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18/09/30 10:21:19
Name WEKIMEKI
File #1 16626a7faee48294d.jpg (145.8 KB), Download : 40
출처 루리웹
Subject [기타] 라면을 좋아한다면 it템


오우야

집에 계량컵 버리고 사러갑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09/30 10:26
수정 아이콘
와 이거 제가 상상하던 물건인데 진짜 있었네요 꼭 사고싶습니다 ㅠㅠ 구매처좀 알려주세요
겟타빔
18/09/30 10:34
수정 아이콘
22222222222222 ㅠㅠ
고기반찬주세요
18/09/30 10:37
수정 아이콘
18/09/30 10:51
수정 아이콘
계량이 필요하다면 매니아라 할 수 없다
쿠키고기
18/09/30 15:45
수정 아이콘
거꾸로 매니아니까 계량 할 것 같은데요.
솔로13년차
18/09/30 10:54
수정 아이콘
라면을 좋아하지만 1개씩만 끓여먹는다면 잇템
monocrom
18/09/30 10:54
수정 아이콘
근데 신라면 요새 싱거워져서 물 많이넣으면 진짜 맛없는데
덴드로븀
18/09/30 11:03
수정 아이콘
그런데 레시피대로하면 싱거워서 저대로 했다간...크크크
18/09/30 11:11
수정 아이콘
수백, 수천, 수억 개의 라면을 끓여봤기 때문에 라면 물의 모든 걸 이해했어요.
카페알파
18/09/30 11:14
수정 아이콘
(수정됨) 주문하러 갑니다. 라면을 끓이는 데 있어서 물의 양 조절은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이라......

...... 근데, 라면 권장 물량이 싱겁게 여겨지시는 분도 있으신가 보네요. 저는 항상 권장량보다 30~50 cc 더 넣는데...... 증발량을 계산해서 (뭐, 솔직히 30cc~50 cc 까지는 안 될 것 같긴 하지만) 조금 더 넣는 편입니다. 그래도 어 하고 정신 놓고 있으면 짜던데......(봉지에 써 있는 레시피에는 항상 '끓는 물 OOO cc 라고 되어 있기 때문에 끓기 전에는 그것보다는 조금 많아야 물량이 맞지 않을까 싶어서요.)

...... 거기다 특히 아래 부분의 '...... 비빌 때 남길 물' 부분이 좋네요. 이거 은근히 어려운데 이제는 물을 적게 남겼나 너무 많이 남긴 거 아닌가 고민하지 않아도 될 것 같습니다.

어쨌든 라면에 있어서 물의 양은 라면의 알파와 오메가 까지는 아니더라도 베타와 오메가, 아무리 적게 잡아도 쎄타와 오메가 까지는 될 정도로 중요하니까요.
monocrom
18/09/30 11:30
수정 아이콘
cc를 계량해서 넣진 않아서 그게 레시피에 맞췄을때 싱거운지는 모르겠는데 같은 물을 넣고 끓였을때 예전보단 싱거워 지긴 했더라구요. 레시피의 물 양은 그대로 인걸로 알고있는데..
아니면 님 댁 가스렌지의 화력이 너무 세셔서 그럴수도..
카페알파
18/09/30 11:34
수정 아이콘
음. 뭐 그럴 수도 있겠습니다. 전에 '라면은 무조건 센 불에 빨리 끓여내는 게 최고다' 라는 말을 어디서 들어서 가능한 한 화력을 강하게 하거든요. 근데, 지금 생각해보니 화력이 강하든 약하든 끓기 시작하는 시간만 다를 뿐이고 끓기 시작하면 어차피 100 도인데, 차이가 없는 것 같기도...... 아, 이거 헷갈리기 시작하는 데요.
monocrom
18/09/30 11:35
수정 아이콘
너무세면 빨리 기화해버리니.. 물은 쫄고 면은 덜 익는 경우가 생기더라구요.
카페알파
18/09/30 11:40
수정 아이콘
저도 처음부터 cc 를 잰 건 아닙니다. 우연한 기회에 집에 있는 유리컵 중 하나가 300 cc 라는 걸 알았고, 또 우연찮게 거기에 200 cc 우유를 부어서 마셨는데, 200 cc 가 컵에 새겨진 무늬상 아주 알기 쉬운 지점이더군요. 해서 300 cc 랑 200 cc 를 잴 수 있게 되니 어떻게든 물 양은 비슷하게 맞출 수 있게 되었습니다.(실은 전에 350 cc 랑 200 cc 맞출 수 있는 컵도 있었는데, 어느 날 어디론가 사라졌습니다.) 제 와이프느님께는 가르쳐 주지 않았는데, 그걸 모르는 와이프느님은 제가 끓인 라면은 맛이 일정하다고 합니다...... 만, 그래서 맨날 저보고 라면 끓여 달라고 합니다.(이쯤 되니 모르는 척(!) 하는 거 아닌가 하는 생각도......)
서쪽으로가자
18/09/30 11:38
수정 아이콘
면을 넣었을 때 순간적으로 온도가 낮아지는데, 다시 100도로 만드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긴하죠.
그래서 파스타 끓이는거처럼 어짜피 물 버리는 것들도 물을 많이 넣어서 (열용량을 높여서)
낮아지는 온도를 최소화하기도 하고요.
카페알파
18/09/30 11:43
수정 아이콘
음, 그럴 수도 있겠네요. 이거 왠지 복잡해지는데요. 라면 하나 끓이는 데도 이런저런 이론이 적용되어야 할 수도.......

...... 근데, 개인적으로는 라면이 맛있게 끓이고 맛있게 먹는 것이 은근히 어려운 요리 같기도 합니다. 맛있게 먹으려면 먹는 타이밍도 잘 맞춰야 하니......
테크닉파워존
18/09/30 14:18
수정 아이콘
뚜껑을 덮고 끓여보세요~
요플레마싯어
18/09/30 11:15
수정 아이콘
작은 냄비기준으로 면이 물이 잠길랑말랑할 때가 저에겐 베스트입니다
La La Land
18/09/30 11:29
수정 아이콘
갯수가 늘면 물을 줄여야해요
그냥 배수로 때려박으면 싱거워짐

가정용 화력에서는
18/09/30 11:56
수정 아이콘
소싯적에 이걸 몰라서 옆 하숙집 형들한테 맨날 구박받았습니다 ㅜㅜ
곤살로문과인
18/09/30 12:14
수정 아이콘
전 권장량에 100cc정도 더넣는데
엄마꼐 맨날 한강물 만든다고 투정부렸는데 어느새 제가 그렇게 끓이고 있...
정지연
18/09/30 12:15
수정 아이콘
저게 진짜 유용하게 쓰일려면 중간중간에 50ml 나 100ml 단위로도 눈금을 넣어야 합니다.. 라면을 2개 이상 끓일때 무조건 배수하는게 아니라 뒷면에 적힌 정량대로 넣어야 하는데(2개면 900cc 이런식으로..) 저렇게만 해두면 규격을 벗어난 물양을 재기가 어렵습니다..
파라돌
18/09/30 12:23
수정 아이콘
전 소맥용으로
다레니안
18/09/30 12:56
수정 아이콘
라면은 물조절이 8할은 먹고 들어가죠. 크크
미카엘
18/09/30 13:22
수정 아이콘
저는 권장량에 50ml씩 빼고 끓입니다.
18/10/01 20:58
수정 아이콘
저도요. 덧붙여 30초 적게 끓입니다.
미카엘
18/10/01 21:05
수정 아이콘
이 분 배우신 분..!!
18/09/30 14:14
수정 아이콘
그냥 보수적으로 물양잡고 끓이면 되죠
전기포트에 물 추가로 미리 끓이고
18/09/30 14:20
수정 아이콘
싱거움
정공법
18/09/30 16:43
수정 아이콘
라면 드시는 분들은 다들 자기만에 물양 끓이는시간이 있죠
1q2w3e4r!
18/09/30 19:09
수정 아이콘
정수기에 용량선택하고 클릭..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35624 [기타] 피지알에서의 일본 [7] 삭제됨7055 18/10/02 7055
335623 [기타] 미국인들이 가장 많이 쓴다는 500개의 문장들.jpg [6] 김치찌개6797 18/10/02 6797
335622 [기타] 독자들이 뽑은 최고의 소설 도입부 TOP 10 [39] 김치찌개8898 18/10/02 8898
335621 [기타] 운전 중 신호대기시, 기어는 어디에 놓아야할까?.jpg [23] 김치찌개6459 18/10/02 6459
335620 [유머] 한국에서 만든 현대건물 베스트&워스트 20.jpg [60] 김치찌개7913 18/10/02 7913
335619 [유머] 시계갤러리 선정 전세계 시계 브랜드 순위.jpg [18] 김치찌개7356 18/10/02 7356
335617 [동물&귀욤] 어서옵쇼 [3] swear3857 18/10/02 3857
335616 [유머] 911 직후 미국 상황 [32] 길갈10425 18/10/01 10425
335615 [LOL] 역전승한 팀 감독님 [17] 카발리에로7099 18/10/01 7099
335614 [유머] 유튜브에 자주 나오는 미국 판사님 [13] Croove7026 18/10/01 7026
335613 [LOL] 오늘 롤드컵 개막 세레모니 (트위치 클립) [8] 은하6737 18/10/01 6737
335612 [LOL] 알리스타 하향 안되는 이유.jpg [6] 푸른음속6902 18/10/01 6902
335611 [기타] 심영 합성물의 신기원 [12] Lord Be Goja7054 18/10/01 7054
335610 [기타] 누나의 생일상 [2] 더 잔인한 개장수6821 18/10/01 6821
335609 [기타] 중국의 특허수가 압도적으로 많아, [7] Lord Be Goja7994 18/10/01 7994
335608 [서브컬쳐] 스페셜 포켓몬 [7] 좋아요5294 18/10/01 5294
335607 [LOL] ??? : 아빠 우리나라가 진거야? [5] 아지르7096 18/10/01 7096
335605 [동물&귀욤] 3초 안에 뱀을 못 찾으시면 당신은 죽습니다.jpg [30] 홍승식8114 18/10/01 8114
335604 [동물&귀욤] 게이동영상 [6] Madjulia6444 18/10/01 6444
335603 [유머] 추억에 논스톱 동창회 [15] 미스포츈8028 18/10/01 8028
335602 [동물&귀욤] 데려가주세요... [6] 차가운밤5423 18/10/01 5423
335601 [유머] 인싸 특징 [4] 좋아요7177 18/10/01 7177
335600 [기타] 몇 치킨 가능? [7] 좋아요6390 18/10/01 639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