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18/07/15 14:45:40
Name swear
File #1 1.jpg (134.4 KB), Download : 40
출처 에펨코리아
Subject [기타] 20년간 물가변화


제일 많이 오른게 빼빼로네요. 500% 상승했으니...200원이라니..크크크 저렇게 가격이 저렴했나 싶기도 하고..
쌀은 반면에 유일하게 -를 기록했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Bluelight
18/07/15 14:51
수정 아이콘
등록금 실화입니까? 97년에 400만이면 와...
안프로
18/07/15 14:53
수정 아이콘
삼겹살 등심 너무 비싼것...
음란파괴왕
18/07/15 14:53
수정 아이콘
여가목록에 피시방이 없네요. 20년 전보다 싸졌을텐데.
18/07/15 15:01
수정 아이콘
커피 의문의 혜자행
오토나시 쿄코
18/07/15 15:02
수정 아이콘
1년 등록금 기준인가요? -_-;;;;
국립대가 공대 기준 100만원대 초중반, 인문대는 100만원이 안 됐고, 수학과 같은 덴 80만원대였던 걸로 기억하는데...
사립대도 비싼 곳이 300만원대 중반 정도? 저 400만원은 어디서 나온 수치인가 싶네요.
물론 97년 얘기입니다.
Aragaki Yui
18/07/15 15:03
수정 아이콘
1년(2학기분) 등록금같은데 맞는거 같은데요?
오토나시 쿄코
18/07/15 16:07
수정 아이콘
200만원 2회라는 건데 등록금 평균값을 낸 걸까요?
라플비
18/07/15 15:05
수정 아이콘
뽀삐가 10롤이 1만 3천 원씩이나 했었나... 내가 너무 30롤만 사서 그런가
무가당
18/07/15 15:05
수정 아이콘
쌀이 저렇게 싸니 안 먹을 수가 없네요. 에효 정말....
게섯거라
18/07/15 15:12
수정 아이콘
쌀은 요즘 최소 4만 5천원쯤 하던데 넉넉잡아도 동결수준이네요.
18/07/15 15:17
수정 아이콘
요즘 놀이공원 5만2천원 하나요 덜덜
비익조
18/07/15 15:20
수정 아이콘
롯데월드 자유이용권 성인기준 52000원인데 이것도 이것저것 할인해서 거의 반값에 가는 경우가 많더라구요
초코궁디
18/07/15 16:28
수정 아이콘
통신사랑 카드 멤버십 안걸리는데 찾기가 어려워서 반값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좀 뻔한 상술....
라울리스타
18/07/15 15:29
수정 아이콘
소득이 늘고, 기술이 발전하여 편리해져도 삶의 여유 측면에선 90년대보다 나아진 것 같지 않은 이유네요...
블랙비글
18/07/15 15:33
수정 아이콘
(수정됨) 대체로 생산성이 늘어야 소득이 늘어나는 것인데, 생산성이 는다는 것은 또한 대체로 여유가 없다는 뜻이기도 하죠. 여유는 소득이 아니라 자산에서 나옵니다.
바카스
18/07/15 15:32
수정 아이콘
아니 치킨은 정말.. 예전에 도대체 얼마나 남겨 먹은건가.. 튀김 기술 발전한거 봤을 때 예전 마진 장난 아니였겠네요.
R.Oswalt
18/07/15 15:34
수정 아이콘
삼겹살이 10년 전에 비해서도 진짜 더럽게 올랐다는 느낌이었는데, 그보다 더한 놈이 있을 줄이야...
최종병기캐리어
18/07/15 15:38
수정 아이콘
이렇게 오르는동안 피씨방은 제자리...
18/07/15 15:38
수정 아이콘
그러고보면 20년전에 집에서 삼겹살 구워먹을일 있으면 항상 어머니가 "삼겹살 한근 사온나" 하면서 5000원 쥐어 줬는데...
고란고란
18/07/15 17:02
수정 아이콘
하긴 저 당시엔 자취했어도 삼겹살 자주 사다 구워먹었던 거 같네요. 엠티 가서도 삼겹살 많이 사갔고.
카서스
18/07/15 15:40
수정 아이콘
이정도면 착취해왔다가 맞는 말이네요.
귀족을 재벌로 바꾸면 과거랑 사회구조의 차이가 없는듯
블랙비글
18/07/15 15:41
수정 아이콘
97년 최저임금은 1400원이었다고 하네요.
카서스
18/07/15 15:52
수정 아이콘
월급이 안오르니 최저임금이라도 올려야 얼추 맞겠죠.
최저임금 올린덕분에 임금상승률이 그나마 저정도인걸로 해석하는게 맞지않나요?
블랙비글
18/07/15 18:43
수정 아이콘
좀 찾아보니까 저 임금상승률 자료는 잘못된거 같네요.
카서스
18/07/15 19:37
수정 아이콘
저도 자게에 어떤분이 설명해주시더라구요.

그리고 혹시 님이 찾으신 자료를 링크해주실수 있나요?
블랙비글
18/07/15 20:07
수정 아이콘
네.. 보니까 다른데서 자료 2개를 들고와서 연속성이 없습니다.

1997년은 링크자료1 8페이지, 표2-2, 1997년 에 146.3백만원 에서 있는거 같고, 2017년 은 링크자료2 표1, 경제활동인구조사부가조사, 임금총액, 2016년에 236.8 백만원에 있습니다. 둘다 한국노동연구원 자료이고, 항목이 임금총액이긴 한데 기초가 되는 조사가 첫째는 노동부의 [매월노동통계조사보고서]이고 둘째는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 근로형태별 부가조사] 라서 연속성이 없기 때문에 조사가 어떻게 된건지 모르는 이상 단순비교해서는 안되는 자료라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통계청에 가보면 링크자료3에 임금근로자의 근로형태별 월평균임금이 있는데 2004년까지만 있고 그 이전자료는 없습니다.
(링크자료1: http://www.nl.go.kr/app/nl/search/common/download.jsp?file_id=FILE-00008150508)
(링크자료2: https://www.kli.re.kr/downloadBbsFile.do?atchmnflNo=13075)
(링크자료3: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DE7082S&vw_cd=MT_ZTITLE&list_id=&seqNo=&lang_mode=ko&language=kor&obj_var_id=&itm_id=&conn_path=K2#)

통계자료가 들쑥날쑥 하다 보니까 과거랑 비교하기가 어려운데, 하나 찾은 건 있습니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가셔서 [주제별 통계 -> 물가 가계 -> 가계 -> 가게소득지출] 에 가계동향조사에 보면 신분류랑 구분류가 있는데 거기에 하위분류 몇개 열어보면 가구당 월평균 가계수지에서 가구별 소득추이를 볼 수 있습니다. 물론 여기도 1997년까지 이어지는 장기간 추이를 부려면 전가구는 안되고 근로자가구만 되는거 가습니다. 물론 또 신분류랑 구분류랑 또 달라서 액수로 보면 안되고 성장률로만 봐야 할 것 같습니다.
카서스
18/07/15 20:16
수정 아이콘
다떠나서 기본적인 내적타당도가 부족한 자료였군요. 감사합니다.
블랙비글
18/07/15 20:22
수정 아이콘
네.. 이번 기회에 보니까 통계자료가 정리가 잘 안되어 있고 장기간 유지되는 통계도 몇 없는거 같네요. 찾기가 너무 어려운거 같습니다. 수고하세요~
카서스
18/07/15 20:29
수정 아이콘
정말 고생하셨군요;; 즐거운 일요일밤 되세요
블랙비글
18/07/15 20:42
수정 아이콘
카서스 님//
하는일이 이런 종류의 자료를 보는 거랑 관련되어 있다 보니까 좀 찾아봤습니다.. 언젠가 한국자료가지고 연구할 일도 있겠지요 흐흐..

다시 생각해보니까 참고자료2의 10페이지, 표1, 사업체노동력조사, 상용직, 임금총액, 2017년 370.7 만원을 비교해도 될 수 있을 꺼 같은데, 확실하지는 않습니다. 둘다 노동부 자료라서 [매월노동통계조사보고서]랑 연속성이 있을수도 있는데, 사실 연속성이 있다 하더라도 매월노동통계조사보고서는 10인 이상 사업체이고, 사업체노동력조사는 5인 이상 사업체라서 370.7 만원보다 좀더 클 수 도 있습니다. 어쨌든 확실하진 않습니다.
다이어트
18/07/15 15:40
수정 아이콘
진짜 월급만 안 오르네요.......
내일은
18/07/15 16:12
수정 아이콘
전체적으로 보면 평균적으로 3배 정도 올랐네요. 월급은 3배이상 안올랐을텐데...
Bluelight
18/07/15 16:36
수정 아이콘
월급 제일 위에 있어요
18/07/15 16:16
수정 아이콘
쌀 위엄 무엇...
바알키리
18/07/15 16:40
수정 아이콘
대기업의 년도별 매출성장률이나 순이익증가율을 찾아보고싶었는데 자료찾기가 쉽지 않네요. 저기간에 기업은 얼마나 성장했으려나요
고란고란
18/07/15 17:01
수정 아이콘
농산물은 거의 안 올랐네요. 쌀은 비교적 싼 걸 넣은 것 같고, 계란은 작년에 엄청 올랐을 때 가격이고.. 대파도 좀 비쌀 때 가격이네요. 마늘은 가격 탄력성이 높아서 올해 비싸고 내년엔 싸고 하는 일이 많으니.
등짝을보자
18/07/15 17:20
수정 아이콘
부동산은 어느정도인지 궁금하여 검색해 보니....
잠실 주공 5단지 : 1억3천5백만원(현 시세 16~18억)
어.... 너무 편차가 심한것 같아서 잘 안오르는 서울 지역의 경우
신도림 우성아파트: 1억 2천2백만원(현 시세 6.5억)
그쵸 서울은 너무 높죠... 그래서 산본까지 내려가 봅니다
산본 묘향롯데 : 1억 5천5백만원(현시세 4억 3천만원)
그나마 수익율이 나쁜(?) 경우가 200% 언저리에서 노네요 여윽시 부동산이 체고시다...
18/07/15 17:29
수정 아이콘
과자류 상승률 무엇.. 그램 단위로 측정하면 더 심할텐데;;
蛇福不言
18/07/15 17:31
수정 아이콘
96년 지하철 요금이 600원이었던 걸로 기억하는데...
만원내고 정기패스 사면 일반인은 11000원, 대학생은 12000원 채워줬거든요.
그러면 딱 20번 탈 수 있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31012 [게임] [하스스톤] 하린이를 위한 새로운 전설 카드 [31] 삭제됨5800 18/07/20 5800
331011 [기타] 춤출 때 얼굴이 커야 하는 이유 [19] 게섯거라14673 18/07/20 14673
331010 [게임] 대리비 [25] 쎌라비12114 18/07/20 12114
331009 [기타] 치킨 꿀팁 총 정리.jpg [17] 김치찌개11775 18/07/20 11775
331008 [유머] 게임할때 나는 과금러 vs 무과금러 [39] 김치찌개7466 18/07/20 7466
331007 [LOL] 리프트 라이벌즈 한타 분석 [11] Leeka6285 18/07/20 6285
331006 [LOL] 롤 대리사이트들 근황 [26] 쎌라비10200 18/07/20 10200
331005 [유머] 주관적 90년대 여름노래 탑5.jpg [18] 김치찌개6890 18/07/20 6890
331004 [유머] (데이터)상남자가 고기를 먹는 방법 [6] 길갈10164 18/07/20 10164
331003 [LOL] 파도타기 [7] 쎌라비5287 18/07/20 5287
331001 [게임] [오버워치] 6힐 랭커 vs 마스터.swf [6] 손금불산입4676 18/07/20 4676
331000 [게임] [와우 소격아] 오늘 패치된 저레벨 던전 상황 [26] 루윈8346 18/07/20 8346
330999 [스타1] 어제자 25킬 리버.gfy [18] 손금불산입8972 18/07/20 8972
330998 [서브컬쳐] 비오는 날 우산보면 생각나는 애니 [12] 감성이 용규어깨4803 18/07/20 4803
330997 [유머] 당첨된다면 로또 vs 연금복권 [55] 김치찌개9217 18/07/20 9217
330996 [동물&귀욤] 사모예드 스마일 [2] 차가운밤5077 18/07/20 5077
330995 [유머] 고기엔 파절이 VS 양파절임.jpg [29] 김치찌개6070 18/07/20 6070
330994 [게임] 리액션의 차이 [3] 감성이 용규어깨5352 18/07/20 5352
330992 [유머] 뭔가 흐뭇해지는 장면들 [1] 감성이 용규어깨6485 18/07/19 6485
330991 [게임]  아재 판별기 한 수 올려봅니다 [6] 왕십리독수리5245 18/07/19 5245
330990 [유머] 똥 싼 놈이 방구 낌 [4] 마스터충달6222 18/07/19 6222
330989 [LOL] ???: 뺏는쪽이 유리하다니깐요. [10] 쎌라비6465 18/07/19 6465
330988 [동물&귀욤] 고양이 체지방률과 비만도 재는 법 [11] 홍승식13073 18/07/19 1307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