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18/06/20 22:55:42
Name 성동구
File #1 B24DA4C6_9FE1_45FB_AB1A_EF05F50BF892.jpeg (118.2 KB), Download : 40
출처 방금 라면 먹다 태어나서 처음으로 발견한 문구를 직접 찍음
Subject [유머] 라면 끓일때 보통 참고 안하는 부분


나트륨 조절을 위해 적절량의 스프를 넣느라고 표시되어 있지만 그런거 무시하고 스프 최대한 탈탈 털어 넣음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연애왕스토킹
18/06/20 22:56
수정 아이콘
보통 적정량의 물로 조절하죠
18/06/21 00:34
수정 아이콘
물로 짠맛을 조절 후 국물 다 마심 ㅡㅡ;;;
18/06/21 01:03
수정 아이콘
결국 다 먹음. 크크크
진격의거세
18/06/21 06:05
수정 아이콘
밥을 넣어서 추가로 나트륨을 조절하죠 응?
지니팅커벨여행
18/06/21 09:00
수정 아이콘
짜지 않게 먹은 거니까 몸에 나쁘지 않을 거예요!
18/06/21 09:29
수정 아이콘
다 마시더라도 물양이 많으면 충분히 희석되죠.
그래서 술마실때도 물이랑 같이먹으라고 하죠. 희석작용 때문에
18/06/21 09:48
수정 아이콘
짜게 먹고 물 많이 마시면 똑같지 않나요? 크크크
18/06/21 09:57
수정 아이콘
사람 체중이 정해져 있으니 결국 나트륨 양이 문제죠.
Tyler Durden
18/06/20 22:57
수정 아이콘
보통 다 털어넣고 물도 적혀있는대로 넣는게 젤 낫죠.
근데 저 말의 뜻은 사람취향은 다 제각기니까 짜다싶으면 니가 조절해서 맞춰라 이겁니다.
18/06/20 22:58
수정 아이콘
스프 다 넣으면 너무 나트륨 섭취가 많다고 스프 반만 넣고 김치 넣는 분 봤습니다.
아니. 김치에 나트륨 있으니 또이또이 아닌가? 라고 물어 볼라다 혼날까봐 못 물어봄
태엽감는새
18/06/20 22:59
수정 아이콘
김대기씨?
18/06/20 23:00
수정 아이콘
솔직히 그게 걱정될거면 아예 라면을 안 먹는게 낫지 않나요?
먹을거면 제대로라도 먹는게 낫지
18/06/20 23:01
수정 아이콘
22
18/06/21 10:15
수정 아이콘
그래서 라면을 끊고있습니다. 진짜 쉽지않네요. 담배유혹보다 더 심한듯
18/06/20 23:02
수정 아이콘
'기호에 따라 적정량의' 스프라고 읽어야 맞겠죠.
있는 힘껏 쥐어짜서 스프를 때려넣으세요라고 쓸 수는 없으니..
R.Oswalt
18/06/20 23:06
수정 아이콘
라면 제조자에서 표기하는 조리법은 당연히 스프 다 때려넣는 걸 기준으로 하니까 어쩔 수 없이 다 넣어야 됨.
덜 넣고 맛없다고 하지 말란 소리.
연필깍이
18/06/20 23:09
수정 아이콘
라면은 짜게 끓이면 맛있습니다.
18/06/20 23:10
수정 아이콘
스프다 안때려넣으면 맛이 안나요..
홍승식
18/06/20 23:12
수정 아이콘
전 짜서 다 안 넣는 편이에요.
하늘을 나는 고래
18/06/20 23:13
수정 아이콘
적정량=스프 최대치
아니였음???
18/06/20 23:14
수정 아이콘
그래서 라면 양으로 조절합니다. 2개 끓이면서 스프 하나 넣죠.
스카야
18/06/21 01:11
수정 아이콘
아이유
18/06/20 23:19
수정 아이콘
물 적게 스프 올인
18/06/20 23:24
수정 아이콘
스프에 맛을 내는 성분이 염분만 있는게 아니죠
염분조절할려고 스프조금 넣으면 다른맛도 조금 들어가게 됩니다.
18/06/20 23:30
수정 아이콘
저는 소스형 스프도 쪼개기 전 나무젓가락으로 쭉 밀어서 다 때려넣습니다
18/06/20 23:31
수정 아이콘
불닭면 같은 건 매워서 조절합니다.
18/06/20 23:34
수정 아이콘
물 적게 스프 절반. 모든것은 조절하기 나름이죠.
순규성소민아쑥
18/06/21 07:04
수정 아이콘
저도 이렇게....
Been & hive
18/06/21 09:22
수정 아이콘
저두요 크크
누렁쓰
18/06/20 23:40
수정 아이콘
저걸 기록해놓은 이유는 진상 고객들 대비용이죠. "넣어놓은 대로 끓였더니 더럽게 짜네"라고 항의하는 사람들에게 "봉투에 기호에 맞게 조절하라고 적혀 있잖아요"라고 대답하기 위해서요.
수정비
18/06/20 23:56
수정 아이콘
나트륨 조절은 면을 따로 삶아서 스프 물에 넣는 방식으로 하는게 제일 낫긴 하더군요.
맛은 좀 줄지만, 스프 적게 넣는 것보다는 맛있어요 크크
마법사7년차
18/06/21 00:07
수정 아이콘
라면 하나 끓일때는 다 때려넣지만 2개~3개부터는 조절합니다.
라면 x개 끓인다고 물이 x배 넣는건 아니라서..
18/06/21 00:14
수정 아이콘
집에서 아버지랑 같이 먹을땐 스프 절반만 넣습니다.
김치로 메꿔요
써니는순규순규해
18/06/21 00:20
수정 아이콘
물 조금 적게
스프 조금 적게
남은 스프는 면에 뿌려 먹으면 맛있습니다.
cluefake
18/06/21 00:53
수정 아이콘
한개 끊일때는 무조건 스프 최대치죠.
특히 너구리 오동통 이런건 무조건. 그냥 국물 맛이 확 줄어버리기 때문에..
에베레스트
18/06/21 00:55
수정 아이콘
전 물을 좀 많이 넣는 편입니다. 그쪽이 제 입맛에 더 맞거든요.
키무도도
18/06/21 01:42
수정 아이콘
물을 적게 넣고, 스프도 적게 넣고...
영혼의공원
18/06/21 08:00
수정 아이콘
그런거 걱정하는 사람이 라면을 왜 먹어! (실제로 라면 판매 당담자가 한말)
세상을보고올게
18/06/21 08:50
수정 아이콘
나트륨이 너무 많다는 지적에서 빠져나가는 꼼수라고 봅니다. 많으면 다 넣지마. 물론 다 넣어야 맛있지만
Zoya Yaschenko
18/06/21 09:38
수정 아이콘
물도 조금, 스프도 조금, 남은 스프는 사리면 사서 따로 끓여먹습니다.
18/06/21 10:28
수정 아이콘
오우!스프 최대로!!
엔조 골로미
18/06/21 12:18
수정 아이콘
저는 물 적게 넣고 스프적게넣고 국물 많이 버리는 편이네요 그리고 모자른양은 다른 음식으로...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29663 [유머] 두 유 노 일본? [5] 이호철8225 18/06/27 8225
329662 [유머] 박지성 해설 진짜 못하더라 ~~~ 스브스 절대 안봄 [8] TWICE쯔위10567 18/06/27 10567
329661 [기타] 재테크 고수가 알려주는 월급관리 비법 1가지.jpg [31] 김치찌개9314 18/06/27 9314
329660 [기타] 직접 다녀온 여행자가 말해주는 다낭 여행정보.jpg [29] 김치찌개8093 18/06/27 8093
329659 [유머] 이 히어로의 이름을 지어주세요.jpg [39] 김치찌개6858 18/06/27 6858
329658 [유머] 군대가면 몸 좋아진다.jpg [26] 김치찌개8386 18/06/27 8386
329657 [유머] 미필 난제.... 태릉 5개월 VS 군생활 2년.jpg [68] 김치찌개6952 18/06/27 6952
329655 [유머] 여고생 기본셋 [11] 인간흑인대머리남캐8476 18/06/27 8476
329654 [LOL] 이번 삼성 스킨 모티브는 이순신,홍길동 등등 [24] 은하6447 18/06/27 6447
329653 [서브컬쳐] [트위치] 항마력 테스트 [5] 파이리5292 18/06/27 5292
329652 [유머] 스파이더맨 ‘그 장면’에 음악만 제거했을때 [11] 내일은해가뜬다7995 18/06/27 7995
329651 [유머] 요즘도 일석점호 이렇게 하나요? [17] 유리한9729 18/06/27 9729
329650 [유머] 2018 월드컵 기념 코스프레 [10] swear7483 18/06/27 7483
329649 [LOL] 그러니까 이게 월드 오브 레전드라는 게임인가요? [4] 시뇰6211 18/06/27 6211
329648 [유머] 알바 사장님이 너무 무뚝뚝해서 무섭다 [6] swear9280 18/06/27 9280
329647 [유머] 라면 한 봉지 다 먹는 사람 있어? [30] swear9506 18/06/27 9506
329646 [동물&귀욤] 집에서 생존가능한 바퀴벌레의 천적 [18] 홍승식12767 18/06/27 12767
329645 [동물&귀욤] [1.4mb]귀여움 가득한 상자 [3] 차가운밤5313 18/06/27 5313
329644 [기타] 삼촌땐 인강도 없었는데 일어랑 영어 뭐 보고 공부했어요? [40] Cand10347 18/06/27 10347
329643 [기타] 초소형 컴퓨터 신기록 갱신 [12] Lord Be Goja8651 18/06/27 8651
329642 [기타] 현실적인 PGR21정모.JPG [33] 비타에듀9757 18/06/27 9757
329641 [유머] 알고 보면 소름돋는 사진들 [32] 모루12308 18/06/27 12308
329640 [스포츠] 사실 D조는 축구를 하는게 아니었습니다. [20] 軽巡神通7969 18/06/27 796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