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17/10/29 12:09:07
Name Leeka
File #1 2017_10_29_12_16_33.gif (2.84 MB), Download : 29
출처 인벤
Subject [LOL] SKT vs RNG 롤드컵 4강 최고의 명장면 (수정됨)






3경기 패배에서 큰 지분을 담당했던 뱅이
(미드에서 낚시하다 짤린 그 장면...)

4경기에서 우지를 상대로...

17년 뱅 커리어에서 가장 대표되는 장면으로 남지 않을까 싶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마법사7년차
17/10/29 12:12
수정 아이콘
17년 세체원에 가장 가까이 다가선 우지를 저렇게 때려잡을줄은;;(4세트 한정)
17/10/29 12:13
수정 아이콘
힐이 진짜 한두틱만일찍들어갔어도 살았겠네요 덜
러블세가족
17/10/29 12:16
수정 아이콘
전 우지가 평가에 비해 못했다고 봅니다. 아무리 메이킹 해야한다고 해도 점멸 없는 트위치가 저런 포지션을.. 그리고 이 앞 한타대패때도 본대와 분리되기도 했고..
엘제나로
17/10/29 12:59
수정 아이콘
사실 2경기도 그냥 뱅 울프에 라인전부터 터졌었죠
1경기에서도 유리할떄 너무 앞포지션 잡다가 터지는것도 일상이었고...
트리키
17/10/29 13:46
수정 아이콘
(수정됨) 애초에 우지는 안정감 있는 원딜이 아니죠. 외줄타기하면서 막 들이대는 원딜입니다. 또 지나치게 방심할때도 있고요.
프나틱 전에서도 3세트에서 괜히 타워한테 맞다가 소아즈 나르한테 죽어서 역전당했습니다.
그래서 반드시 1경기는 실수로 게임 내줄 원딜이라고 봤는데 실제로 4세트를 자기 실수로 터트렸죠.

안정감있게 딜하면서도 압도적 딜량을 자랑할 수 있는 원딜이었으면 이미 자국리그에서 우승하고 왔겠죠.
사실 그게 가능한 원딜은 거의 없고 그런 원딜이 나오면 그걸 보통 세체원이라고 불렀죠.
멍청이
17/10/29 13:59
수정 아이콘
맞아요. 일각에선 당대 세체원 대우까지 하던 거에 비하면 한참 모자라더군요.
윤종신
17/10/29 14:04
수정 아이콘
라인전에서의 우위에 비해 이후 한타 운영에서는 제 힘을 발휘하지 못했습니다.
티원이 잘한거라 말할 수도 있겠지만 분명 우지와 알엔지가 날카롭지 못한 부분도 있었죠.
칼리오스트로
17/10/29 14:22
수정 아이콘
몸은 좋은데 머리가 안되는 유형의 선수죠
파괴력은 있는데 간간히 본헤드성 플레이가 나오는게...
토끼공듀
17/10/29 15:24
수정 아이콘
실제로 작년까지 데프트가 중국에서 뛸 때 만년 2인자였죠.

그나마 중국인 프로 중에 세계 탑급에 비빌 수 있는 수준이라 고평가 받은거구요. 북미에서 덥맆이 원탑 소리 듣는거랑 비슷하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덥맆보단 우지가 잘하는건 맞구요.
마이어소티스
17/10/29 16:15
수정 아이콘
저도 하도 난리길래 어마어마하게 기량발전한줄 알았더니 1~5세트 내내 한번도 인상적인 적이 없었습니다. 그나마 3세트 베인 정돈데 그것도 사실 베인이 딱히 뭘 잘했다기보다는 그냥 상성 극복 못하고 두들겨 맞고 있었는데 정신차려보니 미드정글이 바텀과 관계없이 이미 승패 끝내준 구도였고 베인이 앞구르고 그러니까 인상적인거지 사실 어떤 원딜이었어도 프리딜하면서 날뛸 게임이었다고 봅니다.
요슈아
17/10/29 12:21
수정 아이콘
루난도 안 가고 한놈만 팬다 템트리를 간게 결정적인 상황을 만들었...!!!
사나없이사나마나
17/10/29 12:24
수정 아이콘
저거 시야는 누가 밝혀준 건가요?
17/10/29 12:26
수정 아이콘
저때 SKT에서 저 와드를 든게 뱅밖에 없어서 직접 시야를 밝힌거 같습니다.
최초의인간
17/10/29 12:51
수정 아이콘
뱅 한타 딜은 정말 무섭.. 볼때마다 포지셔닝 정말 대단합니다.
17/10/29 12:54
수정 아이콘
지금 다시보니 트위치가 쓸데없이 뒤안돌고 뛰었으면...그래도 죽었을거 같긴 합니다만
꾸르륵
17/10/29 12:59
수정 아이콘
저렇게 딜링넣으면서 밀고 들어가서 앞점멸로 상대 딜러 끊어내고 본인은 살아서 다른 적팀에게 폭딜넣는게
한창 잘할때의 뱅의 트레이드 마크였죠.
17/10/29 13:17
수정 아이콘
어제는 전체적으로 비슷하긴 했죠.
cienbuss
17/10/29 13:26
수정 아이콘
5경기도 케이틀린 포지셔닝 좋았죠. 1경기는 울프 지분이 더 크지만 3경기는 너무 처참했는데 다행히 4, 5경기 결자해지.
17/10/29 13:26
수정 아이콘
우지경기 봤는데 예전 더블리프트처럼 미니언 몰아주기 하던데 팀원 희생이 너무 큰 거 같아요. 향로메타라서 그런가 싶긴 하지만...
17/10/29 13:40
수정 아이콘
근데 향로 메타는 어쩔수가...
솔랭에서 조차도 원딜에게 cs를 노골적으로 밀어주던 메타라 크크
Supervenience
17/10/29 15:24
수정 아이콘
미니언만 몰아주는게 아니라 미드는 갈리오, 탑 쉔해서 아주 그냥 대놓고 우지를 지켜주는 플레이를 많이 한답니다.
SKT는 그걸 반대로 갈리오 가져와서 너희가 잘하는거 막음 & 우리가 너희 특기로 너희 박살내는거 보여줄게 플레이를 했고...
17/10/29 13:50
수정 아이콘
바로 전상황보면 후니 나르가 q를 맞춰서 슬로우가 걸린게 시작이죠. 후니잘했다!
윤종신
17/10/29 14:06
수정 아이콘
저는 그거보다 이전에 후니가 잘리는 구도가 만들어졌을 때 갈리오 영웅출현 - 트위치 점멸 빠짐 으로 이어졌던게 시작인거 같습니다.
Supervenience
17/10/29 14:40
수정 아이콘
이거나 후니 나르 궁대박이나 이미 기세타서 유리한 상태에서 추격하는 구도에서 나오는거라 좀 중요한 장면은 아니었던 것 같습니다. 이것도 이 장면 전에 트위치는 점멸 빠졌고 코그모만 있는 상태였고
네~ 다음
17/10/29 14:49
수정 아이콘
우지가 너무 무리했죠.. 게다가 저렇게 트위치가 포지션 잡는데에 커버 쳐줄 서포터는 잔나나 룰루정도인데 소라카가 붙어있으면 트위치 위치를 광고하는 격이라 소라카도 최소한 떨어져있었는데...

트위치 하는 원딜은 프로라 할지라도 위치잡는 병이 걸리는군요.. 나만그런게 아니였어

진지에 단호박빨고 말하면 저건 명장면이라고 하기에도 아깝습니다.
Bluelight
17/10/29 15:07
수정 아이콘
3경기에서 미드에서 잘린게 낚시하다 그런거였나요?
D.레오
17/10/29 15:35
수정 아이콘
그래도 17년 뱅 최고의 장면은 스프링 kt전이 아닐까요?
17/10/29 15:36
수정 아이콘
애초에 경기보면서 느낀게
우지는 예전모습 그대로였습니다

팀에서 많은 자원을 분배해주고
그만큼 딜로 갚아나가는 전형적인 예전모습

달라진건 메타가 향로라서
과거처럼 여전히 공격적인 포지션을 잡아도
과거에는 어 너 죽어 그러고 바로 짤렸지만
향로메타에서는 그런 우지의 단점을 커버해주고
공격적인 우지를 딜만 넣는 환경을 만들어주기 편했다는거

딜은 가장 잘 넣을지 몰라도 다른건 여전하더군요
17/10/29 15:56
수정 아이콘
꽤 상징적인 장면이었던거 같아요. 계속된 부진과 비판 속에서 3경기도 상대 원딜은 베인으로 승리를 거뒀고.. 팀도 유리한 경기를 무리한 다이브로 휘청거릴때 상대 에이스를 때려잡는 모습. 뱅 개인적으로도 남을만한 장면입니다만 vs kt, vs edg에서 보여준 웜보콤보와 함께 17 skt를 대표하는 장면이 아닐까 싶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76899 [LOL] 라스칼 근황.jpg [2] insane6815 23/04/01 6815
454892 [LOL] 씨맥) 저 mbti요? 저 ISFJ 입니다.jpg [6] insane7129 22/05/25 7129
448836 [LOL] 담원기아의 새 탑 라이너 (낚시) [8] 다시마두장6663 22/02/22 6663
400287 [LOL] 아프리카 프릭스팀 근황 [18] 아롱이다롱이8399 20/10/12 8399
396300 [LOL] 힐교수님이 미드에서 마공점을 쓴 이유 [9] iwyh8989 20/09/02 8989
389472 [LOL] LCK에 합류한 진짜 미모의 아나운서.gif [38] 감별사16437 20/06/19 16437
369568 [LOL] LCK 상위권 미드, 중국 이적 가능성 있어? [29] 감별사6874 19/11/20 6874
369481 [LOL] 낚시 찌라시들 근황 [12] 키류8455 19/11/19 8455
366535 [LOL] 이번 롤드컵에서 기대치에 비해 매우 참담하게 끝난 리그.JPG [43] 신불해11988 19/10/18 11988
355968 [LOL] 어쩌면 100도둑 떡상에 가장 주효했던 피드백 [8] 비역슨8178 19/06/24 8178
354322 [LOL] LPL 서머 첫날부터 등장한 유미 [22] 김티모7748 19/06/01 7748
315108 [LOL] SKT vs RNG 롤드컵 4강 최고의 명장면 [29] Leeka8772 17/10/29 8772
312874 [LOL] 홍콩 애티튜드 스크림 전적 유출 (수정) [23] The Variable9038 17/09/19 9038
309026 [LOL] 우리 팀 원딜이 베인을 픽했을때.txt [72] 노예10564 17/07/14 10564
294472 [LOL] 2013, 2016 롤드컵 4강 5세트 공통점(feat.페벵듀오).txt [29] Vesta10415 16/10/22 10415
294017 [LOL] 오늘 피넛 인터뷰 [6] 빠독이8344 16/10/16 8344
293949 [LOL] 예언가 몬테 [8] Leeka6050 16/10/15 6050
257776 [LOL] 돌아온 탕아 [7] 엘에스디6042 15/11/21 6042
253276 [LOL] 낚시왕 페이커 [13] 하늘기사7019 15/10/10 701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