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18/08/04 10:36:36
Name 무가당
File #1 이미지_1.png (202.0 KB), Download : 40
출처 직접 캡처
Link #2 http://search.danawa.com/dsearch.php?query=%EC%B0%BD%EB%AC%B8%ED%98%95+%EC%97%90%EC%96%B4%EC%BB%A8&tab=main
Subject [유머] 가격 장난질이 유머 (수정됨)


1등인 대유위니아 에어컨이 7월 말에 25만원.

나머지 대부분의 에어컨들도 30만원 미만이었음

토요토미 에어컨만 비슷한 가격을 유지하고 있네요. 이것도 일본에서는 40만원대 에어컨이긴 하던데;;

수요가 올라가니 가격이 급등하는 수요 공급의 원칙이 잘 드러나는 모습을 보고 계십니다. 크크크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08/04 10:37
수정 아이콘
에라이 장사치들
18/08/04 10:53
수정 아이콘
호재인가요?
18/08/04 10:56
수정 아이콘
근데 저게 욕할일인가요
수요와 공급에 따른 합리적인(?) 시장아닌가;;
도라지
18/08/04 11:13
수정 아이콘
근데 이건 수요와 공급에 따른다기 보다는 일단 올려놓고 보는거라서요.
18/08/04 11:48
수정 아이콘
안팔리면 내리겠죠
도라지
18/08/04 11:58
수정 아이콘
어찌보면 그렇죠.
집갑도 미친듯이 올려놓고 한명만 걸려라 하는 마인드인데 진짜 얼마 하지도 않는 에어컨이야 뭐...
18/08/04 12:03
수정 아이콘
집값을 그렇게 보시면 할말이 없죠
시장이 한두명으로 움직인다고 생각하시는건지....
도라지
18/08/04 12:05
수정 아이콘
계란파동때의 경과를 보고 나서, 한두명으로 움직이는게 가능하겠다고 생각하는 입장입니다.
18/08/04 13:50
수정 아이콘
그 한두명이 문통과 김현미 국토부 장관 말씀하시는건거요? 하하
도라지
18/08/04 13:53
수정 아이콘
계란파동 때 도매상들이 어떤 장난질을 쳤는지 아신다면 담합으로 인한 가격 상승이 그리 어려운게 아니라는걸 느끼실겁니다.
그리고 내뇌망상이긴 하지만 그런 담합을 한두명이 주도했다면... 한두명이 움직인게 맞겠죠.
18/08/04 13:55
수정 아이콘
부동산 한번사고파는데 필요한 부대비용과 보유 세금 생각하시면 그런 말씀 못하실 것 같은데
도라지
18/08/04 14:03
수정 아이콘
손 님// 집값은 이전부터 비정상적으로 올라가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사고파는데 필요한 비용이야 매물가격에 추가하면 되는거고, 보유세는 매물가가 아니라 공시가로 계산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공시가하고 매물가는 생각 이상으로 차이나는 경우가 많아서...
18/08/04 14:28
수정 아이콘
도라지 님// 비정상으로 올라간다고 하기엔 2008년부터 2016년까지 거의 안 올랐죠

제가 보유세랑 사고파는데 필요한 비용을 말씀드린건
자기가 산가격에서 이득을 보려면 저런 부대비용을 포함한것보다 더 비싸게 팔아야 된다는거죠
공시지가가 중요한게 아니고요

내가 오늘 1억에 샀는데 부대비용 5천이 들었으면 내일 1.5억에 팔 수 있나요?
이걸 일개 개인이 조절 할 수 있다고 생각하시는게 신기하네요
도라지
18/08/04 14:31
수정 아이콘
손 님// 그렇게 올려놓고 한명만 걸려라 식의 지역이 있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실제로 거래는 안일어나구요.

왠지 위의 에어컨도 마찬가지로 보여서 그렇게 적었어요.
제랄드
18/08/04 18:41
수정 아이콘
계란파동 때 도매상들이 무슨 장난을 쳤나요?

https://pgr21.com/?b=8&n=69573

전 이 글의 본문이 아닌 댓글이 팩트에 가깝다고 생각합니다.
제랄드
18/08/04 18:44
수정 아이콘
https://pgr21.com/?b=8&n=69725

아울러 이 글도 참고 바랍니다.
무가당
18/08/04 12:2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일단 대유위니아의 해당모델 국내 총판은 하나 뿐이라 독점의 폐해가 발생 할 수 있죠.

다른 모델들이 1.7배에서 2.3배 정도 상승할 동안 3배 넘는 상승률을 보니 상관이 있는것 같기도 하고요?

근데 대유위니아 이름값이 있으니 타 제품보다 수요가 많았을 수도 있겠네요.

그러니까 결론은 저도 잘모르겠네요.....
차라리꽉눌러붙을
18/08/04 14:23
수정 아이콘
사실 일반적으로 경제학개론등에서 말하는 수요와 공급에 따른 가격결정이 합리적인지도 더 따져봐야......
리나시타
18/08/04 10:57
수정 아이콘
뭐 장사해서 먹고사는거니 장사치들 맞죠 크크
경제 원리를 정말 잘 보여주는 모습이네요
사악군
18/08/04 11:05
수정 아이콘
별 문제없는듯
18/08/04 11:20
수정 아이콘
수요가 급격히 올랐으니 가격이 오를만도 합니다.
저거 아니더라도 겨울에 에어컨 장만하면 싸게 살 수 있는것도 그렇고요.
당연한 모습.
찬밥더운밥
18/08/04 11:22
수정 아이콘
패딩이나 봄가을 자켓 지금 반값에 살수있어요
개꿀
Janzisuka
18/08/04 11:29
수정 아이콘
흠...이번에 오픈준비하면서 가게에
삼성 스탠드 40평 두개 두는데 설치비 포함 590만원이면 잘 산걸까요?
18/08/04 12:33
수정 아이콘
어제 캐리어 40평 인버터 냉난방기 천정형 330만원이에 말했어요~
Frezzato
18/08/04 11:46
수정 아이콘
그쵸 당연한겁니다 많이들 찾으시니까 수요가딸리고 수요가 딸리면 가격이 당연 올라가죠
신공표
18/08/04 12:36
수정 아이콘
수요는 많아지겠죠
Frezzato
18/08/04 12:44
수정 아이콘
그쵸그쵸
무가당
18/08/04 12:44
수정 아이콘
공급이 딸리죠...
Frezzato
18/08/04 12:44
수정 아이콘
아참 그쵸
강미나
18/08/04 11:58
수정 아이콘
겨울에 지금 가격으로 에어컨 팔면 장난질 인정합니다.
롯데닦이
18/08/04 12:35
수정 아이콘
불법도 아니고 당연한거같은데...
Sentient AI
18/08/04 12:42
수정 아이콘
경제학자는 당연하다고 생각하겠지만 평범한 소비자들은 썩 유쾌하지 않을 듯..
18/08/04 12:46
수정 아이콘
수요가 있으니까 그런거겠죠.
이걸 욕한다면 할인할 때도 같이 욕해야죠.
18/08/04 13:55
수정 아이콘
수박도 만원이 올랐는데요..
18/08/04 13:59
수정 아이콘
그럼.. 여름 성수기에 해운대 모텔 1박에 30만원.. 파라솔 3만원 받는 것도 수요가 있는 거니 욕하면 안되는거였나요..? 성수기 바가지 욕하는거 많이 본 것 같은데 더워서 기억이 이상해진건가..??
네~ 다음
18/08/04 14:03
수정 아이콘
욕은하지만 그렇게해도 사람이 꽉차면 할말이없죠...
18/08/04 14:43
수정 아이콘
사실 아무도 안 가면 자연스레 도태될텐데 누군가가 가서 사주니 유지가 되는거죠..
태랑ap
18/08/04 15:04
수정 아이콘
(수정됨) 어느정도 올리는건 이해하겠는데 이건뭐...
일반 국민이랑 엘리트 판매자의 온도차이가 크다는 글을 전에 봤는데 그게 생각나네요

http://web.humoruniv.com/board/humor/read.html?table=pds&st=subject&sk=%B6%C8%B6%C8%C7%D1%20%BB%E7%B6%F7&searchday=1month&pg=0&number=790239


지금당장이야 매출이 많이 오르겠지만 나중에가선 저기회사 제품은 처다도 안볼거같습니다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내년즈음 공기청정기 구매생각중인데 저기 올라와있는 회사제품은 아무리 좋아도 안사요

일반적으로 많이쓰는 벽걸이형이 30~70만원대
스탠드형이 150~200 인데 저딴게 저 가격이라니 크크크크
만년실버
18/08/04 15:15
수정 아이콘
각자 자기기준에서 소비하고 상대편에 욕만 안하면되죠.
돈있어서 비싸도 사겠다는사람과 비싸서 버틴다는사람이 서로 싸우지만 않으면 행복~
네오크로우
18/08/04 15:49
수정 아이콘
마지못해 쓰는 이동식 에어컨도 작년에 30만 원대에 샀는데, 지금은 50만원이 넘더군요...;;
아스미타
18/08/04 16:30
수정 아이콘
도요토미는 원래 저가격 아니었나요? 아시는분~
손가락자국
18/08/04 16:44
수정 아이콘
지난달에 봤을때 도요토미 저 모델은 그때도 80만원대 정도 했던걸로 기억하네요.
18/08/04 16:36
수정 아이콘
장사꾼한테 장사치라고 하는건 칭찬이죠.
게이머한테 야비하다고 하는거랑 무슨 차이겠습니까.

맘에 안들면 안사면 되는 것이고, 문제가 되면 법으로 규율하면 될 것일 뿐.
강미나
18/08/04 17:34
수정 아이콘
이거 가지고 욕할거면 장사하는 사람들은 비시즌 할인판매 할 때 사는 사람 거지라고 욕해도 되겠네요.
18/08/04 17:59
수정 아이콘
1억이든 2억이든 에어컨이 저것만 있는 것도 아니고...안팔리면 내리겠죠...강요 아닙니다.
구름저편
18/08/07 12:58
수정 아이콘
수요와 공급에 따라 가격이 달라지는건 시장경제에서 다연한거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32036 [유머] 한국어 패치는 DLC입니다 [20] 내일은해가뜬다9916 18/08/06 9916
332035 [기타] 12년 뒤 대한민국 여름 [35] swear10924 18/08/06 10924
332034 [유머] [약혐주의] 적외선 카메라 레전드 [12] swear8468 18/08/06 8468
332033 [유머] 문구점 아재...007요원설..jpg [101] 아지르13393 18/08/06 13393
332032 [기타] 겨울철 자동차 성에 제거법.jpg [23] 김치찌개7705 18/08/06 7705
332031 [유머] 당신의 연봉은 상위 몇 %.jpg [62] 김치찌개9990 18/08/06 9990
332030 [기타] 헬쓰 올바른 자세.jpg [16] 김치찌개7542 18/08/06 7542
332029 [기타] 부산 맛집 깔~끔하게 지도로 정리.jpg [3] 김치찌개6067 18/08/06 6067
332028 [기타] 관객 400만 이상의 주연작이 가장 많은 국내 영화배우 Top10 [13] 김치찌개6350 18/08/06 6350
332027 [기타] [파티찾기]탱커 한분 모십니다~ [5] 톰슨가젤연탄구이3470 18/08/06 3470
332026 [방송] 미국판 복면가왕 예고편 [31] 백마탄 초인7102 18/08/06 7102
332025 [유머] 아니 빅맥에 토마토가 없다고??? [13] 길갈8469 18/08/06 8469
332024 [게임] [도타2] 인간 vs 알파고 알파고 5인 팀 승리! [52] 이호철6520 18/08/06 6520
332023 [유머] 껌 삼키고 방구끼면 안 되는 이유 [4] 마스터충달6842 18/08/06 6842
332022 [유머] 하의실종 [13] 及時雨7692 18/08/06 7692
332021 [동물&귀욤] 냥줍빌런.jpg [10] 홍승식8003 18/08/06 8003
332020 [기타] 13호 태풍 예상경로 [29] 톰슨가젤연탄구이7198 18/08/06 7198
332019 [게임] [스파5]G/사가트 트레일러 [11] 레이오네4320 18/08/06 4320
332018 [연예인] 잘가요 드랙스 (인워 스포) [55] 더 잔인한 개장수9100 18/08/06 9100
332017 [게임] 드래곤볼 파이터즈 신규 캐릭터 등장 [12] 레이오네7557 18/08/06 7557
332016 [유머] 당신이 잠든 은밀한 그 시간 [17] 길갈9517 18/08/06 9517
332015 [기타] 현재 강릉.jpg [51] 낭천18793 18/08/06 18793
332014 [유머] 유비 관우 장비 아아~ [25] 파랑파랑17265 18/08/06 1726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