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18/10/11 16:54:27
Name swear
출처 에펨코리아
Subject [기타] 생활 속 순 일본말
99b983892094b5c6d2fc3736e15da7d1.jpg



땡땡이가 일본말인 건 처음 알았네요...
근데 땡땡이가 아니라 뗑뗑이였군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우중이
18/10/11 16:55
수정 아이콘
콩느낌
녹차김밥
18/10/11 16:57
수정 아이콘
이제 세뇌당해서 이런것만 보면 닭도리탕을 제일 먼저 찾습니다
리나시타
18/10/11 16:58
수정 아이콘
たんす랑 さら를 요즘도 쓰나요?
사라까지야 완전 어릴때 가끔 듣긴 했는데 요즘은 한국인한테서는 못들은지 한참 지났고 たんす는 애초에 한국인한테서 한번도 들은적이 없는데...
녹용젤리
18/10/11 17:14
수정 아이콘
제가 요즘도 제일 듣기 싫은 말이 손님이 앞사라 달라는 소립니다.
리나시타
18/10/11 17:18
수정 아이콘
궁금한게 앞사라라는 말을 젊은 사람들도 쓰나요?
녹용젤리
18/10/11 17:23
수정 아이콘
네 씁니다. 나이 성별 상관없더라구요.
사라소리 들을때마다 [빈 접시 가져왔습니다] 라고 하는데 딱히 느끼시는건 없더라구요.
담배상품권
18/10/11 18:22
수정 아이콘
쓰면 기분나쁠 이유라도 있는지 묻고싶습니다.
18/10/11 22:07
수정 아이콘
한국어에 대한 애정이 크면 기분 나쁠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녹용젤리
18/10/11 22:48
수정 아이콘
딱히 이유붙일것도 없습니다.
지극히 개인적인 이유지만 [식사라, 앞사라] 이 두 가지 단어는 왠지모르게 거부감이 크게 느껴져서요.
혹시라도 기분이 상하셧으면 제 언어선택의 잘못이니 사과드리겠습니다.
그렇다고 손님을 차별하거나 감정을 드러내진 않으니 너무 큰 걱정은 안하셔도 되구요.
세츠나
18/10/11 17:21
수정 아이콘
신기하네요. 할머니 세대(80+) 말고는 쓰는 사람을 못봤는데...사실 할머니 말고는 거의 못본 것 같음
나를찾아서
18/10/11 17:23
수정 아이콘
식당가면 심심치 않게 들립니다. 10,20대 말고 30대부터 잘 쓰더군요.
세츠나
18/10/11 17:30
수정 아이콘
신기하네요 5살까지 시골/고교까지 지방도시/그 후 수도권 여러군데서 살면서 진짜 못들어봄...
30대 아니라 50대 위로도 들어본 적 없고 친할머니나 큰고모 정도로 나이든 친척분들 정도?
괄하이드
18/10/11 21:06
수정 아이콘
경상도 출신 30대인데 고향에서는 사라를 더 많이 들었던것 같습니다. 서울 올라와서 '앞접시 주세요'라는 표현을 처음 들었을 정도...'식사라' 라고도 많이 들었던것 같고요. (근데 위에 식당에서 일하시는 사라라는 단어를 왜 기분나빠하시는지는 잘 모르겠네요)
18/10/11 23:34
수정 아이콘
그냥 괜히 막 싫고 거슬리는 말이 있지 않나요?
저는 개인적으로 “똥 누다”라는 말과 “라면 삶다” 라은 말이 싫습니다.
전자는 똥 싸다에 비해서 뭔가 변비같이 힘든 배변이 생각나서 싫구요, 라면 삶다는 라면 끓이다에 비해 푹 퍼지고 싱거운 결과물이 떠올라서 싫네요.
뭐 그런 지극히 개인적인 문제가 아닐까요.
류지나
18/10/11 16:59
수정 아이콘
잘못된 순화 표현인 오뎅->어묵같은 예시는 없군요....
18/10/11 20:14
수정 아이콘
저기 셋셋셋도 원래는 set set set 일텐데...
그래도 닭도리탕은 없네요.
영웅의신화
18/10/11 17:00
수정 아이콘
뽀록나다는 fluke에서 온 거 아니었나요? 플루크> 후루꾸> 뽀록인 줄 았았는데...
SCP재단
18/10/11 17:11
수정 아이콘
(수정됨) 뽀록이 동음이의어입니다. 들통나다라는 뜻도 있고 후루꾸도 있고..
뽀록나다라는 말은 들통나다가 맞고
후루꾸는 대게 뽀록 터졌다 라고 하거나, 뽀록이네 정도로 쓰는 경우가 많은거 같아요.
wersdfhr
18/10/11 18:02
수정 아이콘
저도 이렇게 알고있었는데 아니었나보네요
유자농원
18/10/11 17:00
수정 아이콘
요즘은 안쓰는게 많네요
인간흑인대머리남캐
18/10/11 17:03
수정 아이콘
다른건 몰라도 아싸리는 들을때마다 거북해서 죽을거 같아 대체 어디서 온 말인가 했는데 일본어였군요
담배상품권
18/10/11 17:03
수정 아이콘
노가다는 순화한 말 어감이 훨씬 나쁜데요?
저는 일상생활에서 일본어 쓰는게 뭐가 그리 나쁜지 잘 모르겠습니다마는..
R.Oswalt
18/10/11 17:21
수정 아이콘
동의합니다. 막일이라고 칭하는 것을 일부러 외래어를 사용해 완곡 표현한다는 느낌이라...
타마노코시
18/10/11 17:05
수정 아이콘
다대기는 좀 애매하지 않나요..
타타키가 어원이라고 하는 건데 타타키는 순수한 의미는 '때림','탕탕치다'의 의미라서..
리나시타
18/10/11 17:07
수정 아이콘
https://ko.wikipedia.org/wiki/%EB%8B%A4%EB%8C%80%EA%B8%B0
이런 주장도 있네요
전 이쪽이 더 신빙성 있어보입니다
본래 뜻도 그렇고 타타키라는 발음이 다대기까지 변형이 됐다는건 좀...
타마노코시
18/10/11 17:09
수정 아이콘
역시 이런 이야기가 있네요..
일본에서 다진 양념 개념으로 쓰는 것이 많은가 하는 것도 잘 떠오르지 않고, 그런 양념을 보통 다대기나 타타키 비슷한 명칭으로 양념을 부르는 경우를 저는 최소한 들어보지 못했네요.
정지연
18/10/11 17:13
수정 아이콘
https://ja.wikipedia.org/wiki/%E3%83%95%E3%82%A1%E3%82%A4%E3%83%AB:Namerou.jpg
이렇게 회를 잘게 다진 요리를 타타키 혹은 나메로라고 부른다고 합니다.. 우리나라 다대기랑 만드는 방법은 비슷하니 그렇게 추정하는거 같아요
타마노코시
18/10/11 17:16
수정 아이콘
네 맞습니다.
우리 나라 일식집에서도 저런 요리들이 종종 XX타타키 해서 나오지요.
근데 다대기 만드는 방법이랑 비슷하다고 그러는데 애시당초에 음식 자체와 양념인데 개념이 다른 거라고 봐야지.
그냥 이 근거만 가지고 저런 이야기가 나오면 정말 닭도리탕 시즌2 일 것 같아요.
야스쿠니차일드
18/10/11 17:50
수정 아이콘
저 타타키는 일본애들도 요리를 아예모르거나 가방끈 짧은 친구들은
다랑어 타타키 만들라고 하면 정말로 다랑어를 두들겨서 만드는걸로 이해하는 친구들도 있긴 있어요.. 극소수긴해도.
츠라빈스카야
18/10/11 17:06
수정 아이콘
딴건 거의 알고있고, 접해본 적이 있는데, 단스는 처음 보는 단어군요. 들어본 적도...
사랑만 하기에도
18/10/11 17:11
수정 아이콘
예전에는 한국어로 바꾸는게 좋겠다고 생각했는데, 사실 단어들이 쓰이는 방식도 서로 다르고 뜻도 달라진게 많고 괜히 억지로 바꾸려는 것도 있어서 그냥 지금처럼 쓰는게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김티모
18/10/11 17:12
수정 아이콘
케모노프렌즈의 가방짱에서 봐도 알지만 사실 이런 순 일본어말 끝판왕은 가방(かばん 카반)이죠. 요즘은 백(バッグ)도 많이 쓰는거 같습니다만. 구두도 순 일본어입니다.(쿠쯔) 의외로 일본어같은데 순수 일본어가 아닌건 덴뿌라 정도? 이건 어원이 포르투갈 어라고 하더라고요.
담배상품권
18/10/11 18:21
수정 아이콘
낭만, 공화 등등 오늘날 쓰이는 수많은 한자어가 일본에서 한자로 번역한 말이죠.
그냥 감정영역이라고 봐야할듯합니다.
Phlying Dolphin
18/10/11 20:02
수정 아이콘
오히려 일본어 くつ가 한국어 구두에서 유래했다는 말도 있습니다. 연관있는건 맞는 거 같은데 어디가 먼저인지는 모르죠.
Lord Be Goja
18/10/11 17:18
수정 아이콘
모에나 오타쿠 같은거는 시도하지 않는걸 보니 아직 왜래어라는 느낌이 강해서 그런거같군요.
18/10/11 17:19
수정 아이콘
단스는 보통 어르신들이 [단서(단소) 열어봐라]라고 썼던 거 같습니다. 그래서 저도 이게 그냥 사투리거나 한자언줄 알고 그냥 써왔는데..
호랑이기운
18/10/11 17:29
수정 아이콘
닭도리탕이없네요(엄근진)
윤정애기와3년차
18/10/11 17:31
수정 아이콘
모찌는 오히려 저 같은 20대가 더 많이 쓰는 느낌이에요. 모찌모찌한 느낌이라는 말까지 있으니 크크크크
사운드커튼
18/10/11 17:48
수정 아이콘
어감이 귀여우니까요. 캐릭터도 나왔고요.
솔로14년차
18/10/11 17:40
수정 아이콘
외래어 좀 쓰는 게 어때서.
18/10/11 17:47
수정 아이콘
뗑깡이 의외네요
요즘 애키우면서 자주 쓰는 단언데
18/10/11 17:58
수정 아이콘
뜻 생각해보면 꼭 순화해야할 필요가 있는 말이지 싶지요
李昇玗
18/10/11 18:03
수정 아이콘
와 저도 뗑깡은 쓰면 안되겠어요..
안좋은 뜻이었네
아이셔 
18/10/11 17:49
수정 아이콘
감색은 알고 있으면서도 머릿속에서는 잘 매치가 안 되네요. 감색은 자꾸 빛바랜 주황색이어야 할 것 같은..ㅠㅠ
야스쿠니차일드
18/10/11 17:51
수정 아이콘
아다가 없네요. 너무 상스러워서그런가
용접할때 걸리는 아다리도 있고..찾아보면 생각보다 많네요
조지영
18/10/11 17:56
수정 아이콘
아다리는 바둑의 '단수'의 일본어 표현입니다. 아다와는 별 상관 없어요..
야부키 나코
18/10/11 17:58
수정 아이콘
전 아다의 어원이 '아타라시이'(새로운)에서 온걸로 알고있는데... 뜻도 맞고...
야스쿠니차일드
18/10/11 18:01
수정 아이콘
전 아다리는 그 빛이 눈에 맞았다고 아다리라고 하는줄 알았어요;;
게임회사 아타리가 바둑용어에서 따온거는 들어본거 같고;;

그리고 그 아다는 그 아다죵
조지영
18/10/11 18:38
수정 아이콘
아, 두 예시를 그냥 나열하신거군요 저는 관련성 있다고 적으신걸로 오해했네요.
Chasingthegoals
18/10/11 17:52
수정 아이콘
약 10여년 뒤
응, 언어의 사회성.
ComeAgain
18/10/11 17:57
수정 아이콘
이런 거 보면 정말 야마도네요.
18/10/11 17:59
수정 아이콘
영어 외래어는 잘만쓰면서 일본에서 들어온 외래어 쓰는 걸 가지고 뭐라하면 좀 황당하긴 합니다.
이지안
18/10/11 18:17
수정 아이콘
일본어는 언어가 일제의 잔재 이미지가 강해서죠.
침략당해서 강제로 배운 언어가 지금까지 남아있는경우가 많으니까요.
유열빠
18/10/11 18:18
수정 아이콘
지배를 당한 게 크죠. 아직 해방된지 100년도 안되었으니..
담배상품권
18/10/11 18:20
수정 아이콘
일본에서 들여온 한자어까지 갈면 한국어 자체를 갈아야할판입죠.
18/10/11 19:51
수정 아이콘
미국과 일본을 대하는 국민정서가 전혀 다르죠. 일본 군대는 우리나라 근처에도 못오게 하지만 미국 군대는 한국에 눌러앉아서 살인 강간 저질러도 쫓아내자고 하면 매국노 소리 듣는게 현실입니다.
18/10/11 18:01
수정 아이콘
찹쌀떡
18/10/11 18:47
수정 아이콘
철학하고 경제는요?
Philologist
18/10/11 18:51
수정 아이콘
제 귀에는 '왔다리 갔다리'와 같은 '~리 ~리' 표현이 젤 거슬려요. 이건 단순한 단어가 아니라 표현이다보니 인식도 잘 안 되고..
18/10/11 19:28
수정 아이콘
단스 진짜 오랜만에 보네요 크크
18/10/11 19:35
수정 아이콘
할매가 쓰던 쓰봉, 사분의 원래 뜻을 알고 충격받았습니다.
쓰봉은 jupon(프) - 즈퐁(일) - 쓰봉(경상도)
사분은 sabao(포르투갈) - 샤봉(일) - 사분(경상도)
껀후이
18/10/11 20:01
수정 아이콘
오...몰랐던 것도 많군요
저는 큰집 가면 대화 도중 '나래빗 서다'라는 말을 종종 듣는데 그게 일본말인걸 최근에 알았어요
생각안나
18/10/11 20:02
수정 아이콘
뭐 이제는 좀 써도 되지 않나 싶네요
Phlying Dolphin
18/10/11 20:03
수정 아이콘
저한테 제일 신기했던 일본어 유래 단어는 잉꼬였습니다.. 당연히 순우리말일 줄 알았어요.
모리건 앤슬랜드
18/10/11 20:42
수정 아이콘
자연스럽게 도태된 일본어도 많은데 지금까지 살아남았으면 뭐 그냥 이제 동화된 한국어라고 봐야죠....
18/10/11 20:48
수정 아이콘
안쓸 이유도 없죠..
댓글 다신분들 아이디만 봐도 순 우리말 별로 없는듯
네오크로우
18/10/11 20:59
수정 아이콘
동글동글해서 땡땡이라고 한 줄 알았더니.. 뗑뗑이라니... 크크크
괄하이드
18/10/11 21:08
수정 아이콘
근데 뭐 발음까지 같은건 아니지만 과학, 수학, 경제 등의 단어뿐만 아니라 학문에서 쓰는 한자어들은 거의 다 일본에서 만든 한자어라서...
Dowhatyoucan't
18/10/11 22:30
수정 아이콘
구두
서지훈'카리스
18/10/12 01:12
수정 아이콘
별 상관 없는데
그냥 현대인이 쓰기 편한 말 쓰면 된다고 생각합니다.
TMI 이런 말도 쓰는 와중에 못 쓸 말도 없다고 생각함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36456 [기타] 한번 쓰면 중독되는 고퀄리티 샤프 10.jpg [43] 김치찌개9783 18/10/13 9783
336453 [유머] 커피 마시면 잠 안 온다vs상관없이 잘 잔다 [37] 김치찌개5614 18/10/13 5614
336452 [유머] 버스탈 때 은근 호 많은 자리.jpg [20] 김치찌개7933 18/10/13 7933
336451 [기타] 1표 차이 [13] 퀀텀리프8583 18/10/13 8583
336450 [유머] 천조국 블랙프라이데이 근황.JPG [10] TWICE쯔위10282 18/10/13 10282
336449 [LOL] 행복한 세상의 김동준씨 [2] 안초비5801 18/10/13 5801
336448 [동물&귀욤] 은퇴한 경찰견과 아기 고양이 [8] 검은우산7279 18/10/13 7279
336447 [유머] 흔한 할로윈 복장.gif [4] 현대 히토미7242 18/10/13 7242
336446 [유머] 배그 초반싸움.gif [12] TWICE쯔위8456 18/10/13 8456
336445 [방송] 이번에는 이쪽도 힘으로 간다 [18] 치토스11252 18/10/13 11252
336444 [기타] 더럽게 운이 없었던 벨기에 소년.gif [67] 삭제됨12629 18/10/13 12629
336443 [방송] 생존왕 [2] 카루오스6496 18/10/13 6496
336442 [유머] 네가 타기엔 10년은 이르다. 애송이. [18] 길갈10789 18/10/13 10789
336441 [방송] 매력 넘치는 중국의 여BJ [31] 윤정14220 18/10/13 14220
336440 [유머] 소화기, LPG 가스통을 총으로 쏘면 폭발 할까? [21] 겨울삼각형10859 18/10/13 10859
336439 [유머] 악질점장한테서 밀린 월급 받는법.kakao [23] 킬리언 머피9538 18/10/13 9538
336438 [게임] [FM] 매년 시리즈마다 사기논란으로 제일 말 많은 선수.jpg [53] 낭천16175 18/10/13 16175
336437 [유머] 모 작가가 키위를 못먹게 된 이유.jpg [19] 삭제됨11817 18/10/13 11817
336436 [LOL] 롤드컵 그룹 스테이지 4일차 티저 [15] 비역슨6355 18/10/13 6355
336435 [서브컬쳐] 어린이들이 좋아하는 장난감 [5] 나와 같다면5325 18/10/13 5325
336434 [유머] 어떤 재벌3세의 약력.jpg [42] 삭제됨12583 18/10/13 12583
336433 [기타] 서울대생이 말하는 서울대 [35] 나와 같다면12542 18/10/13 12542
336432 [서브컬쳐] 원피스의 정체 [13] 인간흑인대머리남캐7371 18/10/13 737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