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18/04/10 10:36:26
Name Leeka
출처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421&aid=0003306041
Subject [유머] 2016년 근로자 연평균 소득
대상인원 : 2016년 근로자 1774만명

상위 1% : 2억 4300만
상위 10% : 1억 797만
중위소득 (50%) : 2424만
전체 평균 : 3359만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04/10 10:38
수정 아이콘
1억이 10퍼센트군요 허허..
꼭 들어가야지~
이쥴레이
18/04/10 10:38
수정 아이콘
임원들은 다빼고 평균내야되지 않을까 합니다.
또 대기업가과 중소기업 나누면 격차는 더 벌어지게 되죠..
18/04/10 10:43
수정 아이콘
근로자에는 임원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이쥴레이
18/04/10 10:44
수정 아이콘
헛 그렇군요. 항상 연봉평균 나올때 임원들도 포함되어 나오는지 알았는데.. 아니군요
임원은 근로자에 포함이 아니군요
코러스
18/04/10 13:23
수정 아이콘
기사를 보면
국세청으로부터 제출받은 '2016년 귀속년도 근로소득 백분위 자료'라고 되어 있습니다.
임원 또한 세법상으론 근로소득으로 처리 되기 때문에 임원 포함 자료로 보는게 맞는거 같습니다.
작은마음
18/04/10 16:21
수정 아이콘
정확히는 등기임원만 포함되지 않습니다.
월급을 받는 임원은 근로자입니다.
Cazellnu
18/04/10 10:49
수정 아이콘
상위 20%의 수입이 전체 수입의 80%정도 될거 같은데
사실상 대기업은 따로 분류하는게 현실성 있는 통계가 되지 않을까 합니다.
18/04/10 10:53
수정 아이콘
근로자 10명 중 1명이 연봉 1억이란 얘긴가요???
Lord Be Goja
18/04/10 10:55
수정 아이콘
피지알에도 많은거 같더군요 교육이나 부동산 정책 관련 이야기에서 저 같은 사람하고는 사고의 배경이 다른분들이 많은거 같더라구요.
18/04/10 10:59
수정 아이콘
10%면 대기업 재작자 전체 숫자랑 비슷하지 않을까 하는 짐작을 했었는데
그러면 대기업은 무조건 연봉1봉이란 얘기가 되서 믿기지가 않아서요 ;;;
다람쥐룰루
18/04/10 18:18
수정 아이콘
연봉1억이 대기업에만 있는건 아니죠...
월급 600대에 수당 성과급 등등 다때려넣고 1억이라고 찍는경우도 많죠
이혜리
18/04/10 11:01
수정 아이콘
대기업 12년 정도 근무 하면 연봉 1억 정도는 얻으니까 아마 빠르면 40살 근처에서 1억은 넘어가게 될 겁니다.
18/04/10 11:07
수정 아이콘
제가 통계를 볼 줄 몰라서 그런건가요?
위에 내용은 혜리님께서 말씀하신 대기업 12년 근로자의 숫자가 전체 근로자의 10%에 이른다라고 읽혀서요 ^^;
18/04/10 11:21
수정 아이콘
근로자 상위 10%의 '평균'이 1억이니까 전부 1억은 아니겠죠
이혜리
18/04/10 11:34
수정 아이콘
1. 근로자 100명 중 한명이 연봉 100억이고 나머지가 0원이면,
어님이 말씀하신 10명 중 한 명이 연봉 1억인가요? 라는 말을 부정할 수 있습니다.
여기까지가 평균의 함정.

2. 그러면 근로자 10명 중 1명이 연봉 1억인가? 라는 물음에 대한 답은,
대기업에서 10년 정도 근무 하면 연봉 1억 근처가 되니, 대기업을 다닌다면 그렇게 큰 금액은 아닌 것 같다.
라고 대답해 드릴 수 있겠네요.
Multivitamin
18/04/10 12:14
수정 아이콘
(수정됨) 사원입사면 10년 근무해도 1억은 안될텐데요? 올해 삼전 하이닉스처럼 ps 빵빵 터지면 가능하려나 싶긴 한데.. 삼전 과장급 1년차 박사(사원부터라 치면 대충 9년차) 연봉이 6000대입다.
슈퍼디럭스피자
18/04/10 13:13
수정 아이콘
그건 연봉계약서에 적히는 기본급이구요. 인센 더하면 1억입니다.
Multivitamin
18/04/10 15:41
수정 아이콘
삼전도 ps 비율이 무선사 등 몇군데만 50% 나와서 억가까이 되고, 10-30% 나오는 다른 부문들은 7000-8000수준이라고 말하고 싶었습니다.
황약사
18/04/10 19:57
수정 아이콘
삼전 다니는 친구놈이 어느해엔가 인센 안나온 해에 아파트 대출 갚을 돈 떙기느라 휘청거렸단 얘기를 하더군요;;
인센티브가 연소득에 차지하는 포션이 꽤 컸다고..;;
회색사과
18/04/10 13:50
수정 아이콘
통계의 연봉은 회사에서 급여로 지급한 총액이라 인센포함이죠
Multivitamin
18/04/10 15:47
수정 아이콘
네. 저도 그건 아는데요, 인센포함해도 삼전 무선이나 반도체 일부 아니면 인센이 10-30% 수준이니 7000-8000 일테고 다른 대기업도 과장 급의 연봉총액이 큰 차이 안나는 걸로 알고 있어요.
황약사
18/04/10 19:56
수정 아이콘
근로소득자 10%컷이 연봉 6천대인걸로 알려져 있는데..
일부 대기업이나 공기업 말고는...그 컷에 못드는 경우도 꽤 많아서요 ;-)
평균내면 1억이란 얘기지만..실제로는 6천대에 훨씬 가깝지 않을까 싶네요..
Multivitamin
18/04/10 11:58
수정 아이콘
통계가 이상한데, 100명중 상위 10명만 모아서 그들만 평균내면 1억이라는 소리인거 같네요.
18/04/10 12:51
수정 아이콘
상위 10%의 평균이 1.1억이니, 100명 중 10등째가 1.1억이라는 얘기는 아니네요.

일단 상위 1% 평균이 2.4억이니,
이들을 제외하고 생각하면 상위 2~10%에 해당하는 사람들의 평균은 0.9억쯤 되겠군요.
18/04/10 12:58
수정 아이콘
상위 2~10%에서도 상위 1~2% 구간은 연봉이 더 높을거고, 상위 9~10% 구간은 상대적으로 낮을테니..
100명 중 10등은 상황에 따라 6~7천대 즈음까지 내려가지 않을까 추정합니다.
삽마스터
18/04/10 10:54
수정 아이콘
중위소득에서 충격받고 갑니다..
김철(33세,무적)
18/04/10 11:37
수정 아이콘
너무 낮아서 충격이신가요? 너무 높아서 충격이신가요?
순수한 궁금증으로 여쭤봅니다.
저 같은 경우는 생각보다 낮다고 생각했습니다.
제 소득이 저거보다 조금 높은 수준인데 저는 제가 중위소득 보다 못 벌거라고 생각했거든요.
삽마스터
18/04/10 12:10
수정 아이콘
저도 낮아서 충격이었어요. 15년전쯤에 사회생활 첨 시작했는데 그때 초봉이 저 통계의 중위소득보다 높았거든요...그럼에도 짜다고 생각했는데
김철(33세,무적)
18/04/10 12:18
수정 아이콘
와...진짜 좀 그러네요...!
미카엘
18/04/10 13:08
수정 아이콘
저게 현실입니다. 실제로 많은 근로자들 수입이 저렇습니다.
따악따악
18/04/10 10:55
수정 아이콘
가랏 파레토의 법칙!!
츠라빈스카야
18/04/10 10:56
수정 아이콘
근로자의 기준이 노조 가입이 가능한, 과장 미만들을 말하는건가요? 어디까지 끊는건지...
18/04/10 11:01
수정 아이콘
저 통계 기준은 모르겠는데, 보통 근로자라 하면 비등기이사 까지도 인정됩니다
콜드플레이
18/04/10 10:57
수정 아이콘
평균의 함정이로군요.
기도씨
18/04/10 10:59
수정 아이콘
연령대별로 많이 차이가 나는것 같더라구요. 30~40대로 줄이면 확 떨어집니다. 너무 스트레스 받지 않아도 될것 같아요.
이혜리
18/04/10 11:02
수정 아이콘
이런건 연령대 별로 봐야하는데,
피지알이야 그래도 연령이 높은 편이니깐 어느정도 감안 하고 보고 상위에 많이 근접하는데
어린 친구들이 많이 보면 어리둥절 할 수 있는 자료라..
Maiev Shadowsong
18/04/10 11:07
수정 아이콘
10프로가 1억을 받고있었다니....

난 대체 ㅠㅠㅠㅠ
18/04/10 11:15
수정 아이콘
웃긴건 연봉 1억도 세명 부양하면 피부로는 중산층정도라는게...
츠라빈스카야
18/04/10 11:18
수정 아이콘
그렇죠. 솔직히 자녀 둘 둔 4인가족 가장 외벌이 연봉 1억이면 솔로 연봉 4천보다 더 가용자산이 부족한 경우도 볼 수 있겠죠.
특히나 그 자녀가 한창 학원 다니게 되는 중고교 시기라면...
18/04/10 11:35
수정 아이콘
맞아요 세금떼면 한달에 700도 안될걸요.. 거기에 연금 개인적으로 안넣을 수 없으니 얼마 또 따로 넣고, 관리비 내고, 통신비 내고, 경조사비 떼고 이거저거하면..
Bluelight
18/04/10 11:53
수정 아이콘
연봉이 그만큼 안되는 분들은 그 이거저거하면 줄여서 한다고쳐도 남는게 더 없죠
츠라빈스카야
18/04/10 12:56
수정 아이콘
지금 1억 솔로와 4천 솔로를 비교하는게 아니잖아요. 1억 외벌이 4인가정이면 그걸 4인이 나눠 쓰게 되니 1인당 가용금액이 연봉이 절반도 안되는 솔로보다 훨씬 적을 수 있다는 말이니까요..
Bluelight
18/04/10 13:07
수정 아이콘
음 전 하나님 위쪽 댓글 맥락을 생각하고 단 댓글은 아니였습니다.

그래도 1억(4인)이 4천(4인)보단 낫지 않냐는 당연한 말이였어요.
비둘기야 먹쟈
18/04/10 11:37
수정 아이콘
인생은 pnl이 아닌 bs인거슬... 연봉은 아무리 높아봐야 10억 아래는 기초 자산이 없다면 모두 중산층
티모대위
18/04/10 11:16
수정 아이콘
좀 이상한 것 같은데... 평균에서 정규분포로 그냥 끊은것 같은데, 상위 10프로가 저렇게 많이 벌것 같지가 않은데요 도저히...
18/04/10 11:20
수정 아이콘
평균의 함정이 위로도 들어가지만 아래로도 들어갈겁니다.

다단계로 통칭되는 인원들도 근로자에 속할거고, 보험영업 등 기타 고정급으로 처리 되지 않는 근로자의 임금도 포함이 되었을 수 있기 때문에...
하위 1%로 가면 근로소득이 10만원 같은 금액도 심심치 않게 보일수 있다고 생각해 봐야죠.

정확한건 통계기준이 뭔지를 봐야하겠죠;
순둥이
18/04/10 11:21
수정 아이콘
상위 10%인 177만4009명은 연평균 1억797만원으로 월소득은 899만원이다.

==> 상위 10%의 연평균 월소득이라는게 상위 0~10%모든 사람의 평균 아닐까요? 10%커트라인의 연평균 소득이 1억900이라면 10명중에 한명이 연봉 1억 1천만원이라는건데 이게 말이 되나요?
18/04/10 11:31
수정 아이콘
상위 10% 지점의 연봉이 1억 미만이기 때문이겠죠
쭈꾸미
18/04/10 11:37
수정 아이콘
공시된 자료상 연매출 4조 수준 대기업 생산직 평균임금이 1억원이 넘는 데도 있으므로, 가능한 수치라 봅니다.
금융, SOC공기업의 연봉도 상여금을 포함하면, 평균이 8천만원 이상인 데가 있는걸요.
18/04/10 11:42
수정 아이콘
상위 10% 지점의 인원은 1억이 아니고, 10% 지점의 평균이 1억입니다.
10%지점은 1억이 아닌 6천만원 전후쯤이 되지 않을까 봅니다.
볼레로
18/04/10 11:46
수정 아이콘
기사 읽어보니 0~10%평균이 맞네요. 여기서도 불평등이 있을테니 상위 1%가 평균을 꽤 올려놨겠네요.
쭈꾸미
18/04/10 11:2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지방기업에 감사를 다니는 지인피셜로, 지방 중소기업은 무덤입니다.
20년 이상 근무해도, 공기업과 대기업 신입사원만도 못한 임금을 받는 경우가 대다수.

저 소득은 다시 자산이나 자식 교육에 재투자되어, 불평등 게임은 이어지겠죠.
불평등. 언젠가 감내 불가능 임계점에 이르리라 봅니다.
이혜리
18/04/10 11:50
수정 아이콘
그 지인과 같은 업계에서 일하고 있는데,
지방 중소기업 그나마도 현대차 3~4차 밴더 급은 상황이 좋습니다만 그마저도 안되는 중소기업들은

대졸초임 연봉 2천 2백 정도 월 실수령액 150내외,
15년 이상 근무한 차장급 연봉이 4천 5백 정도에 실수령액 300 초반입니다.

그리고 이번에 기름집 간 제 후배 놈이 첫 월급 410만원을 받았구요.
18/04/10 23:37
수정 아이콘
20년이상 부장급이 4천이 안되는 저희회사도 있습니다!
직원은 500명이넘는데...
란츠크네히트
18/04/10 11:45
수정 아이콘
상위 1%(17만7400명) 연평균 : 2억 4300만
상위 10%(177만4009명) 연평균 : 1억 797만
상위 1~10% (159만6609명) 연평균: 9300만
연평균 1억이상 : 71만명 (4%; 25명중 1명)
wish buRn
18/04/10 12:51
수정 아이콘
월2천이면 1%에서도 상위권이겠군요.
La La Land
18/04/10 11:49
수정 아이콘
저번에 피쟐에 어떤분이 월200 이하는 결혼하는데 장애가 있는 사람이라 했으니

50프로 이하는 결혼하지 마시는걸로.....?
이혜리
18/04/10 12:25
수정 아이콘
집, 차만 해결되면 월 200은 외벌이 아니라는 전제로 괜찮지만,
만약 서울에서 집, 차가 없는 상태로 월 200이면..... 어쩌면 안하는게 나을지도 몰라요...
손나이쁜손나은
18/04/10 11:52
수정 아이콘
???:연봉1억 팍팍해
우리아들뭐하니
18/04/10 11:56
수정 아이콘
아직 연봉1억은 안되서... 결혼은 안하는걸로.
18/04/10 12:00
수정 아이콘
저게 100명중 10등인 사람이 연봉 1억이라는 얘기는 아니죠. 1~10등까지의 평균이 1억 이라는거지
Multivitamin
18/04/10 12:0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좀 통계가 애매하게 되어있는데, 상위 10%의 평균(대충 상위 5%지점)이 연소득 1억이네요.

정확한 자료에 따르면 - 2016년 기준
http://m.biz.khan.co.kr/view.html?artid=201708161558001&code=920100

1억 이상 근로자 2.8%
8000만 이상 근로자 5.8%
10% 지점 : 6607만
평균연봉 3387만
중위연봉(50%) : 2623만

인것 같습니다.

참고로 대기업 평균은 6521만
중소기업 정규직 평균은 3493만 이라네요
18/04/10 16:01
수정 아이콘
이게 맞는 자료네요.
평균으로 퉁쳐서 사람들 좌절시켰네요.
뚱뚱한아빠곰
18/04/10 12:22
수정 아이콘
저 통계의 10%에 들어가지 못하는 토목 엔지니어링 업계의 임원 대부분은?
답은 탈토다.....
주용용
18/04/10 12:22
수정 아이콘
저래놓고 최저임금 줄이고 낙수효과 외치는건가요?
달달한고양이
18/04/10 12:40
수정 아이콘
저런 이상값.....
완전연소
18/04/10 13:13
수정 아이콘
상위 1% 이내 연봉인데도 연봉 소득이 집값 올라가는 속도를 따라잡지 못하는 웃픈 현실이네요...
18/04/10 13:15
수정 아이콘
평균에 근거한 통계의 맹점이죠.
srwmania
18/04/10 14:02
수정 아이콘
그런데 저 자료의 근로자 기준이 뭔지 궁금하네요. 풀타임 근로자를 말하는건지, 아르바이트 등도 포함한건지...
모집단을 뭘로 잡았느냐에 따라 천차만별로 바뀔 거라서;
황약사
18/04/10 14:23
수정 아이콘
연말정산 하는 자료로 내는 통계일겁니다.
srwmania
18/04/10 16:33
수정 아이콘
(수정됨) 아, 다른 기사를 찾아보긴 했는데, 연말정산하는 사람이 1800만명이나 되나 싶어서 (...)
5월 종합소득세 연말정산 포함 치고는 수가 적고, 직장인 연말정산 치곤 너무 많은 느낌입니다.
Multivitamin
18/04/10 18:58
수정 아이콘
직장다니면 반 강제로 무조건 해야 하니까 1800만은 되지 않을까요? 인구 5000만중 18-60세인구 비중 따지고 그중 직장인 비율 계산하면 얼추 1800만 될거 같네요.
황약사
18/04/10 19:58
수정 아이콘
임금을 지급한 사용자가 국세청에 자료를 제출하니까요 ;-)
18/04/10 14:39
수정 아이콘
아니 그러니까 평균,중간값 말고
결혼하려면 연봉 얼마정도 받고있어야 하나요?

애초에 남자들이 궁금한건 초봉 평균과 초혼 연봉 평균인데
18/04/10 16:08
수정 아이콘
결혼하고 어려움 없이 사는데는 사실 받는 돈이 아니라 가진 돈이 중요해서..
울리히케슬러
18/04/10 14:44
수정 아이콘
중간값이 생각보다 낮네요 3~4천 쯤일줄알았는데
Sentient AI
18/04/10 14:58
수정 아이콘
pgr은 30~50대 남성 고소득자 분이 많으니.. 평균 깎는건 20대~30대초, 60대이상, 40대이상(경력단절) 이구요.
마스터충달
18/04/10 16:33
수정 아이콘
월 200이 '보통'인 건가요?
나제아오디
18/04/10 17:01
수정 아이콘
초봉 기준은 아닐텐데.. 중위 수준이 좀 낮네요;;
황약사
18/04/10 20:01
수정 아이콘
초봉이 아니고 모든 연령대에서 그 해에 받은 돈일겁니다.;
중위 수준이 확실히 낮죠..
초고소득자와 사실상 최저임금 받는 사람...두 부류가 금액균형을 맞추는 거나 마찬가지일겁니다.;
몰아치는간지폭풍
18/04/10 18:07
수정 아이콘
[연봉 수준에 따른 노동자 수 분포를 보면, 연봉 1억원 이상 노동자는 모두 43만명(2.8%)이었다. 이어 8000만~1억원 미만 47만명(3.0%), 6000만~8000만원 미만 107만명(7.0%), 4000만~6000만원 미만 224만명(14.5%)으로 집계됐다.] 라네요...
다람쥐룰루
18/04/10 18:20
수정 아이콘
연봉이라는게 20대도 받고 50대도 받는거라서 이런거 보고 2~30대 분들이 자기 연봉이랑 비교하지 않았으면 좋겠네요
저도 제 연봉이랑 비교하다가 문득 생각이 나서 적어봅니다.
삼겹살살녹아
18/04/10 19:04
수정 아이콘
1억이 10%인건 거의 변함이 없네요
한 10년전에도 비슷한 얘기 들었던 기억이 있는데
황약사
18/04/10 19:59
수정 아이콘
1%컷이 1억 몇천 이고 10%컷은 6천몇백일겁니다.
그 구간안의 평균을 말하는 거니까요 ..
그리고 10년동안 임금소득은 별로 올라가질 않았다고 하더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58787 [유머] 치열한 속보 경쟁. [4] 옥토패스7950 19/07/28 7950
358303 [텍스트] 하나도 웃기지 않은 소소한 경험 [24] 목화씨내놔10247 19/07/22 10247
355685 [게임] 넥슨 매각작업 사실상 백지화 [12] Lord Be Goja10929 19/06/21 10929
349312 [방송] 소득에 따른 30대 남녀의 혼인율 변화.jpg [47] 손금불산입13768 19/04/03 13768
346755 [기타] 20~30대 소득분위별 기혼자 비율 [34] swear8837 19/03/02 8837
340801 [기타] 직장인 소득 통계표 [199] swear15049 18/12/06 15049
335480 [기타] 한국에서 태어난 걸 행운이라 여긴다 vs 그 정도 까진 아니다 [64] 게닛츠10277 18/09/29 10277
325387 [유머] 2016년 근로자 연평균 소득 [85] Leeka14939 18/04/10 14939
319129 [유머] 한국 직장인 1500만명의 실제 수입 [48] Leeka15757 18/01/03 15757
313449 [기타] [한국사] 한국판 펠렌노르 평원의 전투 [26] 키스도사10465 17/09/30 10465
312944 [동물&귀욤] 우리나라에서 양 사육이 많지 않은 EU. [8] 표절작곡가9195 17/09/20 9195
308904 [유머] 외모가 중요한 이유 [28] Paul Pogba17678 17/07/12 17678
308147 [기타] 소득을 키로 나타낸다면? [43] 삭제됨9420 17/06/29 9420
307229 [기타] 노점 순천댁 - 내용추가 [84] tannenbaum13703 17/06/12 13703
302504 [기타] 피지알 여러분께 좋은 소식 전하려 왔습니다. [10] 둥굴레,율무,유자8013 17/03/10 8013
299605 [기타] 군림천하 팬 소환용 단편. 검을 사랑한 사내 [20] 드라고나8864 17/01/22 8864
295878 [LOL] 페이커 갈리오 경기 클전김 버젼.txt(feat.환청) [17] Vesta7730 16/11/15 7730
292669 [유머] 너 왜 소득세 안 냈냐는 질문에 대한 도널드 트럼프의 대답 [59] 사장14675 16/09/27 14675
275739 [기타] 흔한 열도의 도서내용 [14] 좋아요9289 16/05/14 9289
264806 [유머] 피지알러들 스펙이 후덜덜한 이유 [15] Anthony Martial10547 16/02/17 10547
256396 [유머] 장모님의 나라 우크라이나? [33] Anthony Martial15285 15/11/08 15285
244763 [기타] 1917~2007년 소득 증가율 비교 [30] 하정우5009 15/06/26 5009
240455 [유머] 소득양극화 [18] 좋아요7330 15/05/13 733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