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18/08/01 18:29:09
Name 반니스텔루이
출처 스타
Subject [스타1] 코카콜라 스타리그 공식맵 (수정됨)


네오 레가시 오브 차

z0M7bxP.png

네오 정글 스토리



네오 홀 오브 발할라



라그나로크


스연게 임콩 맞대결 자료 보고 문득 생각나서.. 크크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오클랜드에이스
18/08/01 18:31
수정 아이콘
저런 맵에서 어떻게 저그가 결승에 올라갔는지... 절레절레
러블리맨
18/08/01 18:33
수정 아이콘
레가시 오브 차는 저그가 할만 했죠.
오클랜드에이스
18/08/01 18:37
수정 아이콘
에버 2004에서도 레퀴엠은 토스가 저그상대로 할만 했죠...

근데 다음리그는 박정석만 시드받아서 살아남고
Chasingthegoals
18/08/01 18:42
수정 아이콘
듀얼토너먼트 최종전으로 머큐리가 선택되고, 최종전은 대부분 저프전이라서 기억나네요. 저그가 승자전에서 지면 패자전에서 토스가 올라오고, 토스가 승자전에서 지면 패자전에서 저그가 올라오던...
반니스텔루이
18/08/01 18:45
수정 아이콘
신정민 선수였나. 패자전으로 떨어졌는데도 5세트 머큐리라 무조건 이길수 올라갈수 있었다고 인터뷰한게 생각나네요 크크
Chasingthegoals
18/08/01 19:06
수정 아이콘
찾아보니 4토스였고, 1,2경기 맵은 레퀴엠, 승,패자전 맵은 비프로스트였네요. 크크크
지금 생각하면 토스가 올라갈 수 없었네요...
18/08/01 18:35
수정 아이콘
홀오브 발할라 진짜 ... 지금봐도 극혐이네요 크크
Thanatos.OIOF7I
18/08/01 20:45
수정 아이콘
그분 오브 발할라였죠.. 크크
Chasingthegoals
18/08/01 18:36
수정 아이콘
하필 결승 1,5경기 맵이 요환오브발할라...
회색추리닝
18/08/01 18:36
수정 아이콘
진짜 정글스토리는 지금나오면 답도없겠는데요 크크크크
솔로13년차
18/08/01 23:10
수정 아이콘
정글스토리는 1.07에 맞춰진 맵이라, 사실 저 때는 사용해서는 안되는 맵이었죠.
자도자도잠온다
18/08/01 18:36
수정 아이콘
와..
지금보니 맵이 하나같이 주옥같네요..
유자농원
18/08/01 18:36
수정 아이콘
저그맵
테란맵
테란맵
테란맵
18/08/01 18:41
수정 아이콘
스타리그 역대 최고의 명언: 테란해라
파랑파랑
18/08/01 18:44
수정 아이콘
역대 최고의 개테란맵 크크크
진인환
18/08/01 18:46
수정 아이콘
제작: 엄재경
이쥴레이
18/08/01 18:49
수정 아이콘
라그나로크 극혐
지금이대로
18/08/01 18:55
수정 아이콘
맵이 너무하긴 했죠
파쿠만사
18/08/01 18:58
수정 아이콘
라그나로크 하니 당시 임진록에서 홍진호가 임요환 본진 바로 아래에 전진해처리 짓고 성큰러쉬했던 장면이 생각나네요...
버렝가그
18/08/01 19:06
수정 아이콘
역대 최악의 테란맵 라그나로크, 그리고 저그 조지는 맵 정글스토리와 발할라.
레가시 오브 차가 있다고 해도 이건 뭐 대놓고 테란이기라는 대회였죠.
그리고 라그나로크에서만 줄줄이 경기를 하는 임요환 때문에 나중에 노동환 방식으로 바뀌게 되는 대회였죠.
참 당시에는 신나게 저그 응원하면서 봤는데 나중에 보니 씁슬한 대회였습니다.
망할 부커리그....
스타나라
18/08/01 19:52
수정 아이콘
노동환 방식이 도입되기 전에는 선수들이 직접 맵을 뽑았었다고 하죠.

그와중에 [임]은 기가막히게 라그나로크를 뽑아재꼈다고 하고요..

테테전을 해도 라그나로크를 뽑고 테플전을 해도 라그나로크를 뽑고 저그전은 당연히 뽑고...
재출발자
18/08/01 19:20
수정 아이콘
정글스토리는 홍진호가 23승 4패인가...혼자 밸런스맞춘 맵이죠..여튼 맵이 너무 아쉽긴해요
열씨미
18/08/01 19:35
수정 아이콘
흥행을 위해 토너먼트 상위 종족밸런스를 신경쓸 수밖에 없으니..정확한 자료는 없지만 스타초창기는 거의 저그판이었고 임요환선수가 뜨기전까지 개인적으로는 테란이 제일 암울한 종족이라고 여겼던걸로 기억합니다
킹찍탈
18/08/01 19:41
수정 아이콘
부커 대회가 또..
18/08/01 22:16
수정 아이콘
스타리그 보지도 않다가 친구따라 간 장충체육관에서 결승전 직관하고서 홍진호 팬이 됐네요. 경기력이 미쳤었는데 맵이...
18/08/01 22:29
수정 아이콘
정글스토리는 오히려 동시 섬먹고 무탈가는 빌드로 나중엔 저그맵이었죠. 지금 메타은 모르겠습니다만
솔로13년차
18/08/01 23:26
수정 아이콘
진지먹고 설명하자면,

정글스토리는 엄재경이 만든 맵입니다. 저 시점에서 가장 오래된 맵이었죠. 00년까지 스타판이 저그 대 '랜덤 포함 비저그'의 대결구도에 가까웠던 터라, 저그를 견제하고자 만들어졌던 맵입니다. 1.08이 나온 시점이었던 코카배에선 쓰이지 않았거나, 쓰였을 경우 테란이 안좋은 맵이 들어가야했죠. 어쨌든 코카배 당시 이 맵에 쓰인 것에 대해서 엄재경 본인에게 들은 바로는 '전적은 그렇게 테란에게 저그가 밀리는 건 아니었...' 정도였습니다. 실제로 맞는 말이기도 하고요. 테란이 섬멀티를 밀어내는 것보다 빠르게 섬멀티들을 차지하면서 앞마당 자원까지 밖에 확보하지 못한 테란이 고사하는 양상도 꽤 나왔었죠.

발할라는 김진태가 만든 맵으로 1차 맵공모전 당선작입니다. 한빛배에선 오리지널 버전이 쓰였는데, 종족밸런스 면에서는 평가가 좋았으나(섬맵치고), 한빛배부터 생방송으로 대회가 진행되었는데 장기전이 양산된다는 이유로 멀티 2개소를 삭제하는 수정을 했습니다. 1.07에서 섬맵치고 밸런스가 좋다는 평가를 듣던 맵이 1.08이 되고, 미세하지만 테란에게 더 좋은 형태로 맵이 수정되면서 더더욱 테란맵이 되었죠.

레가시는 공모전 당선작입니다. 전형적인 힘싸움 맵이죠. 당시 전적은 딱히 저그가 좋지 않았습니다. 상식적으로 테란과 저그가 대놓고 힘싸움하는데 저그가 좋을리 없죠. 레가시가 저그맵이라는 이미지가 생겼던 건, 당시 다른 세 맵이 테란맵이었다는 것과 나중에 제노스카이로 쓰일 때 무탈의 활약여지가 좀 컸었기 때문입니다.

문제의 라그나로크. 맵공모전을 통해 그 전까지 엄재경이 담당하던 맵제작 파트를 책임지게 된 김진태가 처음 만든 맵입니다.(발할라는 공모전 맵이니까.) 사실 아는 사람들은 다 알고 있음에도 실드친답시고 밸런스를 예측하지 못했다는 형태로 말했지만, 저 맵이 테란맵이라는 사실 자체는 관계자들은 다 알았습니다. 생각보다 개테란맵이었던 것이지, 테란에게 좋다는 사실 자체를 예측 못한 건 아니예요. 당시 기본적으로 공정한 룰 내에서 경쟁하고, 경쟁의 결과는 '열심히 포장하면 된다'고 생각했던 엄재경이 라그나로크 사용을 반대했지만, 임요환이라는 스타 탄생이 이뤄진 시점에서 테란에게 힘을 줘야 스타판이 성장한다는 정일훈의 주장이 좀 더 먹히면서 공식맵으로 채택됐다 할 수 있죠. 결과적으로 임요환은 코카배를 통해 확실히 스타로 자리매김했고(전성기는 한빛배 시기였음에도 스타가 된 건 상대적으로 성적이 떨어졌던 코카배죠), 그런 임요환을 통해 스타판 자체가 성장한 것도 사실입니다. 어떤 의미에선 선견지명일텐데, 전 좋게 보이지 않아요. 또, 엄재경은 본인의 역할 상 열심히 라그나로크를 포장했고, 내부자들 중에선 반대측 인물이었음에도 라그나로크를 사용한 것으로 인한 욕은 가장 많이 먹지 않았나.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97487 [스타1] 울트라 vs 울라리의 대한 챗 GPT의 답변 [14] 반니스텔루이4091 24/03/26 4091
488069 [스타1] 무적의 스카웃 부대 [24] 반니스텔루이10503 23/10/08 10503
331742 [스타1] 코카콜라 스타리그 공식맵 [27] 반니스텔루이8255 18/08/01 8255
311877 [스타1] 스타 캠페인에서 패배하는 프로 [24] 반니스텔루이9731 17/09/01 973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