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18/10/14 11:08:49
Name 카루오스
출처 fmkorea
Subject [유머] (10mb)지진 진동주기에 따른 건물 손상
OqDCR1c.gif


2011년 일본 대지진 당시  고층건물이 타격을 많이 입음
1985년 맥시코 대지진당시 중간층 건물이 타격을 많이 입음
2010년 아이티 대지진 당시 처층건물이 타격을 많이입음


결론
지진나면 무조건 고층건물이 타격을 많이 입는게 아니라
진동주기에 따라 건물의 피해규모도 달라진다.
----------------------------------------
오... 진짜 신기하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metaljet
18/10/14 11:16
수정 아이콘
공진 현상이라는 건데요 다리와 마찬가지로 세로로 길쭉한 건물들도 고유진동수가 다 있죠... 아무리 내진 설계를 튼튼하게 해도 재수없게 진동수가 맞으면 박살이라.. 요즘은 진동흡수용 쇠공을 놓는다던지 하는 능동적인 진동 억제 설계를 하더군요.
이부키
18/10/14 11:16
수정 아이콘
건물 높이가 중요한게 아니었군요. 띠용.
18/10/14 11:29
수정 아이콘
컨트롤 오지시네요
다람쥐룰루
18/10/14 14:31
수정 아이콘
평소 연습을 많이하셨나봐요
녹차김밥
18/10/14 11:40
수정 아이콘
일본에는 고층건물이 많고
멕시코에는 중층건물이 많고
아이티에는 저층건물이 많아서?!!!
(드립입니다..)
18/10/14 11:52
수정 아이콘
진동해석의 기본이 모드해석을 통한 고유진동수 계산으로 압니다. 버스를 타보면 가속하다가 차량이 크게 진동하는 구간이 있는데 그게 차량의 고유진동수와 회전수가 일치해 공진이 발생하는 겁니다. 고속버스 타는데 길이 막혀서 자꾸 멈췄다 가속했다 반복하니까 차가 계속 덜덜덜 거리며 잠을 도저히 못자겠던 기억이 있네요. 고유진동수는 길이와 질량에 반비례하므로 길고 무거운 고층건물은 저주파수에 취약한 특징을 갖습니다.
18/10/14 12:03
수정 아이콘
'라이어 게임'에 이 원리를 이용한 마술도 나왔던 기억이 나네요.
아케이드
18/10/14 12:11
수정 아이콘
와 이건 몰랐는데 신박하네요.
handmade
18/10/14 12:32
수정 아이콘
대략 알고는 있던건데 컨트롤 잘하는게 신기해요 크크
곤살로문과인
18/10/14 12:49
수정 아이콘
교수님 컨 쩌네
18/10/14 13:02
수정 아이콘
진짜 컨이 좋네요 크크크
18/10/14 13:08
수정 아이콘
컨이야기가 나오다니 크크크
유념유상
18/10/14 13:28
수정 아이콘
그래서 최신 고층건물은 무게추가 있어서 저걸 방지하죠.
18/10/14 13:55
수정 아이콘
크크크크 게임사이트 아니랄까봐 전부 컨트롤 이야기
닉네임을바꾸다
18/10/14 15:38
수정 아이콘
사실 내진설계가 더 중요한겁...응?
전직백수
18/10/14 16:16
수정 아이콘
신컨이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36554 [기타] 백주부 레시피 총정리.jpg [4] 김치찌개11195 18/10/15 11195
336553 [기타] 해외여행갈때 피해야할 항공사.jpg [47] 김치찌개10722 18/10/15 10722
336552 [유머] 본 시리즈 vs 미션 임파서블 시리즈 당신의 선택은?.jpg [38] 김치찌개5743 18/10/15 5743
336551 [유머] 내가 제일 좋아하는 전은?.jpg [26] 김치찌개6012 18/10/15 6012
336550 [기타] 뜻밖의 자아성찰 [6] 쎌라비7744 18/10/15 7744
336549 [기타] 나는 쿠키가 있어 [14] 쎌라비7746 18/10/15 7746
336548 [기타] 매생잇국의 참맛 [28] 쎌라비8312 18/10/15 8312
336547 [기타] 택배 아저씨한테 두부 심부름 시키다가 혼났어요 [46] 쎌라비10589 18/10/15 10589
336546 [게임] 배그 최대의 업적 [15] 쎌라비7295 18/10/15 7295
336545 [유머] 비둘기 수용소 [12] 항즐이7402 18/10/15 7402
336544 [LOL] C9 명장 복한규의 피드백 스타일. [64] 묘이 미나 13423 18/10/15 13423
336543 [LOL] 롤드컵 상남자 모음.gif [17] 은여우11995 18/10/15 11995
336542 [LOL] 장막을 들추고 미래를 엿보다 [7] 이호철5890 18/10/15 5890
336541 [LOL] 오늘자 롤드컵 젠지 [33] swear12229 18/10/14 12229
336540 [게임] 관짝에 못 박혔는데 또 꺼내지는 게임 [28] 치열하게12847 18/10/14 12847
336539 [LOL] 팀 바이탈리티 근황 [83] 及時雨11839 18/10/14 11839
336538 [LOL] ???: 1R 3승하고 2R에 3+1패 한 팀이 있다고? [6] Archer7151 18/10/14 7151
336537 [유머] 장인은...... [25] 전직백수13225 18/10/14 13225
336536 [기타] 미국인이 선정한 위대한 미국인 TOP 20.TXT [26] 비타에듀8188 18/10/14 8188
336535 [게임] 그린게임랜드 무릎 트로피분실사건의 전말 [24] ZZeTa13527 18/10/14 13527
336534 [LOL] C9이 RNG에게 승리한 이유 [19] 레드로키9242 18/10/14 9242
336533 [LOL] 4연속 권능 1부리그 해설자 [14] 부처7741 18/10/14 7741
336532 [LOL] 오랜만에 이 짤 올라올때가 되었군요. [5] 김티모6320 18/10/14 632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