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18/04/11 00:30:42
Name Leeka
File #1 스크린샷_2018_04_11_오전_12.29.42.png (1.44 MB), Download : 30
출처 클리앙
Subject [유머] 4월초 중국 인기 1~3위 스마트폰


이래서 다들 탈모를.........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BetterThanYesterday
18/04/11 00:32
수정 아이콘
아이폰X는 실제로 보면 진짜 이쁘긴 해요

다른 폰 오징어로 보일정도로...
Supervenience
18/04/11 01:15
수정 아이콘
전 걍 그렇더라구요 엣지가 더예쁜듯...
무가당
18/04/11 09:27
수정 아이콘
전 노치가 사진이 오히려 괜찮고 실물 보니까 왜 M자 탈모라고 하는지 알겠던데요. 사람마다 다른 듯...
18/04/11 16:32
수정 아이콘
읭?..진짜 못생겼던데요. 저는
마누라 변태
18/04/12 09:51
수정 아이콘
갑작스런 고민토로?!
18/04/12 16:43
수정 아이콘
띠용
18/04/11 00:44
수정 아이콘
저는 텐 몇번을 봐도 이상하던데
저놈의 M은 도대체 왜 따라하는건지가
그리고 어떻게 중국 가짜들이 M자 파인건 아이폰 텐보다 덜한건지
애플은 스피커랑 카메라 붙여서 탈모자국 범위 줄이는 기술도 없는 건가요?

그나저나 중국인들은 얼마나 돈이 많길래
142만원이 넘는 폰에 가성비 8.7점을 줬나요?
18/04/11 00:46
수정 아이콘
안에 들어간 카메라의 성능이 다른게 첫번째
(애플은 전면 트루뎁스 카메라를 통해 애니모지 및 페이스아이디, 라이브 포토, 인물 사진 촬영등을 다 하고 있습니다.)

ios는 상단 바에 표시할 내용이 많지 않은데.. 안드는 많이 쓰는 구조인게 두번째...
(단순하게 알림 메세지들만 해도.. ios는 상단바에 표시가 안되지만, 안드는 표시되는 구조인 점..과 같은..)

라고 보시면 됩니다.
18/04/11 00:55
수정 아이콘
카메라 성능이 렌즈만 센서만 나와있으면 상관 없는거 아닌가요?
화웨이도 언급하신 기술들 들어간 다 모델 내놓는다는데 M자부분 아이폰텐보다 훨씬 좁던데요
그리고 잡기능들 까진 몰라도 단순히 말 그대로 카메라 성능은 이젠 아이폰이 안드로이드 못따라가죠. 2~3년전에 역전되서 지금은 격차 제법 벌어졌을텐데
알림은 문제가 아닌거 같고요. 거의 모든 앱이 상단이 짤리는데요.
탈모 형태의 변형 해상도를 지원하는 앱이 있습니까?
18/04/11 01:0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저 기술 다 들어간 모델은 현재 나온게 없는데요... (저 기술을 굳이 다 써야 하느냐에 대한건 논외로 하고..)
그나마 갤럭시 S9가 비슷한 이모지 기능까지는 들어있습니다만... 트루뎁스 수준은 아니고요.
(삼성은 소프트웨어적인 이슈가 오히려 큰 느낌이긴 한데..)

전면 카메라의 화소와 같은 부분이라면 더 좋은 기기도 많지만.. 트루뎁스에서 쓰이는 기능 자체라면 현재 전면에 동급으로 넣은 제조사는 없습니다..

알림은 문제가 되죠.. 안드에서 상단에 알림 아이콘은 의외로 중요한 기능이라서..


그리고 변형 해상도 지원하는 앱은.. 아이폰 X 이후 출시앱은 거의 다 대응되는 상태입니다만..
(대응 안하면 리젝먹이니까.... 작년말 프렌즈마블을 필두로.. 올해 나온 앱들은 보면 다 대응되는 상태라고 보시면.. )
문제는 기존에 나온 앱들이 대부분 대응을 안하고 있는 상태라서 애플에서는 4월부터 아이폰 X 대응 정책을 강제 시행 예정이였으나..
개발사들의 강력한 항의로 인해 애플에서 연기 한 상태고..
피쳐드를 비롯한 이슈로 인해 업계 전체적으론 올해내로 대부분 앱 대응은 될걸로 보고 있는 상태..긴 합니다.
저만 해도 애플이 압박을 강하게 넣고 있어서 여름 중엔 대응하는 쪽으로 준비중인 상태라서...
18/04/11 01:50
수정 아이콘
알림이 문제가 아니죠. 그걸로 손해나 지장이 있냐 없냐의 문제인데 지장이 크다 작다의 문제로 해석을 하시면 안되죠.
위에서도 말했지만 화웨이가 언급한 모든 기술 더 발전한 형태로 발표는 했습니다. 제품을 내놓지만 않은거지.
트루뎁스도 화웨이측 말로는 아이폰텐에 들어있는거 10배 정확도라고...
뭐 시기가 더 늦으니 사실상 한세대 뒤라면 뒤고 공정한 비교가 아니라면 아닐수도 있겠습니다만

아니 무슨 변형해상도가 지원이 되요?
지원 된다는게 말장난이지
M자 부분이 짤리던가
아님 일자로 통째로 짤리던가 둘 중 하나인데
18/04/11 02:02
수정 아이콘
(수정됨) 안경님도 말하셨듯.. 출시도 안한폰 가지고 비교하는건 말이 안되는거 아닌가요.. 나와서 정말 그렇다는걸 확인해야 OK 되는거죠..

해상도 대응은 위에 적은 프렌즈마블을 필두로.. 그 이후에 나온 앱들은 거의 정상 대응 되는데요..(대응 안하면 다 리젝먹여대서..)
그 이전에 나온 앱들이 대응을 대부분 안해서 문제고.. 그 부분은 위에 적었듯 4월에 강제 시행하려다 개발사들 항의로 연기됫지만
애플이 다각도로 압박은 넣고 있어서 일정 수준의 앱들까지는 올해내로 정상 지원은 될겁니다..

문제는 탈모를 만들어놓고 제작사에 알아서 지원하라고 등떠밀어서 이 사단을 만든 애플인데..
사실 V시리즈의 세컨드스크린처럼.. 그냥 노치 영역 자체를 세컨드로 분리하고 앱과 별도로 돌리는게 젤 현실적이지 않았나.. 싶긴 합니다
게임쪽은 이거 대응하기 위해서 손대야되는건 겁나 많은데 저 영역을 써먹을 거리도 없어서...
18/04/11 02:39
수정 아이콘
그러니까 그게 말장난이지 정상 대응이 되는게 아니라는 말을 하는거에요.

카메라는 잡기능으로 그리고 잡기능 때문에 탈모 만들게 아니라 그냥 화질이나 키우는게 낫지 않을까요?
화질자체가 밀리고 격차는 점점 벌어지니까 궁여지책으로 별걸 다한다는 느낌인데...
카메라 화질만 생각한다면야 전면부에 저렇게 많은 부품을 외부에 드러나게 만들 필요가 없잖습니까
렌즈 성능을 높이든 센서 성능을 높이든 이미지처리 엔진을 개량하든 젤 기본적인건 발전이 더디고
더군다나 이제껏 상하는 물론이고 좌우도 무지막지하게 광활한 베젤 두께를 자랑하다가 그래서 타브랜드 7인치폰이 아이폰 6인치랑 비슷하게 나오다가 갑자기 베젤 없앤답시고 탈모를 만드는 이유를 모르겠어요.
아따따뚜르겐
18/04/11 00:46
수정 아이콘
성능이 10인거보면 말 그대로 성능이 캐리한 케이스로 봐야될지도요.
18/04/11 00:49
수정 아이콘
아이폰 8이나 10이나 성능 똑같은데 8이 훨 싸요. 8이 싼거도 아니고 10이 압도적으로 비싸거 그런거지만요.
pppppppppp
18/04/11 07:00
수정 아이콘
그럼 8 사시길..
다람쥐룰루
18/04/11 08:34
수정 아이콘
상대 댓글을 읽는 습관을 기릅시다
18/04/11 08:55
수정 아이콘
디스플레이가 아예 다르자나요
18/04/12 18:07
수정 아이콘
디스플레이 종류가 다른거지 뭐가 우월한건 아니라서요
18/04/12 18:19
수정 아이콘
Lcd에서 oled로 넘어가고 있는 추세인데
같을리가 없지요 본인도 다르다 해놓고 성능이 똑같다니요 .. 명암비부터 다를텐데요
18/04/12 18:33
수정 아이콘
IPS(PLS 포함)에서 OLED의 변화는 아직까지 발전이나 업글이라 부르진 않죠.
각각의 장단점이 있는거지
애플이나 엘지가 OLED로 넘어가지 않고 LCD를 고집하면서 LCD가 더 우월함을 강조해왔고요.
지금 휴대폰 쪽에서 OLED로 넘어가는 것은 성능 그 자체보다 더 얇게 만들 수 있고 전력 소모라던가 기타 화질 외적인 이점이 큰거지 디스플레이 성능자체의 우위에서 그런것은 아닙니다.
아직까지 두 디스플레이의 문제는 호불호의 영역이죠.
기존 애플이나 엘지폰의 팬덤들도 이회사들이 OLED 도입한 것에 대해서 불만을 표시하는 사람들이 적어도 웹상에는 더 많을 정돈데요.
18/04/13 02:45
수정 아이콘
전력소모나 화질 이외에 디스플레이 성능을 평가하는 잣대가 무엇인지 궁금하네요.
디스플레이쪽 업계 근무중인데 lcd는 점점 사장 분위기인데 ..
무엇을 보고 디스플레이의 성능을
평가하나요 ? 수율?
18/04/15 23:45
수정 아이콘
네 화질 이야긴데요.
그 화질 평가가 그렇다는 말인데요.
그리고 이점이라고 했지 성능이라고 말한적 없습니다
전력 소모조차 성능이랑은 상관 없죠
성능은 화질 그게 끝이고 전부지.

몇번 말하는지 모르겠지만
엘지나 애플이 OLED 넘어가는거는 화질때문이 아닙니다

글고 업계 근무중인게 왜요? 권위로 호소하는 오류를 굳이 범하실려면 어느회사 어느부서 어느직급 누구라고 다 까던가
그냥 나 어디 근무중인데... 어쩌라고요?
18/04/16 07:01
수정 아이콘
Flexible도 있고 oled로 넘어가는
이유는 더 있겠지만 화질때문이
아니란 말은 무슨 근거로 그렇게 자신해서 말하는지.. 결정권자세요?
시야각이나 명암비나 화질 관련되어서는 우수하나 유기물이라서 수명이나 균일성 등의 문제가 있다하면 몰라 동의가 어렵네요
18/04/11 00:56
수정 아이콘
다르긴 달라요 8이랑 10 같이쓰는데 게임한번 해보면 아 이래서 비싸구나...하는 느낌...
코우사카 호노카
18/04/11 01:04
수정 아이콘
6s못 쓸때쯤엔 x 중고가 좀 떨어지려나 써보곤 싶은데 가격이 워낙 넘사라;;
18/04/11 01:11
수정 아이콘
올해 말에 신형 나오면 훅 내려갈 확률.. 은 높습니다.. (신형에서 가격대를 내리고.. 대신 + 라인업을 추가하는 쪽으로 간다는 썰이 젤 많아서..)
18/04/11 01:51
수정 아이콘
텐은 특별 한정판이라서 그렇게 쉽게 떨어지진 않을거에요.
이민들레
18/04/11 01:24
수정 아이콘
와이프 아이폰 엑스 사주고 욕먹고 있습니다. 너무 불편해요..
킥킥킥이나
18/04/11 01:26
수정 아이콘
엥 이거 순위가 아니라 그냥 특정 사이트의 추천순위라고 들었는데 아닌가요?
18/04/11 01:32
수정 아이콘
그래서 제목도 인기순위라고 되있는데.... 현재 중국에서 가장 잘나가는게 오포랑 비보는 맞습니다.. 제조사로 따지면 애플은 5위정도... 지만 마진이 다르니깐..
(2017년 텐센트 리포트에서도 오포 점유율이 2위까지 올라온 리포트가 공개될 정도로..)
트윈스
18/04/11 08:29
수정 아이콘
말장난아닙니까 ? 추천순위랑 인기순위가 같은 뜻일리는 없고 애플은 5위인데 마진이 다르다는건 5위지만 마진이 다르니 3위와 다름없다라는 말인가요 ?
태연과 지숙
18/04/11 02:01
수정 아이콘
평가 기준에 감성이 빠졌네요.
아. 전 텐 쓰지만 담번엔 갤럭시 갈 가능성이 높네요.
만족하지만 넘 비싸용.
18/04/11 02:21
수정 아이콘
사실 한국내에선 삼성페이같은 부가기능까지 감안하면.. 갤럭시가 가성비가 젤 좋죠..
MissNothing
18/04/11 02:09
수정 아이콘
아이폰x 가성비가 높은 이유는 가격도 높고 성능도 높아서 그런건가요 크크크크
18/04/11 02:22
수정 아이콘
파는 본인들 마진이 가장 좋아서 가성비가 높은거 아닐까... 저 점수는 중국 판매 사이트에서 대충 붙인거라서....
사실 아이폰 X는 파는 사람 가성비는 좋아도 사는 사람 가성비가 좋을수가 없는...
18/04/11 04:17
수정 아이콘
정말 안이쁘네요 하나같이
홍준표
18/04/11 05:20
수정 아이콘
근데 디자인은 뭐가 그렇게 다르다고 저렇게 차이가 나죠?
인간흑인대머리남캐
18/04/11 09:05
수정 아이콘
탈모가 더 작아서 그런듯요
츠라빈스카야
18/04/11 08:24
수정 아이콘
아이폰X 쓰고 있습니다만, 노치가 그렇게 불편한건 아닙니다. 어차피 '원래 있을 화면을 갉아먹은'게 아니라 '원래 없을 화면을 더 붙인'거라...

다만 물리 홈버튼 대신에 하단 제스처바?가 생긴게 가끔 문제가 되는데...요즘 벽람항로 하다보면 하단에 토막설명 나올때 저 제스처바가 가려요.
그렇다고 숨길 수 있는 물건도 아니고....
다람쥐룰루
18/04/11 08:36
수정 아이콘
V30 유저로서 가격이 60만원이나 비싼 폰을 사람들이 쉽게 산다는게 대단하다고 느끼고 있습니다
아스미타
18/04/11 09:06
수정 아이콘
대머리 3형제
ColossusKing
18/04/11 09:11
수정 아이콘
대머리가 휴대폰시장에 대머리를 풀었다
18/04/11 11:39
수정 아이콘
크크크크크
Cazellnu
18/04/11 09:15
수정 아이콘
뭐 외관상 아이폰을 그럴듯하게 잘 따라해서 인기가 올라가 있겠죠.
공감은 못하지만 못말리는 아이폰사랑이 전 세계적으로 있는건 일개 민족신앙을 기반삼아 전세계적으로 퍼뜨린 것 처럼
그 능력은 너무 대단합니다.
아이고배야
18/04/11 09:29
수정 아이콘
아이폰6 3년 6개월 잘쓰고 아이폰 X로 갈아탔는데
폰 받아서 집에 도착하자마자 후회 했습니다..

1. 타사 플래그쉽 대비 1.4배-1.5배 비싼데
2. 성능/편의적으로 1.4-1.5배는 아닌거 같고
3. 그럼 성능으로 채우지 못하는 공백을 감성으로 채우느냐? 그것도 아닌거 같고
4. UX는 퇴보한거 같고..

1-2년 상전처럼 떠받들고 쓰다가 갤럭시S나 노트 텐 기념버전 나오면 갈아타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35074 [유머] 학창시절 도시락 반찬으로 가장 인기가 좋았던 반찬.jpg [21] 김치찌개7376 18/09/22 7376
333500 [유머] [실화] 독일인의 견실함 [14] OrBef11320 18/08/29 11320
332461 [유머] 약 10년전 롤만큼 인기많았던 게임.jpg [60] 김치찌개12411 18/08/13 12411
331699 [유머] 요즘 인기 폭발이라는 가방.jpg [17] 김치찌개13969 18/08/01 13969
331428 [유머] 특이점이 온 dc 드라마 [45] 길갈12064 18/07/27 12064
330800 [유머] 아재들에게 인기있었던 애완동물 [17] 미캉11367 18/07/16 11367
330273 [유머] ???: 아빠 이거 입고가면 인기 짱일거라며 [15] 화이트데이12873 18/07/07 12873
330233 [유머] 발표때 미친듯이 까였지만 결국 업계1위 한 제품.jpg [108] 돈키호테14418 18/07/06 14418
330190 [유머] 요즘 인기있는 청바지 [14] 미캉11130 18/07/05 11130
329249 [유머] 한류팬인 일본인 작가의 활동.... [22] 람머스12121 18/06/19 12121
328407 [유머] 먹방이 인기 컨텐츠가 된 이유 [4] 길갈11469 18/06/04 11469
327595 [유머] 일본인 10~30대 10만명 대상...역대 만화 인기투표 Top21..jpg [57] 김치찌개12211 18/05/18 12211
327381 [유머] 미래의 e-sports 경기장 [51] 초코궁디13436 18/05/14 13436
326675 [유머] 국내 인기 라면 순위 TOP 10 [16] 김치찌개14822 18/04/30 14822
326433 [유머] 반지의 제왕 라노베.txt [15] 정신건강의학8749 18/04/27 8749
326296 [유머] 일본 성장물 만화 요약 [45] 이쥴레이13234 18/04/25 13234
325930 [유머] 어벤저스 인기에 편승하려는 슈퍼히어로.JPG [13] TWICE쯔위12422 18/04/18 12422
325433 [유머] 4월초 중국 인기 1~3위 스마트폰 [46] Leeka13115 18/04/11 13115
324728 [유머] 최근 군대내 px 인기템.jpg [34] 김치찌개15069 18/03/29 15069
323950 [유머] 히어로 영화는 여자애들한테 인기없음 [14] 인간흑인대머리남캐10290 18/03/20 10290
323216 [유머] 미투운동이니.. 펜스룰이니.. 상관없는 사람의 심정 [31] Break Away11266 18/03/08 11266
322978 [유머] 동요대회의 임진록과 리쌍록 (1~27회 대상곡 추가) [50] 1029423 18/03/04 9423
322796 [유머] 한국 중국 제외 식어버린 배틀그라운드 인기 [68] 아지메13542 18/03/02 1354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