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18/01/27 07:27:47
Name 김치찌개
File #1 1.jpg (1.19 MB), Download : 40
출처 이종격투기
Subject [유머] 정도전 vs 육룡이 나르샤 둘중 더 임팩트 있었던 드라마는?.jpg


정도전 vs 육룡이 나르샤 둘중 더 임팩트 있었던 드라마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미스포츈
18/01/27 07:35
수정 아이콘
정도전 역에 김명민 빼구 전부다 정도전으로통일
18/01/27 07:35
수정 아이콘
둘다 좋았지만... 뿌리깊은 나무랑 이어져서 육룡이 재미가 더 좋았어요 저는
꽃이나까잡숴
18/01/27 07:37
수정 아이콘
야 정몽쥬!!!!!!!!!
말같지도않은소리
18/01/27 07:50
수정 아이콘
왕후장상의 씨가 따로있냐?!!
오징어와 말미잘
18/01/28 19:51
수정 아이콘
옥쇄 이리 갖고 오라!!
Cazellnu
18/01/27 07:59
수정 아이콘
캐스팅은 윗쪽이 낫네요
Pinocchio
18/01/27 08:05
수정 아이콘
전부 정몽주요.
달팽이
18/01/27 08:08
수정 아이콘
둘 다 좋았는데 정도전은 아무래도 용의 눈물이 그 전에 있었고 육룡이 나르샤가 퓨전사극이 주는 재미의 최대치가 아닐까 싶을 정도로 완성도가 높았던것 같아요.
누렁쓰
18/01/27 08:27
수정 아이콘
(수정됨) 육륭의 정도전은 김명민씨의 연기와는 별개로 매력적이지가 못했어요. 매화 밀본에게 한방 맞고 "어이쿠 당했다"하고 분이가 모든 문제를 해결하는 이야기의 문제였지 않나 싶습니다. 전체 배역으로는 주연급은 묵직한 느낌의 정도전, 조연급은 개성있는 느낌의 육룡이 케릭터의 매력에서 앞서지 않나 싶습니다. 드라마 자체로는 나름의 다른 재미가 있어서 둘다 만족스러웠습니다.
카루오스
18/01/27 08:34
수정 아이콘
형니메!
18/01/27 08:42
수정 아이콘
육룡이 재미는 더 있었던듯..
미카미유아
18/01/27 09:19
수정 아이콘
김명민빼고 육룡쪽이 다 좋았네요 전
18/01/27 09:48
수정 아이콘
둘다 미친듯이 본 입장에서 육룡이.
18/01/27 09:53
수정 아이콘
육룡이를 잘 안봤지만 정도전의 최영은.. 진짜입니다.
18/01/27 10:00
수정 아이콘
육룡은 안봐서 모르겠네요. 애초에 퓨전판타지 같은 건 별로 안 좋아해서;
우훨훨난짱
18/01/27 10:06
수정 아이콘
육룡 재밋게 봣네요
StayAway
18/01/27 10:12
수정 아이콘
육룡은 사실상 팬픽이라서 소재만 같지 장르가 아예 다른게 아닌가 싶습니다.
거의 서유기와 날아라 슈퍼보드를 비교하는 꼴이죠.
18/01/27 10:16
수정 아이콘
정도전 압승
18/01/27 10:17
수정 아이콘
육룡은 길태미와 신세경때문에 정도전보다 훨씬 더 재밌게 봤네요
이렇게 비교해보니 거의 모든 캐스팅에서 정도전이 낫긴 합니다.
오'쇼바
18/01/27 10:20
수정 아이콘
"대의에 함몰된 두마리의 괴물만 있을 뿐..."

정도전 압긍~~~~
한쓰우와와
18/01/27 10:30
수정 아이콘
아무래도 정도전이 더 임팩트가 있긴 합니다. 정통사극의 부활이나 현실 정치의 반영, 던지는 메시지 등에서요
예니치카
18/01/27 10:41
수정 아이콘
사실 지향하는 바가 너무 다르죠. 한쪽은 역사 요소를 차용한 무협지에 가깝고 한쪽은 엄근진 정통 사극이니까. 재미는 둘 다 있었습니다.
열역학제2법칙
18/01/27 10:50
수정 아이콘
최영 포스가...
유자농원
18/01/27 11:08
수정 아이콘
정도전 잘만들었지만 육룡 재미있으셨던 분들이 더 많을것같아요 정통사극이 남초웹에서 칭송받긴 하는데 거기서 끝일거라
Mr.Doctor
18/01/27 11:38
수정 아이콘
정도전 진짜 잘 만들고 온갖 찬사를 다 받았지만 현실에서는 시청률에서 기황후에게도 밀렸죠... 또르르
18/01/27 11:34
수정 아이콘
다른건 몰라도 정도전, 이성계, 이인임, 최영은 정도전 쪽에 손을 들어주고 싶네요 특히 박영규 씨 이인임은 인생캐릭터...
18/01/27 11:52
수정 아이콘
박영규 이인임은 역대 거의 하얀거탑 장주녁 급 캐릭터였죠
18/01/27 12:09
수정 아이콘
정도전은 제 역대급 드라마였습니다.
산수탕
18/01/27 13:38
수정 아이콘
육룡이가 전 훨씬 재밌었네요. 서서히 끓어오르는 갈등과 해소가 일품이였어요. 그리고 한국 드라마에 다신 없을 독특한 이방원의 캐릭터!
그란디아
18/01/27 14:08
수정 아이콘
이건 육룡이 나르샤 압승인거 같아요.
설명충등판
18/01/27 14:17
수정 아이콘
화봉요원vs연희무쌍 비교하는 느낌.
18/01/27 15:42
수정 아이콘
임견미 빼고 전부 정도전요
헤르져
18/01/27 16:08
수정 아이콘
김명민빼고 죄다 정도전이요.
먼치킨
18/01/27 17:00
수정 아이콘
전 육룡!

정도전만큼 잘 만든 사극은 전에 용의 눈물을 포함해서 좀 있었지만
육룡이처럼 액션을 이용해서 엔터테이닝하게 만든 사극은 없었던 거 같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20652 [유머] 무시무시한 웹푼 플랫폼의 갑질 [17] 이호철8338 18/01/27 8338
320651 [유머] 스타워즈 에피소드 9 오프닝 타이틀 [11] 공원소년6690 18/01/27 6690
320649 [유머] [코인주의] 코인이 망할 수 밖에 없는이유 [8] 탄야8829 18/01/27 8829
320648 [게임] [WOW] 군단 침공 실패 원인.jpg [6] 돈키호테6542 18/01/27 6542
320647 [기타] [코인주의]역대 비트코인 폭락 원인. [32] 삭제됨11845 18/01/27 11845
320646 [연예인] 미션임파서블6 촬영중 골절당한 썰 푸는 탐형.avi [15] 자전거도둑8092 18/01/27 8092
320645 [유머] 저스틴 또뜨 in 심슨가족 [3] bigname6963 18/01/27 6963
320644 [유머] 두근두근 숙청부 [6] 진인환9692 18/01/27 9692
320643 [유머] 역대급 자동차 광고 [5] 길갈8571 18/01/27 8571
320642 [유머] 한반도가 춥고 덥고 습한 이유.jpg [12] 홍승식11999 18/01/27 11999
320641 [유머] [코인주의] 대박 ICO 정보 가져왔습니다. 세계 최초의 [13] 인생의낭비12414 18/01/27 12414
320640 [LOL] 세체폭.jpg [4] La La Land10752 18/01/27 10752
320639 [유머] 탑툰에 신작연재하려다 트위터 매장당한 작가근황. [44] 삭제됨22315 18/01/27 22315
320638 [기타] 너 죽고 나 죽자.(feat pc방) [28] Scarlet Pleasure23677 18/01/27 23677
320637 [유머] 28주 후.jpg [26] 삭제됨11068 18/01/27 11068
320636 [게임] 서든2에 비해 듀랑고에서 넥슨이 진보한 점 [15] 블랙번 록7832 18/01/27 7832
320635 [서브컬쳐] 이능배틀 작가 신작 '이세계물' 1권에서 하차 [10] 이호철6111 18/01/27 6111
320634 [서브컬쳐] 우마무스메 트레일러 [7] 블랙번 록5013 18/01/27 5013
320633 [서브컬쳐] 경주마 모에화 멀티컨텐츠 '우마무스메' 한국 상표 [8] 이호철6133 18/01/27 6133
320632 [유머] 넥슨이 또 넥슨했네 시즌2.jpg [14] 공원소년8777 18/01/27 8777
320631 [LOL] OGN vs 스포티비 야근대결 [1] Archer5905 18/01/27 5905
320630 [기타] 렛미인의 부작용 [10] 게섯거라11095 18/01/27 11095
320629 [LOL] LCK 3대 탑솔러 [6] 태연이7377 18/01/27 737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