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18/04/21 12:56:36
Name 성동구
File #1 99288BE7_A92F_4E2A_9F86_3DFD06F86BFC.jpeg (53.3 KB), Download : 32
출처 와고
Subject [스타1] 송병구 선수가 vs T 원탑이 아닌 이유


토스가 좋은맵에서 테란 두번 만났는데,
두 번 다 아무것도 못하고 패배....

막판 허영무 선수가 테란 잡고 2회 우승한것과 비교했을때, 송병구 선수를 압도적인 테란전 최강자로 보기엔 무리가 있는것 같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트윈스
18/04/21 12:58
수정 아이콘
김택용도 개인리그에서 저그들한테..크흠..
버거킹
18/04/21 13:25
수정 아이콘
태풍에 휩쓸려 날아간...
폰독수리
18/04/21 12:59
수정 아이콘
이 논리대로면...
대문과드래곤
18/04/21 12:59
수정 아이콘
결승전만 딱 놓고 보면..
18/04/21 13:00
수정 아이콘
성동구님 생각이고 게이머 출신들 백명 물어보면 허영무는 한명도 안나오고 송병구가 70도재욱이 20 김택용이 10 나올거에요.
정 주지 마!
18/04/21 13:11
수정 아이콘
얼마전까지 유게에서 주목받던 분이 한분 없어진듯 한데 슈퍼루키가 나타났네요. 흐흐
보로미어
18/04/21 13:39
수정 아이콘
아닌데요.
구구단
18/04/21 13:01
수정 아이콘
근데 송병구 제외하고 다른 프로토스를 테란전 원탑이라고 할 순 없는 노릇이에요.

김택용 도재욱도 테란한테 0대3 당한적 있고
허영무는 막판 개인리그 두 번 제외하면 평범 그 자체고요.

개인적으로 송병구 정말 안 좋아하는데
송병구가 테란전 원탑은 맞습니다.
보로미어
18/04/21 13:36
수정 아이콘
(수정됨) 허영무 막판 개인리그 두번 제외하면 평범 그 자체라 하셨는데
송병구가 가장 잘한 시즌 두 시즌 제외해도 송병구는 스폐셜합니까?
3:0 셧아웃요? 송병구 셧아웃 당한거 한번 찾아보시면 엄청 많을껄요. 이영호도 셧아웃 당한적 있습니다.

정말로 실력이 출중한 선수라면 그 선수 자체의 성적만 놓고 이야기해도 다른 이보다 돋보여야 합니다.
쓸데없이 다른 선수의 업적을 까내릴 필요없이요.
구구단
18/04/21 14:0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전 송병구가 스페셜하다고 한 적도 없고 돋보인다고 한적 없는데요?

원탑이 꼭 남들보다 크게, 많이 앞서야 원탑인가요? 그냥 1등이면 원탑인거지.

애초에 테란전 최고 3토스 택뱅도 끼리는 테란전 승률이 큰 차이가 없어요.

그 중에서 그나마 승률 가장 높은게 송병구니까 테란전 원탑으로 꼽은거고요.

까내릴 필요 없다고 하셨으니 안 까내릴게요. 허영무 막판 두 시즌 기록 포함해도 송병구 테란전 승률이 5퍼센트는 더 높네요.
18/04/26 10:28
수정 아이콘
강민이 있죠.
전성기 얼마 기간동안 승률이나 다승 강민이 더 높다는 자료 10년전에 여기서 봤네요.
AeonBlast
18/04/21 13:01
수정 아이콘
지금보면 송병구 꺾은 선수들이 송병구선수보다 위거나 송병구선수에 필적하는 선수들이였다지만

솔직히 결승전 당시에는 5번 모두 송병구 우위였죠.
유자농원
18/04/21 13:10
수정 아이콘
그러네요 심지어 송병구대 이제동이었을때는 프저였음에도 이제동 프막이 유명했으니 송병구 할만하다 여서
18/04/21 14:40
수정 아이콘
당시의 뱅도 저그전을 잘하는 이미지는 아니었죠.
유자농원
18/04/21 14:42
수정 아이콘
맞습니다 뱅도 저막소리 많이있었죠.
다만 지금으로치면 스크림 같은데서 저그 다 패고다닌다는 소문이 돌고 그랬는데 그러나 결말은 크크크...
18/04/21 13:04
수정 아이콘
아니 이걸 이렇게 크크크크크크
18/04/21 13:07
수정 아이콘
뭐 이런걸로만 보면 머큐리에서 플토한테 진 저그도 있...
Lord Be Goja
18/04/21 13:07
수정 아이콘
겜게가 아니라 유게에 쓰신 이유가 있겠죠
18/04/21 13:08
수정 아이콘
유머 인정합니다.
마리오30년
18/04/21 13:08
수정 아이콘
하지만 현역시절 송병구만큼 안정적으로 테란전 잘하는 선수가 딱히 있었느냐 하면 잘 떠오르지 않죠.
보로미어
18/04/21 13:09
수정 아이콘
유머 맞으시죠? 크크
이렇게 까면 이영호도.. 잘하면 적용될 수 있을걸요. 기록을 찾아봐야겠지만
18/04/21 13:10
수정 아이콘
결승에서 졌다고 이렇게 까지... ㅠㅠ
18/04/21 13:11
수정 아이콘
유게니까 유머로 쓰신거죠?
VrynsProgidy
18/04/21 13:11
수정 아이콘
송병구가 메이저 대회 우승이 두번만 됐어도 지금이랑 평가가 거의 천지개벽 수준일겁니다. 그만큼 세부적인 부분에서 훌륭한 부분이 많죠.

그러나 거의 모든 송병구에 대한 논쟁은 마법의 단어 그우몇앞에서 생명력을 잃죠. 이 글만 해도 결국 표현만 다르지 하는 얘기는 그우몇 그 자체죠.

프테전 세부 성적이 좋은것도 사실이지만 상대전적과 맵빨 모두 우세한 두번의 결승에서 6대0으로 우승을 내줬으니...
강미나
18/04/21 13:12
수정 아이콘
웃긴 글이네요 유머 성공!!!!
18/04/21 13:14
수정 아이콘
사람들이 흥분 할 만한 주제를 잘 선택해 불씨를 잘 지핀다는 느낌을 받네요.
자유형다람쥐
18/04/21 13:26
수정 아이콘
특히 스타크래프트 관련해서 이런 글을 많이 쓰시는 듯한 느낌을 받네요.
버거킹
18/04/21 13:23
수정 아이콘
정명훈에게 3:0 한번 당했다고 해서 이영호가 테테전 최강자가 아니었나 크크.
아이오아이
18/04/21 13:23
수정 아이콘
유게니까 유머로 올린거지 본인도 이게 진지한 소리였다면 겜게에 올렸겠죠
18/04/21 13:30
수정 아이콘
크크 웃고 갑니다. 본문까지 추가하신거보니 진지하신듯한데.
18/04/21 13:32
수정 아이콘
테란전 1위라면 송병구와 김택용 강민 등이 가장 먼저 꼽히겠죠.
사실 병구얘기와 별개로 김택용 테란전이 본문 같은 이유로 저평가받고 있다는 느낌은 듭니다.

승률1위는 장윤철이라는 얘기도 있고 크크
코우사카 호노카
18/04/21 13:32
수정 아이콘
저도 허영무를 고평가합니다만 이건 뭔 논린지....
드랍쉽도 잡는 질럿
18/04/21 13:39
수정 아이콘
테란전이 강했던 것은 사실이고, 결승 준비가 부실했던 것은 별개죠.
뭐 덧글 다는 것이 의미가 있을지는 몰라도...
유자농원
18/04/21 13:45
수정 아이콘
와고에서 퍼오신걸 봤을때 캡쳐해서 수준드립으로 역수출도 노리시고있지않나 생각되는 부분이구요
18/04/21 13:55
수정 아이콘
그냥 토스원탑 허영무 드십쇼 크크
치토스
18/04/21 13:59
수정 아이콘
일부러 그러시는거죠?
Liberalist
18/04/21 14:09
수정 아이콘
......??

[송병구가 결승에서 테란에게 졌다 = 송병구가 테란전 원탑이 아니다]인 것은 아닙니다만...
걸그룹노래선호자
18/04/21 14:14
수정 아이콘
패스파인더가 토스가 저렇게 좋은 맵이었다니! Unbelievable하군요!

카트리나는 명성만큼 토스맵인건 전혀 아니라고 생각했는데 역시나네요.
아저게안죽네
18/04/21 14:32
수정 아이콘
카트리나는 리쌍 전적 빼면 꽤나 심한 토스맵 맞습니다.
걸그룹노래선호자
18/04/21 14:36
수정 아이콘
카트리나에서 리쌍이 활약한 것도 어느정도 맵의 도움을 받은거라고 보는거죠.

리쌍이 카트리나에서만 유독 전적을 쌓았을리도 없죠.

저는 카트리나가 왜 토스맵이라는지 전혀 모르겠어서요. 카트리나 하느니 그냥 무난하게 파이썬/투혼/써킷 합니다. 저기 있는 이카루스도 카트리나보단 낫겠네요.
아저게안죽네
18/04/21 15:56
수정 아이콘
일단 지상 러시거리가 먼 편이라 저그전에선 더블넥을 심시티 부담 없이 쉽게 가져가고 2멀티 역시도 확보가 쉬워서 오리지널
카트리나에선 프저전이 6:4 정도로 벌어질 정도로 토스가 좋은 맵이었고
테란전 역시 지상으로 긴 러시 거리로 조이기의 부담감이 덜하고 본진이 길어서 리버 견제 등에 휘둘리다 캐리어에
끝나는 경우가 많았죠. 개념이 많이 달라진 지금 다시 쓰인다면 모르겠지만 당시에는 명백히 토스맵이었습니다.
걸그룹노래선호자
18/04/21 16:06
수정 아이콘
제가 보는 카트리나 테란전을 싫어하는 이유

1. 테란이 그냥 본진에 입구 심시티하고 막으면 더블커맨드는 거저 가져가는 수준이라는 점

2. 터렛 몇 개만 지으면 셔틀 방어도 완벽해짐

3. 테란이 진출할 경우, 먼 곳에 스타팅이 있고 그 스타팅을 먹기 위해선 멀리 진출하는게 강요되야하는데 카트리나는 그냥 조금씩 전진하다보면 멀티를 계속 확보할 수 있는 구조 + 2번째로 가까운 멀티도 가스멀티라는 점도 테란에게 웃어줌

3-1 그 센터로 나가면 점차 확보할 수 있다는 멀티들이 또 토스가 수비하기에는 좋지 않음 (토스가 수비하기 좋은 멀티란 써킷브레이커의 3시-9시 같은 구조의 멀티를 말함)

4. 광활한 센터도 없어서 토스가 테란 병력을 제대로 포위섬멸할 공간도 안 나옴 + 그러면서 벌쳐가 우회할 경로만 많이 만들어놓은 수준

P.S 저기 나온 맵 중에서는 글라디에이터가 제일 좋다고 보는데, 실제로 전적상으로도 많이 앞서니 특별히 언급하지 않고 넘어갔습니다.
아저게안죽네
18/04/21 14:27
수정 아이콘
압도적인 원탑의 의미가 다르죠. 100명중에 80명이 원탑이라 생각하면 득표율에선 압도적이지만 기량차이가 압도적이냐 하면 그건 아니거든요.
보여준 퍼포먼스와 성적등을 고려해 봤을 때 역대 토스중에 첫 손에 꼽을 테란전을 가진 선수지만
프저전의 김택용 급의 압도적인 기량차는 아니니까요.
18/04/21 14:49
수정 아이콘
꾸준함의 송병구, 임팩트의 허영무죠. 두 선수의 최전성기가 좀 다르기도 하고.
화이트데이
18/04/21 14:52
수정 아이콘
이영호한테 3대떡 당한건 논외로 하죠 크크크
18/04/21 14:57
수정 아이콘
그렇게 따지만 이영호도 3대 떡으로 당한거 논외로 해야죠.
화이트데이
18/04/21 15:08
수정 아이콘
이영호는 어차피 3대떡 당한거 다 논외로 안치더라도 전종족전이 탑에 드는 정도 아닌가요 흐흐흐

그냥 농담으로 해보았습니다
VanVan-Mumani
18/04/21 15:35
수정 아이콘
이야 정말 오랫만에 스타가지고 퐈이어 나네요 옛날 피지알 생각나고 좋은듯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29125 [스타1] 무프로리그 결승 결과 [13] 성동구9690 18/06/17 9690
328994 [스타1] ??? : 1승만 하라고! [28] 성동구12138 18/06/14 12138
328815 [스타1] Cj vs 8게임단 에이스 결정전 [15] 성동구8329 18/06/12 8329
328734 [스타1] 홍구 마패에 게이머들 반응 [21] 성동구12683 18/06/10 12683
328608 [스타1] 이영호 마이너스 옵션 있었다. [48] 성동구15746 18/06/08 15746
328549 [스타1] 김봉준 연습실 성적의 비밀 [35] 성동구13293 18/06/07 13293
328257 [스타1] 쇼부에 대한 이제동의 스탠스 [15] 성동구10140 18/05/31 10140
328141 [스타1] 청와대 청원 근황 [36] 성동구10130 18/05/29 10130
327675 [스타1] (충격) 혜리 선수 대리겜 밝혀짐 [10] 성동구13536 18/05/20 13536
327551 [스타1] 혜리 요즘 건강이 안 좋아서 걱정인 팬 [8] 성동구9867 18/05/17 9867
327374 [스타1] 상어녀 X 이제동 합방 [10] 성동구16450 18/05/14 16450
327373 [스타1] 알에서 튀어나온 동글링 [1] 성동구7264 18/05/14 7264
327372 [스타1] 125 vs 58 [10] 성동구10011 18/05/14 10011
327284 [스타1] 뭉치기 리콜 근황 [282] 성동구23985 18/05/12 23985
327019 [스타1] 뭉치기 리콜 [63] 성동구18332 18/05/07 18332
326818 [스타1] 장윤철 연습 노트 [11] 성동구8947 18/05/03 8947
326192 [스타1] 조일장 vs 도재욱 [5] 성동구7864 18/04/23 7864
326073 [스타1] 송병구 선수가 vs T 원탑이 아닌 이유 [48] 성동구9914 18/04/21 9914
323484 [스타1] 07년 이후 테란이 개인리그에서 부진했던 이유 [16] 성동구7936 18/03/12 7936
322528 [스타1] 아프리카 2주년 기념 이영호 술먹방 썰요약 [30] 성동구14857 18/02/26 14857
322274 [스타1] Asl 시즌5 김택용배 와일드 카드전 결과 [6] 성동구7007 18/02/21 7007
320799 [스타1] Asl 시즌 5 맵 공모전 [20] 성동구7772 18/01/30 7772
320045 [스타1] 2년전 스타판 분위기 [23] 성동구10509 18/01/18 1050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