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18/10/05 12:08:17
Name 톰슨가젤연탄구이
File #1 820dcd4fa89957c8475908b7053d3560.jpg (133.8 KB), Download : 43
File #2 9k=.jpg (9.8 KB), Download : 18
출처 인터넷
Subject [기타] 세계최고의 문명국




不尽长江滚滚来부진장강곤곤래 - 끝없는 장강의 물결은 도도하게 흐른다. -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ColossusKing
18/10/05 12:09
수정 아이콘
미(개)국
녹차김밥
18/10/05 12:10
수정 아이콘
브라질 ㅠㅠ
덴드로븀
18/10/05 12:11
수정 아이콘
미국은 콜라때문인가...도대체 뭘 먹는거야 크크크
wish buRn
18/10/05 12:15
수정 아이콘
싱가포르..
역시 스트레스엔 단게..
18/10/05 12:15
수정 아이콘
맞는 말이네요. X맞는말..
엔타이어
18/10/05 12:20
수정 아이콘
역시 문명의 발생지는 중국이죠...
18/10/05 12:20
수정 아이콘
당당달아당당당당당~
카루오스
18/10/05 12:21
수정 아이콘
영국은 설탕을 저만큼 때려붓는데 왜 맛이...
몽키매직
18/10/05 12:21
수정 아이콘
집중 포화 와중에 숟가락 얹기 싫긴 한데...
일본 좋아하면서 단 맛 공격하는 건 앞뒤가 안 맞기는 합니다.
일본이 단 음식 맛있게 정말 잘 만들고 그걸로도 유명하죠. 제빵, 제과...
일본 가서 달디 단 카스테라 위에 설탕을 더 얹어서 주는 거 보고 여기 사람들 단 것 정말 좋아하는구나라고 느꼈죠. 일본 어느 지역가도 마찬가지...
하늘을 나는 고래
18/10/05 12:29
수정 아이콘
김도 단맛나는곳이 일본이라....
18/10/05 12:33
수정 아이콘
계란말이도 달더군요
18/10/05 12:33
수정 아이콘
저도 참 짤 하나 가지고 평가하긴 뭐하지만 수요미식회 과자편에서 과자 거기서 거기 아니냐 하는 발언을 보니 좀 그렇더군요.
일본이면 서양제과제빵이이든 전통과자든 시판 과자들이건 내로라할만한 것들이 한가득인데...황교익 씨 인생 절반을 손해보고 있는 거 아닌가 싶더군요 크크
cienbuss
18/10/05 12:41
수정 아이콘
음식도 그렇지만 디저트를 정말 잘 만들죠.
18/10/05 12:59
수정 아이콘
뭣모를때 일본 음식은 한국음식에 비해 순하다고 하도 떠들어대서 그렇다고 믿었는데,
웬걸...짜고 달고...
18/10/05 13:03
수정 아이콘
일본 전통식은 실제로 밍밍한 게 많죠. 요즘 사람들이 먹는 건 안 그렇고요.
18/10/05 13:05
수정 아이콘
중간이 없는 느낌을 많이 받았어요
밍밍하거나 간이 오버됐거나..
18/10/05 12:24
수정 아이콘
일본음식이 담백하다는 일종의 편견이 있었어서 처음 일본 가보고 상당히 놀랐었습니다.

어디를 가든 짜고 달고 느끼함...
몽키매직
18/10/05 12:48
수정 아이콘
관광지에서 외국인 어느 정도 받는 가게는 그나마 덜한데, 관광객이 거의 안 갈 것 같은 곳 들어가면 간이 더 강합니다. 오히려 한국인 많이 가는 곳은 간을 덜하는 것 같아요.
18/10/05 13:00
수정 아이콘
저도 처음 일본 가고 완전 충격먹었어요 크크
누렁쓰
18/10/05 13:09
수정 아이콘
대학교 앞 기름소바집에 갔는데 정말 엄청 짠 기름에다가 말아 주더군요.
뚱뚱한아빠곰
18/10/05 13:40
수정 아이콘
엥? 왜 그런 편견이;;;;;
일본 식당음식 엄~~~~청 짭니다.... 특히나 한국 가정집과 비교하면 정말 못먹을 정도에요.....
18/10/05 14:04
수정 아이콘
아마 회와 초밥 때문이었으리라 생각합니다.

잘 모를 때는 일본음식하면 떠오르는 대표적인게 날로먹는 회, 초밥에 소바나 우동들이다보니 그냥 담백하겠거니 하는 생각을 하게된거죠.
뚱뚱한아빠곰
18/10/05 14:09
수정 아이콘
그겐 그것도 오해하시는게.... 우리나라 사람들만 회 먹을 때 초장이나 고추냉이 푼 간장을 살짝 찍어먹는 정도지...
저나 부모님 주변의 일본사람들 보면 초장이나 간장 듬뿍듬뿍 찍어먹더라고요... 회 그냥은 무슨 맛으로 먹냐며;;;;
아타락시아1
18/10/05 16:00
수정 아이콘
한국에서의 일식이 담백해서 그런지 몰라도 저도 담백하다는 느낌이 강했습니다. 일본가서 말도 안되는 생각이라는 걸 느꼈고요 크크크크크 완전 간 팍팍 재대로 해주더만요
PizaNiko
18/10/05 13:59
수정 아이콘
일본가서 밥을 먹을 때, 가격이 싸면 쌀수록 짜고 달고 기름기가 철철...
작별의온도
18/10/05 12:32
수정 아이콘
과자나 간식을 스윗츠라고 하는 나라가 일본인디..
내일은
18/10/05 12:36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인류학적으로 음식 살펴보면 인류가 얼마나 단맛에 환장하고 단맛 만들어내기 위해 노력했는지 음식 평론 쓰면서 모를 수가 없을텐데요. 간단하게 정리하자면 여러 상품 작물들을 종교등 문화적인 이유로 받아들이지 않은 곳은 있지만 설탕을 받아들이지 않은 지역은 한군데도 없습니다.
그리고 문명의 척도를 여러 기준으로 볼 수 있지만 설탕을 구하기 위한 노력과 기술발전도 문명의 척도로 볼 수 있습니다. 산업혁명 역시 노동자들한테 저가로 설탕을 공급가능해졌다는게 요인이기도 하고요.
우리 전통음식이 안단건 그냥 설탕을 못구해서 꿀이나 다른 걸 이용해서 단맛 만들어내는데 한계가 있어서 그런거고 설탕 좀 구하게 되면서 신하들한테 상으로 설탕 내린 기록도 많죠.
그리고 일본은 서양과 접촉이 많기도 했고 사쓰마번이 류구국 복속 시키면서 설탕 구하기 쉬워진 뒤에는 꼭 제빵이 아니더라도 일본 음식 전반에 설탕이 많이 들어왔습니다.
타카이
18/10/05 12:38
수정 아이콘
그런데 탄수화물 섭취량으로 비교를 해봐야하는 것도 있을듯한데
밥 한공기만해도 탄수화물로는 60g가 넘는데...
쌀이 주식인 국가에서는 상대적으로 당류 섭취량이 낮아야 탄수화물 밸런스가 맞는게 아닐지...(일본은 이상해)
주니엘
18/10/05 12:41
수정 아이콘
설탕세를 도입시켜 문재인정부의 세수를 증가시키려는 맛교안 센세의 큰 그림이 아닌가 시프요.
유유히
18/10/05 12:41
수정 아이콘
터키 그리스 쪽 지중해 일대 간식 먹어보면 저런 말 감히 못할텐데; 역시 그리스는 문명화되지 못한 곳이지요?
프로그레시브
18/10/05 12:44
수정 아이콘
혓바닥이 쓸데없이 기네
독수리가아니라닭
18/10/05 12:49
수정 아이콘
상식적으로 과거에 설탕이 얼마나 귀한 재료였는지 생각해 보면, 오히려 발달된 나라일수록 음식이 달아지는 게 정상이죠
kissandcry
18/10/05 12:57
수정 아이콘
단 맛이요?? 문명사이트 피지알 인정인가요
Lord Be Goja
18/10/05 12:58
수정 아이콘
당연히 몰라서 그러는건 아니고 무언가를 혹은 누군가를 까내릴려고 저런발언을 했겠죠.
18/10/05 13:00
수정 아이콘
음...설탕은 고급 식재료였을텐데...?
콜드플레이
18/10/05 13:01
수정 아이콘
그리스 못 가서 심통난 듯
18/10/05 13:03
수정 아이콘
단 맛이라는 게 그냥 나오는 게 아닌데..이 뭐 병..
18/10/05 13:06
수정 아이콘
중동 근처가 어마어마하게 달다는 이유로 무시하는 것인가봐요
무가당
18/10/05 13:45
수정 아이콘
이거 탄수화물에 있는 당은 무시한거죠? 그거 포함하면 한국 일본도 장난 아닐텐데....
타카이
18/10/05 13:52
수정 아이콘
탄수화물로 묶지 않고 설탕 섭취량만 포함한 듯 해요
포함해야 제대로된 걸로 보이는데...영양적으로는
18/10/05 13:56
수정 아이콘
문명시리즈에서도 설탕은 옥수수나 다이아몬드에 버금가는 중한 자원이거늘..
다람쥐룰루
18/10/05 13:59
수정 아이콘
음식에 뭐든 조미료는 넣게 돼있고
그게 설탕이냐 소금이냐 향신료냐 전부 다냐(...) 의 차이가 있을 뿐이죠
우리나라는 고춧가루 소금 설탕이 1 : 1 : 0.5 정도라면
일본은 0 : 3 : 1 정도...
metaljet
18/10/05 14:08
수정 아이콘
사치재로서나 식량으로서나 서구 문명의 발전에 설탕의 역할이 지대한데 허허
사업드래군
18/10/05 14:08
수정 아이콘
미국이 생각보다 소비량이 적네요?
피카츄백만볼트
18/10/05 14:57
수정 아이콘
진지하게 이건 반대 아닌지. 평균적으로 설탕 소비량이 많을수록 선진국일 확률이 높을것 같은데... 조선시대때 조청이니 엿이니 하는 설탕 대체물이 열심히 나온건 솔직히 설탕을 구하기가 너무나 힘들었기 때문 아닙니까.
18/10/05 15:22
수정 아이콘
입만열면 뻥이네?
18/10/05 15:29
수정 아이콘
저 제목에 동의하진 않지만 설탕이 귀하던 시대는 이전 이야기이고 이젠 미국 내에서도 저소득층일 수록 당 섭취가 많고 비만이라는 게 보편적 인식입니다. 또 우리나라가 단음료나 디저트 소비가 적어서 그렇지 우리나라 음식이 단 건 사실이긴 하죠. 짠맛과 매운맛을 다 설탕으로 중화하니까요.
유념유상
18/10/05 20:08
수정 아이콘
잉.. 반대아닌가..
근대 이전에 단맛을 내는 설탕 꿀은 사치품인데..
닭장군
18/10/05 22:51
수정 아이콘
그으래그래. 앞으로 민주주의 마알고, 공산주의를 하시오.
아 알겠소.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36051 [동물&귀욤] 미녀에게 날아오는 수리.gif [25] 홍승식8747 18/10/08 8747
336050 [기타] 여자들이 좋아하는 패션근육 인증.jpg [56] 김지원21970 18/10/08 21970
336049 [유머] 동조선이 원하는 청년상 [30] swear13522 18/10/08 13522
336048 [게임] [하스스톤] 초능력자 배척하는 블리자드 [11] 삭제됨6727 18/10/08 6727
336047 [유머] 해군이 물개라고 불리는 이유 [8] 길갈10229 18/10/08 10229
336046 [유머] 불호 샌드위치 99% 도전.jpg [69] 자전거도둑11999 18/10/08 11999
336045 [동물&귀욤] 고양이 가족 [8] 차가운밤6623 18/10/08 6623
336044 [유머] 요즘 스타벅스 근황 [77] NoGainNoPain15381 18/10/08 15381
336043 [게임] [히오스] 드디어 시공에 모인 워크래프트3 언데드 식구들. [20] 은하관제7801 18/10/08 7801
336042 [유머] 호불호 갈리는 친환경 햄버거 [17] 길갈15485 18/10/08 15485
336041 [동물&귀욤] 여러분 배 때리면 나오는 소리 [7] 좋아요9284 18/10/08 9284
336040 [기타] gif) 이것도 너프해보시지! [25] 차가운밤11479 18/10/08 11479
336039 [방송] 가정적이란 말은 가부장적이고 여혐입니다. [62] 더 잔인한 개장수15112 18/10/07 15112
336038 [동물&귀욤] gif) 목욕하자 [1] 차가운밤6165 18/10/07 6165
336037 [LOL] 확 바뀌는 2018 LOL 올스타전 [64] SNMA10726 18/10/07 10726
336036 [연예인] 리그 중의 리그 [8] 좋아요9377 18/10/07 9377
336035 [게임] 흔한 도트장인.. [14] 정공법16253 18/10/07 16253
336034 [유머] 70일이면 가능한 일 [12] 길갈13531 18/10/07 13531
336033 [기타] 운전을 왜 저렇게? [11] 절름발이이리12560 18/10/07 12560
336032 [동물&귀욤] 나는 눕는개 좋다. 왜냐하면 눕는개 좋기 때문이다. [4] 홍승식9799 18/10/07 9799
336031 [동물&귀욤] 엄마 품에서 잘래 [10] 차가운밤10622 18/10/07 10622
336030 [서브컬쳐] 결국 잡혀버린 탈모르파티 제작자 [11] 호호아저씨11683 18/10/07 11683
336029 [연예인] 마미손 만들기 [5] 좋아요10589 18/10/07 1058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