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18/09/13 23:04:03
Name 낭천
출처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cartoon&no=417225&page=11&recommend=1
Subject [기타] 칭기즈칸이 몽골 통일하는 만화.jpg
HIcIfg9.jpg
BxVynJO.jpg
GwhFGZV.jpg
HdTnMwh.jpg
rWTsE9z.jpg
zha149m.jpg



그림체 귀엽네요 크크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지나가다...
18/09/13 23:11
수정 아이콘
이거 보니 어렸을 때 티비에서 봤던 칭기즈칸 영화가 생각나네요. 기억나는 건 금나라 갔을 때 대포가 나왔던 것하고 (아마도)쟈무카가 잘생겼던 것 뿐이지만..
사의찬미
18/09/13 23:11
수정 아이콘
예전 살인자응난감 그리신 작가님과 비슷하네용 케릭터가 흐흐
이쥴레이
18/09/14 00:28
수정 아이콘
그러네요. 이 캐릭 어디서 봤지 했더니....
한량기질
18/09/13 23:12
수정 아이콘
와 진짜 상상 이상으로 힘들게 통일했군요.
카바라스
18/09/13 23:4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칭기즈칸이 몽골통일할때 이미 40대였고 자무카보다 테무진에게 더 잘싸운 상대도 없었죠. 실제로 탈탈 털리다 막판 뒤집기 한방으로 대역전
18/09/14 09:32
수정 아이콘
흡사 초한지의 유방을 보는 것 같군요.
이디어트
18/09/13 23:12
수정 아이콘
검볼앤던전 생각나네요
재밋었는데 해킹프로그램 이후로 거들떠도 안보게된 갓겜ㅠ
18/09/13 23:15
수정 아이콘
재밌네요 크크
오우거
18/09/13 23:16
수정 아이콘
맏아들 주치 얘기는 안하고 넘어가는군요.

사실 이게 제일 흥미진진 했는데 흐흐
멍청이
18/09/13 23:20
수정 아이콘
어, 중간 단계는 몰랐어요. 금나라에 갔었군요.
봄바람은살랑살랑
18/09/13 23:21
수정 아이콘
다음 웹툰에서 징키스칸 일대기 그린 웹툰 봤던 기억나네요. 진짜 망하고 또 망하고의 연속이라 보면서도 이게 진짜인가 싶었는데
꼬깔콘
18/09/13 23:21
수정 아이콘
길고 긴 역사 중에 하필 저 시기에만 몽골이 대제국을 이룰 수 있었던 이유는 뭔지 궁금하네요.
멍청이
18/09/13 23:2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일단 고원의 유목민들이 통일 정권을 세워 힘을 모으기 힘들어요. 내용에도 있는데, 쟈무카가 힘을 얻으니 중원의 금나라가 테무친을 골랐던 것처럼 반대쪽에 힘을 실어 중원 국가들이 계속 유목민들을 견제해요.

그리고 통일 왕조가 몽골만 있었던 것도 아니에요. 어떤 사정으로 중원이 흔들릴 때 유목민들이 통일 정권을 세우고 중원을 침탈한 역사도 많아요.

몽골이 유달리 강역을 넓히긴 했는데 다른 유목 제국들도 무시할 정도는 아니었어요. 흉노도 있고 돌궐도 있고 위구르도 있어요. 중원 국가들과 거하게 경쟁했던 유목 제국들이에요. 또 유목민이라기엔 약간 애매하지만 청나라 같은 경우도 있어요. 청은 내실을 따지면 몽골 제국보다 훨씬 높은 평가를 받지 않을까요.
꼬깔콘
18/09/13 23:30
수정 아이콘
오 그렇군요. 감사합니다 크
꺄르르뭥미
18/09/14 02:29
수정 아이콘
유목과 농경의 경제 체제 차이에서 오는 배신을 했을 때의 기대 수익이 크게 다른가요? 어떻게 저렇게 통수를 많이 맞을 수 있지...
삼국지도 유비가 계속 지다가 막판에 이기는 스토리인데, 다 커서 생각해보니 삼국지는 솔직히 유비가 통수를 치는 입장인데, 징기즈칸은 정말 통수를 수없이 맞고 다시 일어서는군요... 대단....
잉크부스
18/09/14 02:44
수정 아이콘
어서 보기로는 정주민족과 유목민족의 차이라고 들었어요
가진게 동산이냐 부동산이냐의 차이죠
지니팅커벨여행
18/09/14 10:03
수정 아이콘
역시 예나 지금이나 부동산 불패 신화!!
찬양자
18/09/14 05:20
수정 아이콘
예전부터 이쪽 역사에 대해서 흥미가 있었는데 글이 올라온김에 관련된 만화나 소설같은거 있으면 추천하나 부탁드립니다!
짱짱걸제시카
18/09/14 07:04
수정 아이콘
말에서 내리지않는 무사?
18/09/14 07:30
수정 아이콘
항상 느끼는거지만 칭기즈칸 스토리는 한편의 영화같습니다.
헐리우드 영화로 제작되도 대박날 스토리지만
배우를 전부 헐리우드에 마이너인 동양인으로 써야해서
쉽지 않아보이네요.
18/09/14 08:32
수정 아이콘
북유럽 신화의 [가장 창백한 신] 헤임달을 흑인이 연기하는 시댄데, 까짓거 금발벽안 백인이 테무진이 된다한들...
문제가 크겠죠 아마
솔로13년차
18/09/14 08:54
수정 아이콘
칭기즈칸의 스토리를 기반으로해서 컨버전하면 됩니다.
아가씨나 스캔들처럼요.
영화 말미나 뒷이야기 같은 것으로 이야기의 원전은 징키즈칸의 이야기를 모티브로 했다고 하면 되는거죠.
즐겁게삽시다
18/09/14 09:09
수정 아이콘
칭기즈칸 아버지 이름이 예수게이 였구나....
낙타샘
18/09/14 10:32
수정 아이콘
움찔하네요
마음속의빛
18/09/14 10:43
수정 아이콘
조조전 모드 중에 징기스칸 모드가 정말 잘 만들어져서 그걸로 역사를 배운 기억이 나네요.
유럽 정복까지 나오기 때문에 스케일이 어마어마...
늘지금처럼
18/09/14 14:40
수정 아이콘
저도 그거 엄청 재미있게 했었습니다 스케일 장난 아니었죠 ~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34816 [LOL] 페이커 인기.gif [25] 삭제됨15003 18/09/18 15003
334815 [LOL] 샤이와 메라가 말하는 롤파크 방음피셜 [21] Leeka8514 18/09/18 8514
334814 [동물&귀욤] 흔하디흔한 냥펀치 인데.gif [12] 낭천7905 18/09/18 7905
334812 [LOL] 챔피언십 카직스 KT/아프리카 크로마 [32] Madmon8569 18/09/18 8569
334808 [유머] 뜬금없는 색무새 등판. [27] 삭제됨10916 18/09/18 10916
334807 [유머] 손님 배빵 몇대 드릴까요? [18] 완자하하8680 18/09/18 8680
334806 [동물&귀욤] 개인기 [4] 좋아요5056 18/09/18 5056
334805 [유머] 안 흔한 주문취소 사유.jpg [52] akb는사랑입니다17775 18/09/18 17775
334804 [LOL] 롤파크 다녀온 서새봄 [4] 키토10166 18/09/18 10166
334803 [유머] 사드 보다 훨씬 위협적인 대중국 무기 [22] 미스포츈10698 18/09/18 10698
334802 [게임] (소전) 종료를 앞둔 랭킹전 점수 추이 [46] 길갈5743 18/09/18 5743
334801 [유머] “내가 키만 좀 컸으면 여자 다 꼬심..크” [56] 아지메13719 18/09/18 13719
334800 [기타] (안유머) 자살 시도자를 막는 용감한 시민 [32] OrBef10689 18/09/18 10689
334799 [동물&귀욤] [곤충 허물] 수제 피규어 [11] 이호철5034 18/09/18 5034
334798 [유머] 신발 도둑 홍길동전 마무리 [25] 회색사과9765 18/09/18 9765
334797 [유머] 틀린 비밀번호입니다 [43] 마스터충달13352 18/09/18 13352
334796 [유머] 오늘자 평양 근황 [16] 길갈16329 18/09/18 16329
334795 [기타] 호불호 끝판왕 케이크 [54] 쎌라비12006 18/09/18 12006
334794 [기타] 50만원짜리 운동화 [46] 쎌라비12232 18/09/18 12232
334793 [동물&귀욤] 의자에 올라가고 싶은 댕댕이 [8] Croove6865 18/09/18 6865
334791 [유머] 무슨 떡을 좋아하시나요?.jpg [46] 김치찌개7736 18/09/17 7736
334790 [유머] 평생 모기한테 안물리기 VS 평생 감기 안걸리기 [56] 김치찌개6619 18/09/17 6619
334789 [유머] 배달음식 중에서 가격 거품 제일 많이 꼈다고 생각하는 두개.jpg [46] 김치찌개12281 18/09/17 1228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