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18/08/03 20:42:27
Name swear
File #1 1.jpg (97.8 KB), Download : 22
출처 에펨코리아
Subject [게임] 뮌헨 회네스 회장 "뭐? e스포츠? 젊은 것들이 뛰어다닐 생각은 안하고 "


e스포츠에 야심찬 투자를 준비한 바이에른 뮌헨의 계획은, 울리 회네스 회장의 거부권 행사로 중단되었다.



빌트에 의하면, 바이에른은 도타2, 리그 오브 레전드, 포트나이트 등의 인기 게임단 창설을 위해 500만 유로를 준비 중이었다.



바이에른은 이미 4월에 NBA 2K 시리즈 게임단을 창설해서 성공적으로 운영하고 있지만, 회네스 회장을 설득하기에는 충분치 않았다.



회네스 회장은 인터뷰를 통해 자신이 구단 내부에서 홀로 e스포츠 투자에 반대하고 있으며, e스포츠를 스포츠로 생각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젊은이들은 운동장에서 스포츠를 즐겨야 해. 바이에른 구단에도 e스포츠 투자를 열망하는 사람들이 있지만, 난 반대야. 하지만 나 혼자 그런 주장을 하고 있지."



"앞으로 큰 문제가 될 것 같아. 게임은 절대 올림픽 종목이 되어선 안돼."





원문 - (1) https://www.foxsports.ph/esports/876698/fc-bayern-president-shuts-down-clubs-esports-initiative/

         (2) https://bulinews.com/news/521/bayern-boss-im-against-esports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애패는 엄마
18/08/03 20:43
수정 아이콘
독일도 덕후의 나라인데 회장은 다른가보네요
두부과자
18/08/03 20:4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어디든 꼰대는 있습니다. 거기에 탈세까지한 꼰대..
cluefake
18/08/03 20:46
수정 아이콘
이건 말투가 안 뜰것같다 가 아니고
뜰 것 같은데 내가 그걸 막아야 한다 에 가까운데요?
허무맹랑보단 다가오는 위협으로 느끼고 계신 듯?
고스트
18/08/03 20:48
수정 아이콘
ESPN의 이스포츠 중계 사유도 심플했죠 스포츠로의 인정이 아니라 그냥 20대 남성층이 많이 보기 때문에 튼다에 가까워서...
ColossusKing
18/08/03 20:49
수정 아이콘
"외질은 지난 수 년간 쓰레기 같은 경기력을 보여줬다. 그가 일대일 경합에서 이긴 마지막 장면이 아마 2014년 월드컵 때였나? 그는 그 자신과 그의 쓰레기 같은 경기력을 사진 뒤에 숨겼다. 그가 좋은 경기력을 보였다고 말하는 그의 3천5백만명의 팔로워 및 팬덤은 실제 현실에서는 존재하지 않는다. 그가 국가대표를 떠나면서 드디어 악몽이 끝나서 기쁘다." - 회네스
트리키
18/08/03 20:51
수정 아이콘
탈세범이 또...

감옥에서 너무 빨리 나왔네
베네딕도
18/08/03 20:51
수정 아이콘
게임을 왜 스포츠로 인정받고 싶어하는걸까요
제가 겜덕이라 그런지 전 게임이 스포츠보다 더 좋고 위대한데 말이죠
어린세대에서는 그런 사람들 많을텐데 뭔가 이미지라는게 이렇게 중요한가 싶기도 하고
인간흑인대머리남캐
18/08/03 21:02
수정 아이콘
뭐 제일 큰 이유는 돈이 되기 때문아닐까요? 이만한 경쟁의 장이 소수의 메이저 스포츠 종목 말고는 없는데 크게 보면 미래의 먹거리죠. oca가 괜히 게임을 아시안 게임 시범종목으로 채택한게 아니니.. ioc도 눈독 들이고 있고요..
두부과자
18/08/03 21:06
수정 아이콘
돈되니까 스포츠로 만들고싶은거죠.
게임계뿐 아니라 스포츠계에서도..
18/08/03 23:49
수정 아이콘
서로의 이해가 맞들어가는 상황이니까 그런거라봅니다.
게임은 부정적인거라는 기존의 편견을 부술수 있고, 기존의 스포츠쪽은 돈이되는 분야를 찾은거구요.
솔로13년차
18/08/04 01:56
수정 아이콘
어느 사회나 스포츠로 인정되면 누릴 수 있는 게 많습니다.
당장 대한민국의 경우 군면제도 있죠.
18/08/04 08:47
수정 아이콘
그러니까 그런게 자격지심인거죠 제도권에 들어가서 인정받고싶다는 이상한 마인드. 그리고 E스포츠라는게 특정기업 컨텐츠로 굴러가는데 군면제 주면 분명 논란이기때문에 국내정치권이 정신나가지않은 이상 그럴일 없으니 꿈깨시길
솔로13년차
18/08/04 08:52
수정 아이콘
제가 프로게이머도 아닌데 무슨 꿈을 꾼다고.
본인과 생각이 다르다고 다른 사람 무시하는 말투 쓰는 거 고치세요. 본인의 생각도 철없어 보입니다.
18/08/04 09:06
수정 아이콘
으.... 아임그루트
18/08/04 12:17
수정 아이콘
자격지심의 뜻부터 알아보시는게
꼬마산적
18/08/04 17:56
수정 아이콘
누구신데 함부로 꿈깨시길 이라는 기분 더러운 말을 함부로 하시는지!!
18/08/03 20:56
수정 아이콘
어쨌거나 e스포츠가 기성 프로 스포츠만큼 대중적이진 않은 게 사실이긴 합니다. 그래서 미국의 오버워치 리그의 성공이 더 놀랍기도 하구요.
18/08/03 21:00
수정 아이콘
빠지고싶으면 빠지라죠 크크
무민지애
18/08/03 21:01
수정 아이콘
스포츠로 보기는 힘들죠. 공정성 자체가 없는데. 엿장수 마음대로라서. 굳이 얘기하면 룰이 변하는 바둑이라고 봐야죠?
어쨌든 ESPN말처럼 많이 보는게 짱이라...
프로그레시브
18/08/13 12:56
수정 아이콘
글쎄요 바두도 좋아하고 개임도 좋아하는 입장에서 동의되지 않는 글이네요
바둑이 수천년동안 발전한 스포츠라 룰 모두 동일하고 같을거라고 인식되는거같은데
바둑룰도 중국 한국 룰이 다릅니다
집을계산하는 방식도 다르고 흑보다 늦게 시작하는 백에게 덤이라는 어드밴티지를 주는 집수도 다릅니다
시대적으로 덤이란것도 계속해서 변경되어왔구요
프로에게 한집의 차이는 어마어마한 차이라고 하는데요
실예로 중국은 7집반이 덤이고 한국 일본은 6집반입니다
정말 큰차이이고 집계산방식도 달라서 한국룰에 익숙한 선수가 중국 대회가서 중국룰 계가방식에 착각해서 진 경우도 비일비재하고요
바둑도 나라 혹은 대회마다 룰이 달라집니다
속기냐 장고대국이냐에 따라서도 젊은층과 나이있는층의 유불리가 확연히 달라집니다
e스포의 게임 속성이 더 가변적이긴 하지만 단순히 그 가변성이 문제라면 바둑도 마찬가지라는 얘깁니다
18/08/03 21:02
수정 아이콘
범죄자인줄로만 알았더니 사업적 판단력도 부족한 것 같네요.
딱총새우
18/08/03 21:08
수정 아이콘
인정합니다. 동네일진 벗어나려면 한 눈 팔 때가 아니죠.
후추통
18/08/03 21:09
수정 아이콘
이말을 아마 5월인가? 했을겁니다.

바이에른 뮌헨쪽이 LCS 프랜차이징에 참여할 계획이 있었다고 했죠. 뭐 물론 회장이 다 파토냈지만.

분데스리가 구단들이 LCS를 비롯한 이스포츠에 관심이 있는 이유는 수익구조 때문입니다.

2부 전전하던 시절 샬케04가 이스포츠 스폰만으로 수백만 달러를 벌었고, 성적 죽쒔던 스프링에도 180만 달러를 벌어들여서 분데스리가 팀들이 눈이 휘둥그래 졌다는 소식도 있었거든요.
정공법
18/08/03 21:13
수정 아이콘
오 드디어 스폰으로 수익이 생기는건가요..
18/08/03 21:53
수정 아이콘
뇌가 MLB로 절여져서 180만불? 푼돈이네 하는 생각이...
화려비나
18/08/03 21:10
수정 아이콘
이름이 '울리'인 독일인한테 색안경 생기려고해요 으으으...
하심군
18/08/03 21:16
수정 아이콘
사실 급한 건 기존의 스포츠계지 게임계는 아니긴 합니다. 다만 행동의 방향이 정 반대라는 건 흥미롭네요.
나스이즈라잌
18/08/03 21:55
수정 아이콘
꼰 ㅡ 대
18/08/03 22:18
수정 아이콘
E스포츠는 그냥 E스포츠일뿐. 자격지심으로 생기는 추태
전자수도승
18/08/03 22:22
수정 아이콘
그시보못!
처음과마지막
18/08/03 22:25
수정 아이콘
전투 드론도 요즘은 파일럿이 멀리서 원격조정해서 공격하는 시대인데요 흠
땀 한방울 않흘리고 목표 타격이 가능한 시대죠
13REASONSWHY
18/08/03 22:39
수정 아이콘
어휴 노답탈세꼰대 같으니
18/08/04 00:41
수정 아이콘
응 나중에 후회하지마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63175 [게임] 아들 코인 떡상 [10] swear10288 19/09/14 10288
361703 [게임] 검은사막 노빠꾸 닥쳐좌 [22] swear9121 19/08/30 9121
356158 [게임] 게임중독 질병화에 대한 일침 [69] swear8600 19/06/27 8600
355869 [게임] 당신은 죽었습니다. 이제 당신이 마지막으로 플레이한 게임에서 환생합니다 [151] swear11266 19/06/23 11266
355489 [게임] 1998년 pc방의 풍경 [37] swear11747 19/06/18 11747
352042 [게임] 용준좌 학생 시절 [9] swear8839 19/05/05 8839
344574 [게임] 혼자서 2인용 게임하기 [36] swear10350 19/01/29 10350
340832 [게임] 어릴때 친구집 갔다가 빠져서 열심히 했던 게임 [21] swear12389 18/12/06 12389
338919 [게임] 심즈 한국식 주택 [12] swear6702 18/11/12 6702
338425 [게임] 현실 괴혼 [15] swear8087 18/11/06 8087
336457 [게임] 승리를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27] swear8649 18/10/13 8649
335062 [게임] 디아블로 넷플릭스 드라마화 루머 [49] swear9938 18/09/22 9938
331897 [게임] 뮌헨 회네스 회장 "뭐? e스포츠? 젊은 것들이 뛰어다닐 생각은 안하고 " [33] swear9496 18/08/03 9496
331514 [게임] 지금도 한 번씩 다시 보는 테켄 크래쉬 시즌2 8강 [10] swear3979 18/07/29 3979
331331 [게임] 이게 휘네? [9] swear7167 18/07/25 7167
321984 [게임] 98년, 08년, 18년 게임순위 [10] swear8094 18/02/17 8094
321979 [게임] 디아블로2에서 가장 많이 잡은 몬스터는? [44] swear10385 18/02/17 10385
321483 [게임] 게임 서비스종료 1분전 [23] swear12109 18/02/09 12109
318773 [게임] 게임 초보한테 추천하는 게임들 [57] swear11162 17/12/27 11162
316750 [게임] 90년대후반~2000년대초 게임 [39] swear10534 17/11/22 10534
316250 [게임] 의외의 무과금 혜자게임 [7] swear8712 17/11/15 8712
315982 [게임] 게임하는데 방해하지마라. [8] swear9077 17/11/11 9077
315759 [게임] 소림누님 근황 [30] swear13491 17/11/07 1349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