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18/01/28 10:29:25
Name JUFAFA
File #1 coding_pic_001.jpg (895.6 KB), Download : 43
File #2 coding_pic_002.jpg (809.6 KB), Download : 19
출처 https://www.playxp.com/sc2/free/view.php?article_id=5592128#!0
Subject [기타] 코딩교육




어설픈 교육보다 훨씬 도움이 될 것 같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01/28 10:30
수정 아이콘
꿀잼이네요
펩시콜라
18/01/28 10:34
수정 아이콘
근데 확실히 도움될거 같네요. 코딩 배운다는거에 의문도 좀 있었는데, 끄덕끄덕하게 되네요
소린이
18/01/28 10:37
수정 아이콘
괜찮네요 잘봤습니다. 명확성, 의사소통, 체계 등 여러가지를 배울 수 있겠어요. 방과 방 사이 라는 레크리에이션 게임도 생각나네요
카롱카롱
18/01/28 10:40
수정 아이콘
커뮤니케이션의 이해?!
강아지멍멍
18/01/28 10:40
수정 아이콘
이게 코딩교육 아니 알고리즘의 본질입니다 레알
영어선생후니
18/01/28 10:41
수정 아이콘
요새 초딩들 코딩 교육 한다는게 저런 내용이라고 들었는데요. 아동학대 아니냐고 욕하니까 현직 피지알러 분이 저런거라고
스타카토
18/01/28 10:42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 교재에는 양치하기와 라면 끓이기가 가장 대표적이죠~
도형그리기도 있는데 이것도 해보면 나름 꿀잼입니다.
VividColour
18/01/28 10:42
수정 아이콘
저 아버지들은 개발자?
염력 천만
18/01/28 10:45
수정 아이콘
크크크
버그!
커피소년
18/01/28 10:45
수정 아이콘
되게 재밌고 괜찮은거 같네요.
18/01/28 10:46
수정 아이콘
저런 사전 시뮬레이션이 머리속이나 문서로 안되서 삽질하는 케이스를 너무 많이 해본.. 레알 중요함
18/01/28 10:47
수정 아이콘
마 아부지 코딩이란건 일단 써놓고 디버깅하는거 아닙니꺼?
피식인
18/01/28 10:53
수정 아이콘
제목 진짜 잘 지었네요.
18/01/28 10:56
수정 아이콘
레알 알고리즘이 별게없고 이런거죠
명세와 구현
염력 천만
18/01/28 11:06
수정 아이콘
근데 여러분 코딩, 구현이 이렇게 어렵습니다
인간이 자연현상의 상식에서 자연어로 설명하는걸 컴퓨터에서 구현하려면 정말 별별 버그가 다나오죠
F.Nietzsche
18/01/28 11:11
수정 아이콘
Bread HaveBreadWithJam(enum jamType) {
if(knife==null) {
throw new noKnifeException();
}
switch(jamType) {
case PEANUT:
jam=new PeanutJam();
break;
case STRAWBERRY:
jam=new StrawberryJam();
}
if(jam==null) {
throw new noJamException();
}
jam.open();
if(bread==null) {
throw new noBreadException();
}
bread.spread(knife,jam);
jam.close();
return bread;
}

DI를 이용한 버전은 아랫분이...
18/01/28 11:13
수정 아이콘
개그콘서트나 코미디빅리그 코너 하나 나왔네요. (이미 있을려나?)
작별의온도
18/01/28 11:21
수정 아이콘
전 괜찮은 것 같아요. 그리고 저런 사고방식을 일상에서 할 줄 아는 것도 중요한 것 같고요. 저게 잘 안 되는 사람들이 다른 사람들에게 이상하게 시켜놓고 왜 제대로 안 했냐고 뭐라고 하고 그러더라고요.
18/01/28 11:26
수정 아이콘
#!/usr/bin/env python3
import Bread

bread = Bread('white')
bread.addJam()
웨인루구니
18/01/28 11:35
수정 아이콘
냉장고를 연다.
코끼리를 넣는다.
냉장고를 닫느나.
요런 유머 느낌이네요
최종병기캐리어
18/01/28 11:40
수정 아이콘
엄마를 부른다

아빠가 땅콩버터와 잼이 발린 식빵을 드시고 싶어한다고 말한다

아빠가 등짝을 맞는걸 본다

FAIL
스타나라
18/01/28 11:47
수정 아이콘
그게 이제 API 부르는거죠.
import "MOM";
MOM help = new MOM();
help;
return 0;
알고리즘은 필요없어! 남이 해주는거면 충분해!
홍승식
18/01/28 12:21
수정 아이콘
크크크크크
Arya Stark
18/01/28 13:24
수정 아이콘
MOM 에서 등장한 Man Of the Match
Janzisuka
18/01/28 11:43
수정 아이콘
국민학교때 GW베이직을 이래서 배웠....아냐...아냐...
사악군
18/01/28 11:48
수정 아이콘
이거 매직더게더링 하면 이해가 잘 될텐데..스택쌓기좀 해보면
18/01/28 12:37
수정 아이콘
스택과 트리거(격발)만 제대로 이해해도 매직 룰의 80%는 이해할 수 있죠.

그리고 룰에 익숙해졌다고 자부하던 어느 유저는 레이어의 벽에 부딪히는데...ㅠㅠ
소린이
18/01/28 12:54
수정 아이콘
매직 저지(심판)입니다. (요새 공부를 너무 안 해서 짤려도 할 말이 없긴 합니다만... ㅠㅠ)

스택쌓기 및 해결과 이 내용은 다른 점이 많다고 봅니다. 스택은 후입선출과 해결, 우선권만 서로 인지하면 큰 문제가 없습니다. 즉 문제 해결에 필요한 룰 이해와 실행의 문제입니다.

그러나 위 내용은 문제 해결에 필요한 기능과 순서들을 함께 고민하고, 어떻게 ' 명확한 언어'로 정의하느냐에 대한 내용이라고 봅니다. 이미 만들어져 있는 룰을 실행하는 수준을 넘어 룰을 만드는 단계에 가까운 것 같아요. 더 고차원적이라 봅니다.
유자농원
18/01/28 11:56
수정 아이콘
다만 스트레스는 적당히 줘야겠죠
18/01/28 12:11
수정 아이콘
수학강사인데 이런것도 재밌어보이네요
특히 문과 애들한테 크크
18/01/28 12:15
수정 아이콘
방송 보면 저 코딩 교육은 처음 나오는 미국 아버지가 고안한 방식이고 밑에는 그걸 따라해보는 거예요.
실제로 저게 교육 현장에 적용되고 있다는 이야기는 없던데요.
Arya Stark
18/01/28 13:25
수정 아이콘
그냥 코딩 교육이라고 했지 교육 현장에 적용 된다는 이야기는 없는데요.
18/01/28 13:29
수정 아이콘
아 댓글에 그렇게 생각하시는 분이 있는 것 같아서요. 방송 봤을 땐 그냥 특수한 교육 방법 정도로 소개된 거라는 이야기였습니다.
지금뭐하고있니
18/01/28 12:46
수정 아이콘
그니까 뚜껑따는것들까지 세세하게 단계별로 쪼개서 명확하게 지시해야한다는 거죠?
dreamtech
18/01/28 12:48
수정 아이콘
코딩 교육을 보면 실제로 언어를 다루는 것에 목적이 있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이런 글도 나온 것 같고요. http://coderlife.tistory.com/132

근데, 스샷에도 나왔지만, (초?중?고?) 코딩 교육의 본질은 사고 능력 고취 정도로도 충분하다고 봐요.
언어는 나중에 배워도 되잖습니까.
신선미 Faker
18/01/28 14:22
수정 아이콘
엑셀 한창 공부할때 알았습니다. 명령과 순서가 얼마나 중요한지...
재미있지
18/01/28 15:13
수정 아이콘
전 이게 커뮤니케이션의 기본이라고 생각했는데 멀리 코딩까지 가는군요..
사람과 대화할 때엔 상대가 어디서부터 어디까지 알고 있는지 모르기 때문에
상대방이 모를 수 있는 부분은 모두 저렇게 상세하게 표현해야 서로가 대화가 된다는 생각을 했는데..

평소에 설명을 잘 한다는 이야기를 듣는 이유가 이거였나봅니다.
오빠나추워
18/01/28 16:52
수정 아이콘
저도 같은 생각 했습니다. 코딩보단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가르치는거라 생각했어요.

업무적으로 메일 나가고 나면 이렇게 쓰면 안된다고 항상 혼나곤 했는데 아 짤을 보니 확 와닿네요.
ComeAgain
18/01/28 17:36
수정 아이콘
피지알에 담당 선도 교원분도 계셨고, 저도 담당 업무를 해봤는데...
위의 이야기 나온 것처럼 코딩을 위한 언어 교육보다는 문제해결능력과 의사소통 능력 등이 중요합니다앙...
열역학제2법칙
18/01/28 19:14
수정 아이콘
제가 왜 글이랑 말에 서툴고 코딩도 못하는지 알 것 같네요 크크
18/01/28 21:29
수정 아이콘
공정관리의 관점에서 보면 버터바른 빵을 만드는
공정에 필요한 WBS와 액티비티를 정의하고, 선후행 관계를 연결한 뒤(알고리즘에) 시간 개념을 넣으면 CPM 방식의 공정표가 됩니다.

예전에 라면끓이기를 예시로 하면서 라면을 끓이는 과정에서 critical path를 파악하고, 공정을 최적화하는 방법에 대해 배웠던 기억이 나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20777 [유머] 진정으로 외침으로 역사가 얼룩진 국가 [20] 라이언 덕후11020 18/01/29 11020
320776 [유머] 여보, 애 학교 가기 전에 머리 좀 묶어줘 [7] 길갈10490 18/01/29 10490
320775 [스포츠] [WWE] 링 위의 깡패.gif [20] 삭제됨7704 18/01/29 7704
320774 [게임] 간만에 복습해보는 고전 짤.jpg [37] 피카츄백만볼트9868 18/01/29 9868
320773 [유머] 직장생활 대참사.jpg [47] 김태동 No.116113 18/01/29 16113
320771 [기타] 러시아식 향수병 치료법 [11] 이호철9738 18/01/29 9738
320770 [스타1] 이영호 대 시청자 유즈맵 컨트롤 대결 [20] 달팽이9207 18/01/29 9207
320769 [기타] 잘못 설계된 인간의 눈.jpg [68] TWICE쯔위24749 18/01/29 24749
320768 [기타] 한국문학 역사 최고의 제목이라고 생각하는 작품 [14] 블랙번 록9808 18/01/29 9808
320766 [기타] 아재가 되고 알게 된 것 [33] swear11469 18/01/29 11469
320765 [LOL] 10문10답 락스편 [1] StarLoL사랑5729 18/01/29 5729
320764 [게임] 이상해풀의 기가드레인! 효과는 뛰어났다! [3] 니나노나5450 18/01/29 5450
320763 [유머] 인공지능 로봇 소피아 방한 [9] 及時雨9345 18/01/29 9345
320762 [유머] 한국말 잘하는 성진국 배우 [24] 호로록호로록20978 18/01/29 20978
320759 [서브컬쳐] 이세계의 화살통 [12] 이호철7182 18/01/29 7182
320758 [유머] 양조위가 알려주는 여자에게 전화 거는 법.JPG [14] 비타에듀12144 18/01/29 12144
320757 [유머] 후쿠야마 마사하루가 알려주는 여자에게 말 거는 법.JPG [14] 비타에듀11368 18/01/29 11368
320756 [게임] 한국인이 한국인캐릭터 골라서 우승했는데 뭐가 문제라도? [8] 진인환9942 18/01/29 9942
320755 [기타] [펌]빙수집 알바 진상모음 [59] 톰슨가젤연탄구이13094 18/01/29 13094
320754 [유머] 만렙행보관 [10] 진인환8434 18/01/29 8434
320753 [유머] 만두 하나 10분안에 먹으면 공짜 [20] 게섯거라10285 18/01/29 10285
320752 [유머] 남자가 오래 못사는 이유.gif [11] 삭제됨9303 18/01/29 9303
320751 [유머] 아파트 1층 근황 [24] 게섯거라12713 18/01/29 1271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