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10/31 16:27
105mm 포병 나왔는데, 훈련나가서 방열하고 노가리 까고 있으니,
마침 근처에서 MLRS 기동했던 미군들이 엄청 신기해하면 사진 한번만 찍으면 안되냐 그러더군요. 후임중에 영어 좀 되는 후임이 있어서 이야기좀 했더니.. 실제 이게 작동이 되냐며, 자기들 영상에서나 봤었던 포라고 실물로 존재할줄 몰랐다고 크크. 우리 보급 군디스랑 걔네들 보급 던힐이랑 1보루 맞바꾸고, 우리 구형 전투식량 몇개랑 걔네들 우유1박스랑 오렌지1박스 바꿨던 기억이 나는군요.
18/10/31 14:38
Pinocchio님은 "열심히 생산중입니다"의 의미로 말씀하신걸 국산반달곰님은 "열심히 개발중입니다"로 받아들이셔서...흐흐..
18/10/31 14:11
아래는 구룡이 아니라 천무라고 하네요.
https://youtu.be/-3Vndje-fXM?t=74 천무의 실사격 영상 1:14부터 아래 움짤 영상 나옵니다.
18/10/31 14:28
저는 군알못인데, 문득 드는 생각이..
저런 식으로 쏴서 각 탄알의 착탄 지점이 같게 된다면 포탄을 엄청나게 쏟아붓는 데에 비해 효율(?)이 떨어지지 않을까요? 물론 자로 잰 듯 정밀하게 같은 지점에 떨어지지야 않겠지만, 같은 세팅으로 저렇게 반복 발사하면 대충 비스끄레한 곳에는 떨어질 것 같은데.. 처음 열 발 정도 발사하면 해당 지점에 대한 소기의 목적은 달성하게 되는 것이 아닌지.. 각 탄알의 착탄 지점이 수십 미터 이상 무작위 차이가 나는 걸까요? 그래야 의미가 있을 것 같은데..
18/10/31 14:39
(수정됨) 저는 포병은 아니라 잘 모르지만 포탄이 동일한 시간에 같은곳을 타격하면 살상력이 증폭된다더군요.닐반 견인포나 자주포도 time on taget이던가 동일시간에 여러 포탄이 타격하게 쏘는 포격법까지 있더군요.1차대전에는 여러포대가 대강 넓은 지역에 제각각 포격하는 전술이였는데 포탄을 엄청나게 퍼부어도 방어선이 생각외로 멀쩡한 경우가 많아서 (낙하 시간이 제각각이니 대비할 시간도 늘어나고 방어시설들을 걷어낼 화력도 부족해지고)포격후 공격하는 공격군이 피해를 많이봐 그후에 바꿨다고 본거같습니다.
18/10/31 14:44
보통 구룡일제사경우 유효범위가 축구장 하나 크기니 효율은 바닥입니다. 연평도 포격사건이 위와같은 방사포니 뭐 똑같이 생각하시면 될듯합니다
보통 구멍하나당 착탄지에서 6m간격정도로 떨어진다고 기억하는데 뭐 로켓이다보니 바람영향이커서 아마 십여미터 이상차이납니다. 보통 반제사 혹은 일제사로 쏴서 구룡은 216발까지 날리니광범위 제압용으로 사용됩니다 fdc로 전역한지 거진 10년되가니 가물가물하네요
18/10/31 14:48
저런 다연장로켓포는 아무데나 쏘는게 아니라, 이른바 '전략적 가치'가 높은 타겟에만 쓸 겁니다.
저정도로 퍼부어야 되는 '기계화부대'나 '대포병사격', 혹은 지휘부대에 쏟아부어서 한명의 생존자도 남기지 않는게 목적인 상황에서요. 보통 적당히(?) 몰려오는 적들 상대로는 보통 105mm~155mm 견인포나 못해도 K55,K9 같은 자주포가 쏘겠죠.
18/10/31 14:56
포병으로 가시면 원형공산오차라고 배우시게 되는데, 쉽게 말하면 저렇게 날린 탄이 어디에 떨어지는지 오차가 결정되어 있습니다.
견인포나 자주포처럼 공산오차가 작은 포들은 저런 식으로 지역 포격보다는 정밀 포격에 촛점을 두는 편이고 반대로 구룡같은 다련장 로켓포는 공산오차가 제법 크므로 정밀 포격이 아니라 그 지역 초토화를 염두에 둔 지역 포격을 실시하는 편입니다.
18/10/31 15:11
전역한지 1년이 안된 k-9 fdc의 경험으로 답해드리면 포술에는 사향속이라는 개념이 있습니다.
한 포대(소대)에 k-9 6문이 같은 지점을 겨냥하는게 아닌 중심 좌표로부터 파열폭만큼 떨어지게하여 안겹치게 하거나 윗분이 써주신 공산오차를 고려해서 조금 겹치게끔 좌표를 각각 설정해서 하달하는 포술이 존재합니다.
18/10/31 17:17
OP가 수정값 제대로 안주면 FDC하고 포진이 백날 쏴봐야 헛방인것을ㅠㅠ...
전 FDC였지만 OP가 사격 최선봉이고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열심히 산 타고 계실 OP병들 화이팅!!
18/10/31 15:24
박격포 메고 다녔던 사람으로서,
실전에서는 한군데에 집중적으로 떨구는 연속사는 그다지 안할꺼구요, 좌에서 우로, 아래에서 위로 긁듯이 쏘는 경우가 더 많을겁니다. 전역한지 오래되서 정확한 명칭이 기억은 안나는데, 좌로 소사, 우로 소사 뭐 그런게 있었어요. 근데 사격훈련때는 잘 안하고 주특기 훈련할때 연습은 많이 합니다. 크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