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18/09/17 23:05:51
Name 다크템플러
출처 레딧
Subject [LOL] 레딧유저들이 뽑는 2018 롤드컵 파워랭킹
Worlds Power Ranking
1.8 RNG
2.1 KT
3.9 GenG
4.9 AF
5.2 IG
5.8 FNC
7.1 FW
8.3 TL
9.1 EDG
10.7 C9
10.9 VIT
10.9 G2
13.0 100T
13.5 Vietnam 1st seed
13.7 MAD
15.6 LMS 3rd seed
16.4 Wildcard

앞의 숫자는 아마 평균 등수인듯합니다.
레딧 분위기는 이 투표도 그렇고 대체로 [그래도 아직은 LCK>LPL>>서양, 그러나 RNG는 강하다.]인것 같더라구요.

세부적인 의견은 다 다르실테고 저도 동의하지않지만 아마 최상위권을 제외하면 큰 추세는 비슷비슷하지않을까싶네요.

투표 - http://www.polljunkie.com/poll/krbqad/worlds-power-ranking
결과 - http://www.polljunkie.com/poll/fdixke/worlds-power-ranking/view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빛날배
18/09/17 23:10
수정 아이콘
딴건 몰라도 올해 rng가 롤드컵을 먹던 안먹던 한해 성적기준으로 신기록은 rng가 갱신했죠
18/09/17 23:11
수정 아이콘
그렇게 보긴 어렵죠. 롤드컵이 워낙 가중치가 큰 대회라. 축구도 유로컵 챔스 다 우승해도 월드컵에서 성적 못내면 평가 곤두박질 치죠.
18/09/17 23:15
수정 아이콘
가능성의 이야기지만 rng가 롤드컵 광탈하고 한한결승하면 롤갤 같은데서는 순식간에 rng xx팀 되고 lpl 2부리그 취급할 겁니다.
파이리
18/09/17 23:18
수정 아이콘
작년 젠지>>>>>>>>skt 생각하면 결국 롤드컵 먹는게 장땡인지라..
카바라스
18/09/17 23:20
수정 아이콘
17슼이 스프링우승,msi우승,서머준우승,롤드컵준우승했는데 받는평가보면 딱히..
집에서나오지맙시다
18/09/17 23:27
수정 아이콘
전혀요...
18/09/17 23:31
수정 아이콘
롤드컵이 전부입니다. 최소 70퍼
18/09/17 23:36
수정 아이콘
상징성 빼놓고 그냥 선별의 측면만 봐도 전세계 탑급 팀들 모아서 큰 상금 걸고 치루는 대회는 1년에 MSI, 롤드컵 둘 뿐이고 소집 팀수는 롤드컵이 MSI의 4배에 총 상금 차이도 꽤 납니다. 일단 롤드컵 못먹으면 15슼 보다는 확실히 못한거고, 타 년도 롤드컵 우승팀보다 확실히 나은건지도 잘 모르겠네요.
피카츄백만볼트
18/09/17 23:37
수정 아이콘
중국팬도 이렇게는 생각 안할겁니다. 17슼 보면 답 나오는 이야기. lck 우승 msi 우승 등 모든 우승은 롤드컵 우승이 있을때 그 트로피를 치장해주는거나 다름없는데 정작 가장 메인인 롤드컵 우승이 없으면 고기없는 쌈장에 불과합니다.
아저게안죽네
18/09/17 23:44
수정 아이콘
롤드컵은 축구로 치면 리그+챔스 수준의 위상이라 못 먹으면 무리죠.
18/09/18 00:00
수정 아이콘
롤계의 롤드컵은 패션에서의 얼굴 같은 거랄까. 패션의 완성이 얼굴은 아니지만 또 그만한게 없다고 생각해요.
빛날배
18/09/18 08:01
수정 아이콘
전 아겜 내준순간부터 원탑이다 생각합니다...
18/09/18 10:00
수정 아이콘
저도 LPL 이 현시점에 위인건 인정해야 할 때가 온 건 아닌가 싶습니다만, 아겜은 RNG 혼자 든게 아니죠. 롤드컵이 가장 중요합니다.
티모대위
18/09/18 11:56
수정 아이콘
아겜에서 RNG 4명과 경기한 상대는 클럽팀이 아니라 여러 팀에서 모은 선수들이죠.
18/09/17 23:10
수정 아이콘
EDG가 프나틱과 팀리퀴드 아래인게 눈에 뜨네요. LPL 3시드가 저는 더 셀거라고 보는데..
MystericWonder
18/09/17 23:12
수정 아이콘
EDG는 사실상 올시즌 킹존 국제대회 성적을 롤드컵에서 4시즌 연속으로 저질렀다고 봐야 돼서...
18/09/17 23:13
수정 아이콘
하긴 그렇지요 EDG가 롤드컵만 가면 유독 죽쓰긴 했으니..
다크템플러
18/09/17 23:13
수정 아이콘
EDG가 그동안 워낙 죽쑨점
선발전직전까지 영 힘을 못쓴점
프나틱과 리퀴드, 특히 프나틱이 꽤나 기대받고있다는점에서 나온결과인듯합니다.
만약 JDG나 RW가 나왔다면 달라졌을지도
18/09/17 23:14
수정 아이콘
하긴 프나틱이 워낙 도깨비 팀이고 전대회 8강팀이니 그룹스테이지 광탈 EDG보다는 평가가 높은게 당연할지도요.
정은비
18/09/17 23:20
수정 아이콘
섬머 막판 edg경기력 생각해보면 c9보다 못하다고 후려쳐도 할말없죠
18/09/17 23:23
수정 아이콘
하긴 EDG도 "SKT"할 뻔 하다가 간신히 살아나서 롤드컵 온거니 그럴만 하겠네요.
18/09/17 23:49
수정 아이콘
레딧이 영어를 사용하는 커뮤니티인 것도 감안 해야겠죠.
Liberalist
18/09/17 23:11
수정 아이콘
큰 줄기는 저도 동의합니다. RNG가 어나더레벨이기는 한데, IG와 EDG는 LCK 팀 상대로 그리 인상적인 모습을 보여주지 못했고, 오히려 굳이 따지자면 열세에 가까웠으니 뭐...
18/09/17 23:11
수정 아이콘
많은 현지 북미팬들이 제발 100thieves는 롤드컵 안나갔으면 좋겠다 하면서 직행 확정됐을때 절규했다더니 여지없네요....
저격수
18/09/17 23:13
수정 아이콘
각 지역마다 킹존이 하나씩 있네요 크크
18/09/17 23:16
수정 아이콘
근데 솔직히 100도둑 빼고 나갈 팀이 NA에 있냐고 물으면 딱히 떠오르는 팀도 없는...
끽해야 TSM인데 그게 뭔 차이가 있나 싶은 -_-;;;

그리고 전 의외로 이팀이 롤드컵에서는 리퀴드보다 나을 수도 있다고 봐서.
확률은 매우 낮지만(거의 썸데이 고통으로 수렴....) 긁혔을때의 기대치가 높은 느낌이랄까요
18/09/17 23:21
수정 아이콘
차라리 tsm보다 100도둑이 나을겁니다..
지금 tsm봇라인 진짜 역적그이상수준이라..
파핀폐인
18/09/18 07:41
수정 아이콘
진짜 유체봇이 어쩌다 저지경까지.....
18/09/17 23:31
수정 아이콘
듣고보니 또 공감되네요.
18/09/17 23:15
수정 아이콘
웬만하면 외국팀 순위 가지고 뭔 말이 나오기 마련인데...

올해만큼은 RNG 1위엔 뭐라 말 할 수가 없네요.
18/09/17 23:16
수정 아이콘
오히려 아프리카가 고평가고 IG가 저평가가 아닌가 싶은 생각이 들정도로...
그런데 정말 젠지가 갑작스레 경기력이 확 올라와서 모르겠네요. 솔직히 SKT랑 할때만 해도 젠지가 선발전이나 뚫겠나 했는데 앰비션+짜오픽 땜에 셀프억제기 당한 경기력이었는지 그리핀이랑 킹존전 경기력이 너무 좋아서...
내일은해가뜬다
18/09/17 23:19
수정 아이콘
저는 FW도 변수로 보고 있습니다. 한국-중국팀 포함해도 우승확률 최소 5위는 될거 같아요
18/09/17 23:20
수정 아이콘
점늑도 이상하게 롤드컵에서는 힘을 못쓴다는 징크스가 있긴 하죠..
내일은해가뜬다
18/09/17 23:25
수정 아이콘
그런데 올해 msi, 리라에서의 모습을 보면 단판전은 강하다고 봅니다. 결국 다전제가 문제지만, 조1위로 8강 간다면 의외의 돌풍이 될거라고 봐요
18/09/17 23:28
수정 아이콘
점늑이 MSI에서는 잘하는데 롤드컵만 오면 죽쓰는게 꽤 오래된 징크스라..
솔로13년차
18/09/18 09:43
수정 아이콘
전 징크스가 아니라 딱 그 정도 실력이라고 봐요.
MSI야 한국팀 중국팀에 밀려도 유럽이랑 3,4위 싸움하는 거지만,
롤드컵에선 한국팀 중국팀의 제일 성적 안좋은 팀들이랑 유럽, 북미의 성적 제일 좋은 팀들하고 순위싸움하면 8강이고, 운나쁘면 16강이죠.
아저게안죽네
18/09/17 23:48
수정 아이콘
자국리그에서 하도 학살만 하다 보니 단판으로 찍어누르는 패턴은 위협적이지만
밴픽 심리전이 치열한 다전제에서는 상대적으로 약한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코우사카 호노카
18/09/17 23:23
수정 아이콘
가을에 물오른 젠지보단 아프리카가 걱정되는데 순위는 잘 받았군요
파이리
18/09/17 23:24
수정 아이콘
플옵때 생각보다 잘해서 쪼끔 기대하고이씀 헤헿
18/09/17 23:34
수정 아이콘
(수정됨) 아프리카는 사실 2018년에 스프링 1라2라 섬머1라2라 각각 포시 장기적으로 제일 꾸준히 잘한 팀중 하나였죠. 코치진 밴픽이 리라5차전부터 맛이가고 섬머2라즈음에 그 영향으로 선수들 폼까지 잠시 하락해서 그렇지... KT(8-7)나 젠지(8-4) 상대로 18년 상대전적 앞서고 있는 팀이기도 하구요. 물론 리라의 kt나 롤드컵의 젠지 대비해서 생각하면 걱정하는 분들이 많은건 충분히 수긍이 갑니다.
피카츄백만볼트
18/09/17 23:43
수정 아이콘
롤판이라는게 아무래도 장기적으로 꾸준히 잘하는것보다 한두달 평소보다 훨씬 잘하는 능력이 향후 평가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긴 하더군요. 스프링 서머 5등 두번했는데 18 세체팀의 기회를 얻은 젠지가 그 산 증인. 아프리카도 결국 한두달 미쳐날뛰어줘야 평가가 많이 좋아질것 같네요.
18/09/17 23:4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제 댓글은 엄밀히 말하자면 아프리카 이정도로 잘하는데 왜 평가가 안좋냐는 글이 아니고, 평가를 생각보다 잘 받은거같다는 윗분 댓에 대한 개인적인 추측 및 제언글에 가깝다고 보시면 될거같습니다.
피카츄백만볼트
18/09/17 23:49
수정 아이콘
아 전 레딧 평가에 비해 한국 평가가 왜 안좋을까 이런 이야긴줄 착각했네요.
bemanner
18/09/17 23:24
수정 아이콘
TL 떡상 가즈아~~ 더블리프트 올해는 다르다!
18/09/17 23:26
수정 아이콘
롤드컵에서 항상 강력했던 젠지와 C9
롤드컵에서 항상 말아먹은 EDG의 기록이 반영된 느낌이고..


전체적인 평은 RNG가 세계 최고다.
(사실 이걸 반박할 수 있는 사람이 없긴 합니다.. 못먹은 대회가 하나라도 있어야...)

하지만 RNG를 제외하면 LCK가 그래도 더 강하다.. 정도에.. 북미나 유럽이나 1시드팀 빼곤 별로 안믿는다는것도 같이 보이는..
정은비
18/09/17 23:27
수정 아이콘
올해는 강퀴부터 시작해서 예상을 유럽중 프나틱은 기대할만함(특히 캡스), 북미는 완전 나가리(...)로 보던데 그대로될지...
18/09/17 23:28
수정 아이콘
전 그럭저럭 공감되네요. 각 리그와 각 팀의 역대 롤드컵 성적, 거기에 현재 폼이 적절하게 잘 짬뽕된듯.
FW는 국제대회 다전제만 오면 신기할 정도로 너무너무 약하다 보니...
18/09/17 23:31
수정 아이콘
정확히는 그래도 MSI에서는 어느정도 하는데.. 롤드컵만 오면 죽을 쓴다고 해야할까요.. 롤드컵 다전제를 한번도 통과 못했으니
레몬커피
18/09/17 23:29
수정 아이콘
1~5위 동감가네요
RNG>KT>AF,GEN>=IG정도로 봅니다
그 아래를 뽑아보자면 일단 북미는 다 내리고....프나틱 FW정도
이호철
18/09/17 23:35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론 RNG > KT > GEN IG AF > FW 나머지 라고 봅니다.
18/09/17 23:36
수정 아이콘
저는 rng 정확히는 우지에 대해 좀 더 세분화해서 봅니다. 다전제와 국제경기에서의 우지는 물론 최고였습니다만 카이사픽과 다른 원딜 픽과의 갭이 상당히 커보였습니다. 다른 원딜을 못했다는 것이 아니라 다른 원딜 플레이 또한 최고로 뽑아도 문제없지만 카이사는 그걸 뛰어 넘는 말 그대로 어나더 레벨로 보였거든요.
그래서 그런지 이번 ig와의 결승 때 카이사를 고르지 못한 마지막 3판은 루키와 더샤이의 캐리력에 오히려 명확하게 밀리는 모습을 보였죠.
정리하자면 카이사 고른 rng >>kt >= rng로 봅니다.
18/09/18 00:58
수정 아이콘
두명씩이나 우지보다 잘했으면 IG가 우승을 했겠죠
18/09/18 10:51
수정 아이콘
(수정됨) 카이사 못하기 시작한 3, 4경기는 우지보다 잘했습니다만???그리고 5경기도 딱히 우지캐리라고 할 수 없고요. 오히려 아이지가 스스로 내다버렸죠
18/09/18 12:03
수정 아이콘
(수정됨) 스스로 내다버렸다하려면 IG가 계속 유리하던지 했었어야죠
IG가 한타로 따라가긴 했지만 계속 붙어봐야 안다 였지 90%이상 이긴게임 내다버린 정도는 아니었습니다
재키러브가 욕먹는건 엄대엄으로 붙어볼 기회를 본인손으로 날려버려서 그런거구요

그리고 최종스코어가 우지 9/1/11 이고
더샤이 3/7/3에 루키 1/4/10인데
우지가 RNG에서 최고 캐리 아니라 쳐도 더샤이 루키보단 그게임에서 잘한것같네요
18/09/18 12:16
수정 아이콘
그렇게 비교하셔봤자 제얘기가 맞다는 이야기 밖에 안돼요. 카이사 잡은 1,2경기랑 나머지 경기는 캐리력 자체가 비교가 안되거든요. 34경기는 캐리는 커녕 암것도 못했고 그나마 5경기 받아먹고 kda높았지만 캐리라고 하기엔 12경기 비교해서 우습죠. 제가 다른 원딜은 못한다 한 것도 아니고 다만 명백히 카이사 할 때 어나더 레벨이고 카이사 아닐때 그 수준은 아니라는건데 왜 따지시는지? 카이사 어나더 레벨은 다 인정하는 얘기구만
18/09/18 13:07
수정 아이콘
우지가 그렇게 된건 인게임 플레이의 문제지 챔피언의 문제가 아니기때문이죠
말하고싶은건 알겠습니다만 카이사 밴만 하면 KT >= RNG 가 맞았으면 여기 댓글 분위기도 이렇지 않았겠죠

그리고 루키보다 못했다 했으면 아무말도 안했을겁니다. 전체적으로 플러스마이너스 따지면 마이너스가 확실한 더샤이가 문제죠
18/09/18 13:39
수정 아이콘
당연히 인게임도 문제죠. 우지가 카이사를 고르지 못해서 12경기 같은 활약을 못했으니까요. 하지만 인게임만의 문제라고 치부할 수 없습니다. 상대가 카이사를 못고르게 했으니까요. 밴픽은 괜히 합니까? 두 번 줘터지고 그담부터 카이사 무조건 견제했죠. 그건 그만큼 우지의 카이사가 무섭다는 것과 동시에 다른 원딜챔은 할만 하다는 뜻입니다. 실제로 카이사 밴 후에 우지 원맨캐리 나오는 판은 사라지고 오히려 두판 따냈죠. 막판도 12경기 같은 양상 전혀 아니었구요. 님말이 맞으려면 적어도 한 판은 다른 챔으로도 카이사만큼의 위용을 반이라도 보여줬어야죠. 그렇다고 제가 다른챔을 못했다고 한적도 없고 다른 챔들도 세계최고수준으로 다룬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카이사 픽한 우지와 다른 챔프를 픽한 우지는 퍼포먼스에서 차이 많이 난 건 팩트입니다. 그만큼 34판은 루키보다 못한거 맞았고요.
그리고 여기 제 댓글 문제삼는건 님 하난데 무슨 분위기 운운합니까? 크트가 카이사 못고른 알엔지보다 강하다고 생각하는게 뭐가 문젠지도 모르겠고요. 그냥 님이 문제삼는겁니다.
쿼터파운더치즈
18/09/17 23:40
수정 아이콘
저는 rng가 제일 위고, 그다음이 KT 젠지 IG, 그다음이 점늑 아프리카 프나틱 같네요 개인적으론 아프리카가 최근 15~18시즌 진출한 롤드컵 한국팀 중에서 리스크가 제일 높은 팀이라고 생각합니다 해외전 경험 거의 없고, 다전제 승률 높지않고, 밴픽이 좋은 편도 아니고, 최근 정글서폿 시대에 주전 정글 서포터의 고점과 저점차이가 제일 심하거든요
다레니안
18/09/18 00:04
수정 아이콘
왠지 RNG나 KT 두 팀 중 한 팀이 2위 찍고 8강에서 만날 느낌도 드네요. 크크
18/09/18 01:03
수정 아이콘
RNG IG KT까지는 우승해도 놀라지 않을듯
18/09/18 01:35
수정 아이콘
저는 RNG = IG = KT 봅니다 그 바로 아래가 젠지인데 젠지도 종이 한장차이라고 봄
18/09/18 02:31
수정 아이콘
전 젠지 가을 기준이면 한국 세 팀도 다 비등비등하다고 생각해서 중국의 RNG IG, KT AFS GENG 다섯팀 중 누구든 우승 가능한 거 같습니다.
그리고 롤드컵은 축구의 챔스 그 이상의 위상이라서 역대를 논하려면 무조건 먹어둬야죠
신공표
18/09/18 05:02
수정 아이콘
(수정됨) 개인적으로, AFS는 주사위에 따라 RNG한테도 이길 수 있는 팀이지만, 서양팀한테 질 수도 있는 팀이라고 생각합니다.

플옵 이전 경기력은 좀 아쉬웠는데 플옵 때는 스피릿을 필두로 다들 괜찮았던 거 같은데 바텀이 살짝 걱정되네요.

투신이 잘될 때는 밍 부럽지 않은데, 안될 때는 많이 헤매고 크레이머는 거의 평균 이상 해주지만

요즘 정상급 원딜들에 비해서는 무게감이 좀 떨어지는 느낌이라.

KT는 스맵과 데프트가 제일 중요할 거 같아요. 스맵은 기복을 타고 데프트는 거의 항상 불안합니다. 나머지는 기복 없이 기량이 안정화 된 느낌.

젠지는 선발전 이전에는 롤드컵을 노려보기엔 좀 역부족이지 않나 싶었는데, 참 신기해요.

크라운은 쪼끔 밀리는 듯 하면서도 취권 비슷하게 다 흘려내면서 결국 상대를 지워버리고 하루는 원래 잘했던 초반에다 후반 안정성까지 갖춘 듯 합니다.

큐베 코장은 이미 폼이 많이 올라온 거 같고, 룰러도 올라오고 있는 중인 거 같구요.



결국엔 이번에도 대 RNG전을 제외하고는, 해외팀 상대로 좋은 성적을 거둘 것 같습니다.

RNG 한테는 많이 두드려 맞은 만큼 연구 많이해서 설욕 해줬으면 합니다.
파핀폐인
18/09/18 07:49
수정 아이콘
크라운은 진짜 재밌는게 스탯, 최근 폼만 보면 그냥 지는게 당연하거든요? 근데 진짜 희한하게 흘려내고 심지어 이겨요. 완전 미스테리
피지알중재위원장
18/09/18 13:00
수정 아이콘
데프트는 그래도 섬머 2라운드부터 굉장히 안정적으로 변하긴 했죠.
초반에 때려잡는건 좀 덜해지긴 했지만요.
18/09/18 13:19
수정 아이콘
결승전 전이었으면 누구나 동의하는 말이었겠지만
결승전때문에 다시 스멥 데프트가 예전 이미지로 돌아온거같아요
티모대위
18/09/18 07:42
수정 아이콘
점늑보다 프나틱이 높은건 재밌지만, 사실 점늑이 조별리그 포스랑 올해 좀더 강해보여서 그렇지 그간 롤드컵에서는 점늑보다 유럽팀들이 성적을 더 잘 냈으니..
반니스텔루이
18/09/18 10:17
수정 아이콘
팀명 옆에 숫자는 뭔가요? 평균 순위라기엔 kt가 1이고, rng가 8이라;
중복알리미
18/09/18 10:30
수정 아이콘
1.8 과 2.1 입니다. 소수점
반니스텔루이
18/09/18 17:44
수정 아이콘
아 1위 8등 이런식으로 봤는데
1.8이라니..
18/09/18 10:31
수정 아이콘
잘못 보신 거 같은데 RNG는 1.8등이고 KT는 2.1등...평균으로요
18/09/18 10:44
수정 아이콘
KT, RNG, IG는 붙어봐야 알것 같은 느낌
KT, AFS, GEN 도 붙어봐야 알것 같은 느낌

근데 AFS, GEN, RNG, IG는 LPL팀들쪽으로 무게감이 쏠리네요

그러니 KT 무엇? 진정 부등호 파괴자
치토스
18/09/18 17:49
수정 아이콘
젠지팬분들껜 죄송하지만 젠지 팀 특성상 RNG나 IG 만나면 다전제에서 못 이길것 같아요. 아프리카는 IG랑은 반반 RNG한텐 약열세 KT는 다 해볼만 하다고 생각 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46721 [LOL] 당신의 소녀에게 투표하세요!! [25] 카바라스7074 19/03/02 7074
336037 [LOL] 확 바뀌는 2018 LOL 올스타전 [64] SNMA10238 18/10/07 10238
334934 [LOL] 역대 롤드컵에서의 가장 상징적인 플레이들 (@lolesports) [39] 비역슨10179 18/09/20 10179
334786 [LOL] 레딧유저들이 뽑는 2018 롤드컵 파워랭킹 [73] 다크템플러9633 18/09/17 9633
333945 [LOL] AI모드 강제캐리 [24] 스테비아9392 18/09/05 9392
328031 [LOL] 미드 잘하는 것 같은데 제발 미드 오더 좀 들어요!!! [6] 은하8505 18/05/27 8505
327727 [LOL] 구삼성의 중국 커리어 [17] Leeka8833 18/05/21 8833
317704 [LOL] 분노한 페이커의 인터뷰 [6] Leeka10017 17/12/09 10017
317424 [LOL] (스압) 2017 롤갤 어워드.공정 [32] 아지메9335 17/12/04 9335
315819 [LOL] 스매부의 올스타 투표 [10] 반니스텔루이8651 17/11/08 8651
315779 [LOL] 엠비션의 소원 성취는 가능할 것인가.. [12] 반니스텔루이8015 17/11/08 8015
315777 [LOL] 중국 LPL 올스타 투표 근황 [15] 반니스텔루이8638 17/11/08 8638
311516 [LOL] 스포티비 중계진 투표의 결말은? [12] 아리온6935 17/08/26 6935
311498 [LOL] 그그실 [6] 길갈6103 17/08/26 6103
311497 [LOL] 아직 아무것도 결정되지 않았다 [5] 아리온6101 17/08/26 6101
309389 [LOL] 13한국 올스타 하이라이트 [13] 승률대폭상승!6673 17/07/20 6673
307053 [LOL] 프로듀스 LOL 현재 투표 상황.jpg [16] 소리벗고팬티질러7593 17/06/08 7593
307044 [LOL] 프로듀스 LoL : 투표 시작! [17] kimbilly9005 17/06/08 9005
307005 [LOL] 프로듀스 LoL : 당신의 소년에게 투표하세요! [29] kimbilly11268 17/06/07 11268
295280 [LOL] 이 시각 스피릿 개인방송.jpg [9] cannot11209 16/11/05 11209
295203 [LOL] 올스타전 투표 현황.txt [19] Vesta6174 16/11/04 6174
295106 [LOL] 롤스타전 투표 팬덤 정치판 판세.txt [30] Vesta7522 16/11/02 7522
295094 [LOL] 현재 LCK 올스타전 투표 상황.txt [46] 카발리에로8026 16/11/02 802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