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18/11/19 11:00:17
Name 삭제됨
출처 루리웹
Link #2 http://www.edaily.co.kr/news/read?newsId=01433366619075096&mediaCodeNo=257
Subject [유머] 퀸 활동당시에 세금뜯기던 수준.jpg (수정됨)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11/19 11:04
수정 아이콘
15+83 을 하면 안되지만...
어마어마하긴 하네요
곽철용
18/11/19 11:12
수정 아이콘
소득세가 83퍼였고 이자소득세가 15퍼였다는것같네요.
고소득자들에대한 소득세를보니 한국인들이 딱 좋아할 사회였네요.
세츠나
18/11/19 11:15
수정 아이콘
한국인들이 좋아하는 세법이 한국엔 적용되어있지 않군요. 법을 외국인이 만드나보네요.
곽철용
18/11/19 11:19
수정 아이콘
고소득자세율 더 올라가면 더 좋아하겠죠.
세츠나
18/11/19 12:11
수정 아이콘
그러니까 그렇게 좋아하는데 왜 안올릴까요? 실제론 무조건 한정없이 좋아하진 않기 때문이죠.
님의 비꼼과는 달리 치킨을 좋아한다고 주는대로 배터지도록 다 먹는 사람은 별로 없습니다.
곽철용
18/11/19 12:16
수정 아이콘
저도 제발 그랬으면 좋겠네요.
세츠나
18/11/19 12:18
수정 아이콘
그것도 전형적인 '나만 상식적이고 남들은 다 혼수상태'라는 착각에 빠진 사람들이 흔히 하는 비꼼이네요.
적당히 하세요. 사람들은 본인 생각보다 바보가 아니에요.
곽철용
18/11/19 13:54
수정 아이콘
전 그렇게 생각 안하는데요. 추측피셜 자제좀 부탁드립니다.
사람들이 바보인지 이기적인건지는 모르겠지만
[부자증세 서민감세] -실제로 고소득자가 반드시 부자는 아니지만- 에 대부분이 동의한다는 것은 알겠네요.
강남토즈
18/11/19 13:22
수정 아이콘
(수정됨) 잘 모를때 가만히 있으면 중간이라도 갑니다
곽철용
18/11/19 13:5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제가 뭘 모르는 지 알려주시고, 아주 모르는 편은 아니기때문에 가만히 안있을겁니다.
몽키매직
18/11/19 11:24
수정 아이콘
(수정됨) 소득세 83% 는 아닐 겁니다. 영국 현재 최고 소득세율이 45% 라서. 그 때라고 지금보다 2배씩 높지는 않았을 거에요... 무언가 또 뜯긴 걸 83+15 처럼 자의로 합쳤겠죠. 그리고 한국은 현재 최고 소득세율이 38% 인데, 이게 의료보험료와 지방세 합쳐지지 않은거라 더하면 대략 45% 에 근접하긴 합니다. 수치가 선진국들과 엇비슷한데, 소득격차가 크면 세율이 같아도 실제로는 격차가 큰 것이니까 소득세가 모든 걸 말해주는 것은 아니긴 합니다.
곽철용
18/11/19 11:25
수정 아이콘
듣고보니 그런것 같네요. 덧셈하는 크라스를보니
근데 저분들 이공계 엘리트출신 아닌가요?
18/11/19 11:31
수정 아이콘
링크를 보시면 1960년대 당시에 고소득자에 대한 세율이 90%에 달한건 팩트인것 같습니다.
몽키매직
18/11/19 11:49
수정 아이콘
https://wspaper.org/article/14893
그렇네요... 후덜덜...
18/11/19 11:37
수정 아이콘
1960년대엔 미국도 최고 구간 소득세율이 90%가 넘었다고 알고 있네요
몽키매직
18/11/19 11:46
수정 아이콘
그렇네요...
미네랄은행
18/11/19 12:43
수정 아이콘
이걸보니 60년대에 사람을 달에 보내던 미국이 왜 지금은 못(안)보내는지 알겠네요.
18/11/19 14:17
수정 아이콘
본문과 댓글과 관련 없지만... 돈이 많아도 미국은 이제 안보낼꺼 같아요. 달에 한번 가봤고 다시 가야할 큰 이유도 없고, 들어가는 비용은 어마 무시 하고, 비행사들도 건강하게 살아 돌아올 확률이 매우 높진 않고.. 무리해서 갈 필요가 없죠. 아직까진 다시 가야할 이유는 없을거 같아요
홍준표
18/11/19 11:40
수정 아이콘
미국이고 영국이고 다들 그렇게 걷어도 나라 안망했군요.
쿠키고기
18/11/19 12:12
수정 아이콘
그 때 영국은 몰라도 미국은 아마 아이젠하워 정권 시절일텐데
아주 잘돌아가고 있었을 겁니다.
지니팅커벨여행
18/11/19 12:56
수정 아이콘
준표 형님께서 그런 말씀을 하시니 적응이 잘 안 됩니다.
아지르
18/11/19 11:14
수정 아이콘
아무리봐도 존디콘은 혼자 굉장히 미국인같이 생겼어요
츠라빈스카야
18/11/19 11:37
수정 아이콘
이자에 대해서 98프로를 떼가진 않았겠죠 설마...;; 이자소득세 15%는 현재 한국이랑 크게 차이가 없네요.
metaljet
18/11/19 11:49
수정 아이콘
영국 소득세 top rate 변화

1939-1971 99~90%
1971 70%
1974 83%
1981 60% <- 대처수상 집권기
1988 이후 40%
아나 아마리
18/11/19 12:00
수정 아이콘
어렸을적 비틀즈가 99퍼 뗐다는 이야기듣고 처음엔 완전 구란줄 알았죠.... 크크크
wish buRn
18/11/19 12:09
수정 아이콘
왜 안모으고 인생즐기며 살았는지 알겠네요..;;
미메시스
18/11/19 12:09
수정 아이콘
세금을 저렇게 뜯겼는제 재산이 천억대면 대체 얼마를 번거죠 덜덜
18/11/19 12:25
수정 아이콘
불로소득에 대해 고세율은 찬성하지만 저때 영미는 좀 미친듯.
합스부르크
18/11/19 13:45
수정 아이콘
북런던세금에 끼지마시죠
18/11/19 13:53
수정 아이콘
푸하하하하하ㅛㅏ 빵터졌네요 크크크
전자수도승
18/11/19 14:23
수정 아이콘
자본주의는 0퍼 공산주의는 100퍼 스웨덴은 70퍼던가
사실 소득세에 지대수입 넣고 상위 과세구간 설정만 추가로 하면 될 문제인데 자꾸 딴 소리 하는거죠
이재용과 소득이 '고작 5억'인 사람 세율이 큰 차이 안 난다는 것도 이상하잖아요
한쓰우와와
18/11/19 14:28
수정 아이콘
소설 말괄량이 삐삐의 작가가 내던 세율 102%는 정말 유명하죠.
당시의 세금체계는 지금 생각하면 정말 이상하긴 합니다.
쭈꾸미
18/11/19 14:44
수정 아이콘
고소득자에게 세금을 많이 부과하면 노동의욕을 감소시켜 경제가 위축된다는 주장이 헛소리란 증거죠. 공산주의란 경쟁체제도 있었으니 보통 사람 입장에서는 지금보다 살기 좋았다고 봅니다.
요플레마싯어
18/11/19 14:45
수정 아이콘
저 당시 영국에 중앙정부공무원만 백만명 공기업 근로자 200만명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39848 [게임] 미쳐버린 퀄리티의 배그 할리퀸 스킨.avi [5] 달포르스8550 18/11/23 8550
339847 [유머] 미국 국방부 장관이 한국인 하나를 급히 찾음.jpg [15] 복슬이남친동동이13407 18/11/23 13407
339846 [기타] 라이언킹 실사영화 주인공.JPGIF [32] 살인자들의섬10546 18/11/23 10546
339845 [유머] 길빵충 욕하는 요즘 사회가 짜증나는 게 [9] 인생의낭비10616 18/11/23 10616
339844 [유머] 요즘 코미디 프로그램이 잘 안 되는 이유 [14] 인생의낭비12675 18/11/23 12675
339843 [유머] ??? : 저희 다같이 영차영차 해보죠. 영! 차.. 영! [19] 길갈9789 18/11/23 9789
339842 [유머] 라노벨 말투는 비웃음을 받지만.bible [13] 동굴곰7131 18/11/23 7131
339841 [기타] 혼종 [19] TAEYEON7984 18/11/23 7984
339840 [기타] 크기가 영국만한 사이즈를 자랑하는 흰개미굴 [33] TWICE쯔위13446 18/11/23 13446
339839 [유머] 뒷자리 여직원 [28] swear14156 18/11/23 14156
339838 [LOL] 와디드 이상형 월드컵 [13] 카바라스18644 18/11/23 18644
339836 [기타] 남자들 소변 후 뒷처리 방법 [56] 쎌라비12515 18/11/23 12515
339835 [유머] 트럼프 당선 소식보다 중대했던 영국 [9] 인간흑인대머리남캐8828 18/11/23 8828
339834 [기타] 로또 1등 당첨자의 반전 인생 [32] swear10974 18/11/23 10974
339833 [서브컬쳐] 라이온 킹(The Lion King) 실사 영화 티저 공개 [10] 치느4934 18/11/23 4934
339832 [게임] 돌겜 근황. [27] S.Solari8236 18/11/23 8236
339831 [기타] 드디어 바뀌는 법 [13] 길갈8690 18/11/23 8690
339829 [LOL] 100인분 때문에 묻혔지만 [6] 미야자키 사쿠라8507 18/11/23 8507
339828 [유머] 노조를 반대하는 이유 [33] 짱구12128 18/11/23 12128
339827 [기타] 늑대같은 남자를 만나야 하는 이유 [37] 쎌라비11153 18/11/23 11153
339826 [유머] 특이점이 온 포장이사 업체 [16] swear9893 18/11/23 9893
339825 [동물&귀욤] 점심시간이다 밥먹자 [14] swear6402 18/11/23 6402
339824 [LOL] 이쯤에서 다시 보는 SKT 마타 [5] 종결자8053 18/11/23 805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