런건 상관없는데 사행성이라고 한달 50만 한도 걸어놓은게 제일 이해가 안되요. 아니 내돈 내가 쓴다는데 왜 막는거야...
야근싫어
18/12/03 23:30
수정 아이콘
오..
기왕 하는거 핵도 조져줘라
유자농원
18/12/03 23:51
수정 아이콘
대리업자는 잡아야죠.
세이너스
18/12/03 23:51
수정 아이콘
이러기 전에 세금을 냈어야지!
오프 더 레코드
18/12/04 00:28
수정 아이콘
기업도 원하고, 유저도 원하는건데 뭐가 문제인지
점프슛
18/12/04 09:03
수정 아이콘
승부조작만 주작이 아니라 돈받고 대리하는것도 주작입니다.
일반 경쟁전이나 랭크게임에서 늘상 행해지는 작은 주작질이요.
처벌하는게 당연히 맞습니다.
엄준식
18/12/04 10:18
수정 아이콘
(수정됨) 대리를 받고 말고는 개인의 자유 영역이고 대리 받은 사람을 제재하는 건 게임사의 영역, 대리 업자들 업무방해로 고소하는 것도 게임사의 영역 아닌가요? 왜 법으로 [대리 게임 금지법]을 만드는지 모르겠네요. 개인의 거래를 막을 필요가 없다라는 말이 맞는 말이죠. 마약 거래, 매춘 알선, 청부 살인도 아니고 나라가 나서서 법으로 개인과 개인 사이의 거래를 하지 말라고 막는다니 크크 여기 혹시 중국 아닌가요? 자유 민주주의 국가 아닌 거 같은데요
점프슛
18/12/04 12:43
수정 아이콘
그 거래로 피해보는 사람이 생기니까요.
팀게임 랭크/경쟁전 돌려보면 대리기사 있는팀이 거의 이깁니다.
게이머들이 무력감을 느끼게 만들면서 돈을 벌어먹는게 대리기사들이죠.
자유는 남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행해야죠.
자유 민주주의가 거기서 왜 나오는지는 잘 모르겠네요.
엄준식
18/12/04 13:16
수정 아이콘
게임하다보면 지고 이기고 하는 건데 대리기사가 같은 팀에 있어서 게임 승리, 상대 팀에 있어서 패배, 그까짓 게 국가가 개인의 행동을 통제하고, 법적으로 처벌하겠다고 나선 게 정당하다고 보시는 건가요? 제가 이전 댓글에도 썼지만 마약 거래, 청부 살인도 아니고 그냥 게임입니다. 게임. 물론 점프슛님이 보시기에는 상대 팀에 대리 기사가 있어서 게임에서 패배했다는 안 좋은 기억 때문에 게임에서의 패배라는 것이 국가가 나서서 개인의 행동을 통제하고 자유를 억압하는 것보다 더 크다고 생각하실 수도 있습니다만 저는 결코 그렇게 생각하지 않네요.
점프슛
18/12/04 13:30
수정 아이콘
남에게 피해를 주는 자유라면 당연히 억압 당해야죠.
토익 대리시험은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그것도 개인과 개인간의 거래라서 합법이어야 한다고 보시는지요.
엄준식님이 말하는 자유는 자유방임주의 시대의 자유입니다. 지금은 그런 자유를 주장할 수 없는 시대구요.
엄준식
18/12/04 13:41
수정 아이콘
점프슛님 말씀대로 보자면 이 법률도 잘못됐네요. 기사에 따르면 영리 목적만 아니면 대리 게임해도 법적으로 걸리는 게 없습니다만 대리 업자가 돈을 받고 대리를 하건, 아니면 그냥 친구 점수 올려준다고 대리를 하건 똑같이 다른사람한테 피해를 주는데 후자는 처벌을 안 받으니까요. 그리고 제가 본문과 답변 댓글에도 계속 말씀 드리지만, 단순히 대리기사가 낀 게임에서의 1승 1패라는 사안의 경중과 다른 사안들과의 경중을 따져서 국가가 과연 개인의 행동을 통제하는 게 정당하냐는 부분을 따져 봐야합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분명 몇몇 사안은 절대적인 경중 판단이 가능하겠지만(마약 재배, 판매, 청부 살인 등) 대리기사가 낀 게임의 1승 1패를 포함한 다른 사안들은 상대적으로 개인에 가치관에 따라 다를 수도 있겠구요. 일단 제 가치관과 점프슛님의 가치관이 달라서 이 이상 이야기를 이어가도, 분명 평행선일거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더 이상 댓글은 달지 않겠습니다.
점프슛
18/12/04 13:58
수정 아이콘
제한의 범위가 좁다고해서 법이 잘못된게 아닙니다.
법은 최소한의 지켜야 할 선을 국가가 규정한 것입니다. 법과 도덕의 차이를 아시죠?
남의 아이디를 돈 안받고 올려준건 법적 저촉은 안받지만 도덕적으로 까일만한 행동은 맞습니다.
마약재배 등을 계속 강조해서 말씀하시는데 그런 극단적인 행위만이 범죄는 아닐겁니다.
그런 극단적인 행위만 처벌하는게 법의 역할도 아닐거구요.
여기가 게임사이트란걸 차치하고라도 점수가 중요하지 않다는 말은 잘못된 말입니다.
누군가는 프로가 되기 위해서 목숨걸고 점수에 매달리기도 합니다.
프로게임단 중에 입단 기준으로 최소점수를 설정하지 않는 구단은 없을겁니다.
대리를 받고 천상계로 올라간 유저가 직접 게임을 하게 되는 순간부터 같은팀으로 배치되는 모든 팀원들이 피해자가 됩니다.
그들 중에는 프로게이머를 꿈꾸는 유저들도 있겠죠.
그 게임을 지게 됨으로서 이겨야 될 사람이 지게 되는 점수 왜곡이 생깁니다.
오버워치를 예를 들면 1등부터 500등까지만 '랭커'로 대접받습니다.
같은팀 대리받은 사람 하나때문에 프로게임단에 노출되는 정도가 달라집니다. 엄연한 피해죠.
천상계만 예를 들지 않더라도 아랫티어에서도 점수를 높이려고 몇천시간씩 게임하시는분들 정말 많습니다.
취미의 영역이라고 해서 그분들의 점수가 존중받지 않아야 할 이유 없습니다.
승패로 인해 기분이 나빠지는 정도로 단순히 볼 문제가 아닌거죠.
기분이 나빠지는것도 엄연히 정신적인 피해겠습니다만..
특히나 내 노력과 상관없이 대리기사가 어느팀에 있느냐에 따라 정해지는 승패를 받아들여야 하는건 정신적으로 더 큰 고통일겁니다.
18/12/04 10:37
수정 아이콘
대리업자는 막는게 당연하긴 하죠.
다만 사람들이 우려하는건 대리여부나 업자 이런걸 떠나서
국가가 개입을 할 수 있게 되는 범위가 우려되는 부분일텐데
엄준식
18/12/04 13:25
수정 아이콘
대리 게임 막지 말라고 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죠. 단, 본문 기사에도 나와있지만 게임사에서 이미 자체적으로 대리 업자들 잡고, 대리 받은 유저들 정지시키고 있는데 국가가 개입해서 개인의 행동을 통제하려고 게 문제죠. 막말로 게임에서 진다고 누군가의 일신의, 재산상의 손해가 발생하는 것도 아니고 그냥 그깟 게임. 1승, 1패인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59350 [LOL] 오늘 전문성 뽐낸 해설 [3] 딜이너무쎄다7932 19/08/03 7932
356350 [LOL] (동영상주의) 오랜만에 듣는 바로 그 멘트 [9] roqur6766 19/06/29 6766
354753 [LOL] 진에어 vs SKT 경기를 본 퍽즈 [8] 내일은해가뜬다9767 19/06/07 9767
353143 [LOL] 애초에 IG를 고평가 안한 더블리프트 [45] 딜이너무쎄다10752 19/05/17 10752
352126 [LOL] 페이커... 파도파도 미담만 [45] 스위치 메이커11589 19/05/06 11589
350893 [LOL] 씨맥피셜 기인>더샤이 [146] 수분크림17047 19/04/22 17047
349702 [LOL] LCK시청자수 근황 [54] Leeka12243 19/04/08 12243
345280 [LOL] 롤파크 김정기작가 드로잉 [45] 달달합니다11395 19/02/10 11395
343692 [LOL] ??? : 그래, 상윤 그거다 [6] 박찬호7639 19/01/17 7639
340595 [LOL] 대리게임 이제 법으로 막는다 [56] 달달합니다10595 18/12/03 10595
339749 [LOL] 김정균 감독님 제발.. [37] 종결자9381 18/11/22 9381
339748 [LOL] 슼마갤발 천기누설 성지 [28] Vesta8996 18/11/22 8996
339336 [LOL] 챌린저 정글러가 평가하는 이번시즌 솔랭 S급 (챌200위 안) [82] 키류15262 18/11/18 15262
339328 [LOL] 봉변당한 상혁이 [80] 파이어군12980 18/11/17 12980
339230 [LOL] SKT 크레이지? [69] 카발리에로10705 18/11/16 10705
338909 [LOL] 슬슬 뜨기 시작하는 이적시장 피셜.txt [161] Vesta13942 18/11/12 13942
301685 [스타1] BJ들이 생각하는 현역시절 vs 현재 아프리카 실력 [98] 전설의황제21916 17/02/24 21916
299487 [스타1] 테사기론에 대한 택뱅리쌍의 입장 [102] harijan15348 17/01/20 15348
298490 [스타1] 아마추어 연습생으로 힘들고 서러웠던 썰 (김봉준) [27] Alan_Baxter16781 17/01/03 1678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