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18/10/20 06:59:42
Name asdqwea
File #1 제프.png (184.0 KB), Download : 39
File #2 제프2.jpg (50.4 KB), Download : 20
출처 https://namu.wiki/w/%EC%A0%9C%ED%94%84%20%EB%B2%A0%EC%A1%B0%EC%8A%A4
Subject [기타] 세계 1위 부자가 물리학을 포기하고 컴퓨터 공학으로 전과한 이유




https://pumpkinperson.com/2017/07/24/estimating-jeff-bezoss-iq/



https://pumpkinperson.com/2017/07/24/estimating-jeff-bezoss-iq/



본인도 상위1% 재능충일텐데 차원이 다른 재능충을 보고 멘붕..

이론물리학 수학 이런거 하는 사람들이 나랑 같은 인류라는게 신기하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10/20 07:03
수정 아이콘
그 학우들보다 천 배 이상 부자가 되셨으니 까짓 우주의 신비를 밝히는 일 정도는 학우들에게 넘기셔도 될 듯....
arq.Gstar
18/10/20 12:18
수정 아이콘
천배보다 훨씬 더 부자일껄요..ㅠ.ㅠ
스카이
18/10/20 13:47
수정 아이콘
미국 이공계의 위엄인가요? 아마존 제프 1/1000이나 되는 재산을 가진 부자들이라니;;
18/10/20 07:08
수정 아이콘
대체 프린스턴에선 학부 때 양자를 어떻게 가르치길래 이해하는데 12시간 걸리는 문제를 주죠...후덜...
Finding Joe
18/10/20 07:13
수정 아이콘
저도 수학 전공하면서 수학으로 벌어먹고 싶었지만 제가 거의 반나절 걸린 문제를 동기들이 10분만에 푸는걸 보고 경제학으로 옮겼죠.
그리고 지금은 대학원에서 똑같이 고통받는 중T.T
18/10/20 08:28
수정 아이콘
제 생각엔 수학전공자가 경제학하면 엄청 큰 메리트 아닌가요 크크
Finding Joe
18/10/20 09:52
수정 아이콘
요즘은 메리트도 아니고 거의 기본소양이 된 지라T.T
그리고 될놈될이라고 머리 좋은 놈들은 수학 백그라운드 없어도 더 잘하네요.
지니팅커벨여행
18/10/20 09:02
수정 아이콘
님 덕분에 경제학과에서 다른 과로 옮기는 사람 생기지 않았을까요?
세인트루이스
18/10/20 09:21
수정 아이콘
저요. 공대가서 미적분듣고 전과했습니다
마스터카드
18/10/20 07:13
수정 아이콘
(수정됨) 양자역학....
솔직히 12시간라도 걸려서 이해한게 부럽...
회색사과
18/10/20 07:16
수정 아이콘
원래 물리학과는 “나 천재?” 하는 애들이 드가서 “응 아냐” 하고 나오는 곳이라죠 크크
조말론
18/10/20 07:17
수정 아이콘
토마스 쿤도 똑같은 루트로 과학철학으로 틀었지요
jjohny=쿠마
18/10/20 07:31
수정 아이콘
저도 물리과 동기들(특히 룸메)이 으마으마하게 뛰어난 걸 보고 '아 물리학 연구는 저런 사람들이 하는 거구나' 했습니다.
그걸 깨달았을 때 빨리 전과했어야 했는데...
퀀텀리프
18/10/20 07:41
수정 아이콘
루트가 같은 사람은 많은데 ..
라파엘
18/10/20 07:49
수정 아이콘
정말 물리에 대한 이해력이 떨어지는 사람들도 있지만
욕심이 큰 사람인 경우도 있어요.

동기들은 문제만 풀 수 일는 선까지만 이해하고 넘어가는 “타협”을 한 반면 조금이라도 이해하지 못한 부분이 있으면 넘어가지 못하는 성격의 사람들도 있죠.

저 정도 성공을 이룬 사람이라면 후자일 가능성이 훨씬 크다고 생각해요.
18/10/20 10:42
수정 아이콘
대학원 연구실 다니는 제 친구가 그런 타입이더라구요
이해 안가면 책을 안넘기는데 왠만하면 다 이해를 해버려서..
18/10/20 07:51
수정 아이콘
1년분량 예습하면서 가장 어려웠던 부분을 고작 12시간만에? 저녀석 천재인가?
갈색이야기
18/10/20 08:04
수정 아이콘
폰 노이만이 생각나네요.

기자: 이번에 노벨상을 수상하셨죠? 헝가리에는 왜 그렇게 뛰어난 천재가 많습니까?
유진 위그너 : 천재가 많다니요? 천재는 오직 존 폰 노이만 한 사람뿐입니다.
아케이드
18/10/20 11:47
수정 아이콘
당대의 천재라는 분들도 폰노이만과 5분만 얘기하고 나면 자죄감과 열등감을 느꼈다죠...
블루태그
18/10/20 08:13
수정 아이콘
다들 경험하죠 크크
아니 나는 문제 이해하기도 힘든데 쟤는 벌써 풀었어? 근데 풀이가 좀... 뭐지 저게? 저런식으로 발상을 어떻게 하지?
난 수학 안해야겠다
18/10/20 08:28
수정 아이콘
크크 12시간 걸려서 이해하고 문제를 풀수 있다는게 놀랍네요.전 다 모르겠던데...
possible
18/10/20 08:37
수정 아이콘
저는 12년 걸려도 이해못할듯..
18/10/20 08:44
수정 아이콘
저도 물리 전공이지만 이런 분들 보면 내 능력도 모르면서 내가 쓸데 없는 욕심을 부리고 있는 건가? 싶기도 하고 평범한 사람은 물리학자가 되고 싶으면 안되는 건가 싶기도 합니다.
티모대위
18/10/20 10:40
수정 아이콘
근데 리처드 파인만 보면 또 그렇게 단언하기는 어려울 듯요..
마그너스
18/10/20 11:55
수정 아이콘
파인만이 평범하다고 하기에는 존 내쉬도 실패한 putnam fellow였기도 하고 프린스턴 대학원이면 지금도 그렇지만 당대에도 최고의 대학원이였는걸요...
티모대위
18/10/20 13:24
수정 아이콘
파인만 아이큐가 일반인 범주라서 얘기한거라... 하하...
아이큐 제외 다른건 당연히 비범하죠.
구양신공
18/10/20 08:49
수정 아이콘
저라면 12시간은 커녕 넌센스 문제일까? 라고 생각할듯
화씨100도
18/10/20 09:11
수정 아이콘
물리학은 상위 0.01%의 재능충이어야 가능하죠.
다른 사람들은 물리가 아니라 무리를 하고 있다고 누군가 그러더군요.
18/10/20 09:16
수정 아이콘
헐, 저희 고등학교 선배였군요
18/10/20 09:27
수정 아이콘
검퓨터 공학 전공자: 야 쫌 오지마....
파핀폐인
18/10/20 09:52
수정 아이콘
걍 프린스턴 여기서 게임 끝....
미숙한 S씨
18/10/20 10:03
수정 아이콘
어떻게 보자면 문제 하나를 갖고 12시간동안 들여다 보면서 풀어낼 만큼 근성이랑 집중력이 있다는게 대단한 것 같기도 하고...
Zoya Yaschenko
18/10/20 10:24
수정 아이콘
천재들 나빠요..
라이츄백만볼트
18/10/20 10:29
수정 아이콘
그런데 이제 그 재능러들을 손가락 하나로 부릴 수 있는 슈퍼갑부가 되셨군요...
티모대위
18/10/20 10:41
수정 아이콘
진지먹자면 프린스턴 나온 물리학계 최고의 천재들은 돈 같은거 별로 신경 안쓰...
마그너스
18/10/20 12:08
수정 아이콘
죽은 ssc 사업을 살려주겠다고 한다면 가능하지 않을까요?
티모대위
18/10/20 10:39
수정 아이콘
물리학 하다가 다른쪽으로 빠진 사람이 어디 한둘이겠어요? 물리학이 진짜 천재의 학문이자 인류 지식의 최전선인데...
그중에서 이런 성공한 사업가/공학자가 나오는건 놀랄 일이 아닌듯... 크크
18/10/20 10:44
수정 아이콘
물리학, 수학은 천재의 학문입니다
곽철용
18/10/20 10:50
수정 아이콘
제가 백날 공차도 축구선수는 못되겠죠
저격수
18/10/20 11:14
수정 아이콘
어디가 천재의 학문이고 어디가 아니다 이런 거엔 별로 동의가 안 되는데, 프린스턴 다니면서 든 생각이었다면 그야말로 적성 문제였겠네요 크크크
아케이드
18/10/20 11:56
수정 아이콘
수학 물리학은 범인이 노력한다고 해도 할수 있는게 거의 없고, 극소수의 빛나는 천재가 '업계(?)'를 먹여살리는 곳인 지라
'천재의 학문'이라고 명명해도 별 문제 없을 거 같아요.
솔직히 다른 학문 분야는 부단한 노력이라는게 통하긴 하잖아요. 찰스 다윈이 평생의 노력으로 '종의 기원'을 저작하게 된 것처럼요.
펠릭스30세(무직)
18/10/20 11:15
수정 아이콘
저 아는 어떤분도 물리학과 갔다가 머리가 안따라가서 좌절하고 재수해서 서울대 법대가서 사시 패스 했지요
T.F)Byung4
18/10/20 15:35
수정 아이콘
허거덕 그분 혹시 물리학과 90학번 아닌가요?
키 꽤 크고
handmade
18/10/20 11:38
수정 아이콘
제 지인은 과학고 나오고 대학에서 물리학 전공했는데 머리가 못 따라가서 경제학으로 바꿨습니다. 위에도 비슷한 분이 계시는군요.
18/10/20 21:50
수정 아이콘
음?? 프린스턴 만점이 4.3인가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37375 [기타] 미국에서 메가밀리언 복권 당첨자가 나왔습니다 [40] 휴먼히읗체9346 18/10/24 9346
337373 [동물&귀욤] 이눔시키! 엄마가 위험한데 올라가지 말라고 했자냥!! [8] 홍승식6432 18/10/24 6432
337372 [기타] 튜닝차 레전드 [21] swear8618 18/10/24 8618
337371 [LOL] 세체원 후보 레클레스 피지컬로 압살.gif [13] 라이츄백만볼트7885 18/10/24 7885
337370 [유머] (4mb)종교계에서도 반응이 좋았던 영화 [29] 카루오스8053 18/10/24 8053
337369 [LOL] 올스타에 눈이 먼 뱅의 추가 공약.TXT [37] 카발리에로8126 18/10/24 8126
337368 [유머] 야동 보는 남자의 일침 [12] swear9943 18/10/24 9943
337367 [스타1] KSL vs ASL Show Match at BlizzCon 2018! [5] 及時雨5397 18/10/24 5397
337366 [서브컬쳐] - [14] 미캉8197 18/10/24 8197
337365 [유머] 사실 소금이라는 것이 건강식품이거든요 [27] 인생의낭비9575 18/10/24 9575
337364 [유머]  프로게이머도 버거워하는 고인물로 가득한 게임.jpg [22] 아지매10431 18/10/24 10431
337363 [유머] 숨막히는 고문 [12] swear8188 18/10/24 8188
337362 [LOL] 우리탑 캐리 한다면서 4연 솔킬 내주네...... [5] ICE-CUBE6961 18/10/24 6961
337361 [기타] 바퀴에 바람이 빠졌다구요? [14] 물맛이좋아요7072 18/10/24 7072
337360 [유머] 민원24, 천재 개발자 [34] 파랑파랑10620 18/10/24 10620
337359 [게임] 레고워치 [9] 나와 같다면5467 18/10/24 5467
337358 [방송] 영주에서 올라 온 서울대생 형제 [10] 나와 같다면10946 18/10/24 10946
337357 [방송] 육아의 중요성.avi (2:42) [1] 닉네임없음5352 18/10/24 5352
337356 [동물&귀욤] 얼굴 작아지는 마사지 [4] 미캉5486 18/10/24 5486
337354 [유머] 나사가 남극에서 발견한 직각으로 된 빙하 [15] 은여우9554 18/10/24 9554
337353 [기타] 이게 다 게임때문이다!!! [36] 빨간당근8822 18/10/24 8822
337352 [LOL] 탈론 일병 구하기 [19] 쎌라비6068 18/10/24 6068
337351 [스타1] 농락당하는 갓 [11] F.Nietzsche8997 18/10/24 899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