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17/09/10 22:21:26
Name swear
출처 1차: 디시인사이드 도서갤러리 2차: 에펨코리아
Subject [기타] 소설가 황석영이 말하는 이문열
524ebbddf4df614a825e8fab334b9311.jpg




내가 이문열을 처음 만난 것은 1982년 대구에서였다.

당시에 고은 시인이 광주항쟁 이후 이른바 '김대중 내란음모사건'의 연루자로서 대구교도소에서 복역중이었다.

사건은 별게 아니었지만 일반면회가 금지되어 있던 당시에 동료를 격려한다는 차원에서

문인들과 언론인, 교수 등이 어울려 대구에 몰려갔다.

마침 대구에는 영남대학교를 비롯해 계명대 경북대 등지에서 교수직을 하는 지인들과 문인들도 많아서

형식적인 재판이 끝난 뒤에 술집에 모여보니 삼십 명이 넘었다.

나도 광주에서 송기숙과 함께 갔었고

마침 석방되어 있던 김지하와 이시영 조태일 박태순 이문구 염무웅 김종철 등등 여럿이 있었다.

이튿날까지 술자리가 계속되었는데 오후 뒤늦게 이문열이 대구의 기자들과 함께 찾아왔다.

나는 그가 민음사에서 '사람의 아들'을 냈다는 것은 들어 알고 있었지만 그 이상의 활발한 창작을 하고 있는 줄은 몰랐다.

나는 지금도 그렇지만 문단에서 일어나는 일이나 다른 작가들의 작품에 대해서 무심하게 지나쳐버리는 버릇이 있었다.

술자리가 질펀해지고 있었는데 이문열 청년이 술이 올라서 김지하와 더불어 이야기를 했다.

이문열은 '삼국사기의 역사적 관점이 글렀다고 그러는데 문장은 고문 중에서 가장 좋다'라고 말했다.

무슨 얘기인지 들으면 대충 뜻을 알 만한 말이었다.

거기에 덧붙여 서예 얘기를 나누다가 이문열이 '이완용은 매국노였지만 당대의 명필이었다는 점은 인정해야 한다'고 했다.

듣다못하여 나도 취한 김에 '야 이 사람아 그러면 일본군 총 맞아 죽은 동학농민군 돌쇠가 죽으면서

이완용은 명필이다 외치고 죽겠냐' 그랬던 기억이 난다. 김지하가 '니가 서예에 대하여 뭘 아냐'고 하자

나는 홧김에 '니가 배웠다는 미학이 경성제대 창설 이래 가장 쓰잘데기없는 학문이라는 건 안다'고 대꾸했고

술자리는 파장이 되었다.




나는 이문열에게 '이제 시작하는 모양인데 모든 건 자기 선택의 문제' 라고 말했다.

나는 애초에 논쟁적인 사람이 아니다.

공격받고 오해되는 일이 있어도 그냥 흘려버리고 잊는다.

이문열이 80년대 이래로 치열한 상황이 벌어질 때마다 체제의 편에 서서 여러 가지 주장을 하는 것에 대하여

그러려니 하고 넘어가곤 했다.

솔직히 게을러서 그의 작품들은 거의 읽을 인연도 없었다.





내가 방북하고 베를린 거쳐서 뉴욕에 체류하고 있을 무렵이었다.

아마도 1992년이었다.

어느날 이문열이 뉴욕에 왔다면서 내게 전화를 했다.

나는 외롭던 시절이고 문인이 해외에서 나를 찾은 것도 오랜만이라 반가웠다.

그래서 부근에 사는 동창에게 천 불을 꿔가지고 맨해튼으로 나갔다.

아무리 망명자 신세라지만 내가 선배이니 마땅히 술은 내가 한잔 사야겠다는 허세였다.

술이 몇 잔 돌아간 뒤에 이문열이 언제 귀국할 거냐고 물어 왔고

나는 그냥 때를 보고 있는 중이라고 대답했다.

이문열은 동구권의 붕괴와 함께 북한체제의 불합리성에 대해 격렬하게 얘기를 꺼냈다.

나는 무덤덤하게 듣고 있다가 나도 이형과 같은 생각이라고 대꾸했다.

북한은 사회주의의 본질에서 멀어졌고 실상 군사파시즘의 모습을 띄는 독재체제라고.

이문열이 물었다. 그럼 왜 방북했냐고.

나는 언제나처럼 '민주화와 통일은 한몸이다. 우리 사회의 민주화가 성숙되는 것이 북한을 변화시킬 수 있는

힘이 되며 그것이 평화적 통일의 길이다' 라고 대답했다.





우리가 피차 술이 좀 취하고 나서 이문열이 문득 월북한 아버지 얘기를 꺼냈다.

나에게 북한을 통해서 좀 알아봐 줄 수 있겠냐고 부탁했다.

나는 생각한 바가 있어서 언제 뉴욕에 다시 오느냐고 물었더니 일주일 뒤에 온다고 했다.

그럼 그때 연락하라고 일어둔 뒤 뉴욕 UN으로 파견된 북한대표부에 전화를 걸어

이문열 부친의 월북 시기와 인적사항을 적어서 팩스를 넣었다.

좀 기다려보라더니 사흘 뒤에 답변하는 팩스와 전화가 차례로 왔다.

팩스에는 이문열 부친의 간단한 이력과 가족관계가 적혀 있었고 생존해 있는 현주소도 나와 있었다.

일주일 후에 이문열이 뉴욕에 왔을 때 그 팩스를 보여 주었다.

나는 지금도 기억한다.

이문열의 부친 이원철은 북한에 가서 전공을 농업경제사가 아닌 수리공학으로 바꿨다.

그는 남로당에 대한 숙청에서 살아남을 수 있었을 정도로 대단히 유능한 지식인이었다.

원산의 어느 공업대학에 직을 얻었고 재혼하여 오 남매를 두었다.

종이에는 이문열의 배 다른 아우들 이름과 직업과 나이가 길게 나열되어 있었다.

그것을 들여다보고 있던 이문열은 고개를 돌리더니 갑자기 무너지듯이 허리를 굽히고는 흐느끼기 시작했다.

나는 그 처절한 모습을 차마 보지 못하여 고개를 돌리고 눈시울을 닦았다.

한참 뒤에 격정의 파도가 가라앉고 이문열은 술 한 잔을 넘기고는 웃음을 지으며 말했다.

'영감쟁이, 우리 어머니는 진작 당신이 재혼할 줄 알고 있습디다'

나는 베이징 북한대사관에 오면 아버지와 통화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북한의 낚시일 수도 있다.

라고 말해주었다.

이문열은 힐난조로 '황선생, 그러다가 어떻게 귀국하려고 그럽니까. 왜 월북 권유를 하고 다니쇼?'라고 말했다.

나는 그런 일도 없고 그럴 사람도 아니라고 대답할 뿐이었다.

그러고는 이 모든 분단의 억압에서 놓여나고 싶었다.

문학에 대한 노심초사도 벗어버리고 익명의 망명자로 살아가고픈 생각도 들었다.

그때까지 나는 미국의 망명 권유를 마다하고 무국적자로 체류하고 있었다.

그 이후부터 이문열의 모든 상처와 그늘은 내 것처럼 받아들여졌다.

누가 의도적으로 이문열을 어떻게 생각하느냐 내게 물으면 나는 대답했다.

'그는 전쟁 때 폭격으로 불바다가 된 거리에서 손을 놓친 아우 같다' 라고.

아, 그리고 나는 뉴욕에서 이문열과 헤어지기 전에 말했다.

이제는 당신 아버지를 용서하라고.

그때 아버지는 당신의 아들뻘이었고 훨씬 미숙했던 젊은이었다고.






내가 한국에 와서 구속되었을 때 이문열은 나의 석방 촉구 성명서에 서명해 주었을 뿐만 아니라

집회에 나와 연설하는 일에도 흔쾌히 나서 주었다.

이문열이 그러한 종류의 일에 동참한 것은 그 이전에도 그 이후에도 없었다.

이문열은 면회 올 때마다 자신의 책들을 한 아름씩 들여주고 갔었다.

그래서 나는 그제서야 이문열의 작품들을 읽었다.

사람의 아들.

젊은 날의 초상.

영웅 시대 등.






내가 석방된 뒤에 이문열은 논객이 되어 좌충우돌 논쟁을 벌이고 홍위병 사건으로 그의 책들이 화형대에 오르기도 했다.

나는 분노하여 반문화적 처사라고 입장을 밝혔지만 그래도 이문열에게 전화를 걸어 정치 칼럼은 그만 쓰고 소설만 쓰자고 했다.



언제부턴가 언론에서는 진보 보수를 갈라서 선정적으로 이문열과 나를 나란히 올려서 상징화했다.

나는 그것이 불편했고 이문열과 정치적인 맞수로 취급당하는 게 싫었다.

나는 이문열이 그놈의 물귀신 같은 '이념의 덫'에서 놓여나 자유롭게 휴머니즘의 대 벽화를 완성하기를 바랐다.

우리는 나름대로 한 시대 독자들의 사랑을 받았고 우리가 누린 모든 영욕도 그들이 준 것이 아니었던가.






나는 이문열의 관념 과잉인 듯한 계열의 작품들보다는 그의 자전적 요소가 엿보이는 '하구'같은 성장소설에 끌린다.

솔직하고 풋풋하며 잔잔한 감동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그 소설의 '인생파'다운 수수함이 여운을 길게 남긴다.

언제나 그러기를 바랄 수는 없지만 가끔씩은 이렇게 순정하고 비틀리지 않은 사람 사는 이야기가 담긴 소설을 읽고 싶다.

이문열은 원래 그런 사람일 것이다.





ps. 사상을 떠나서 글 자체는 두 분 다 참 잘 쓰는 분들이시긴 하죠..
그나저나 이런 글도 잘 읽히게 쓰시긴 하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09/10 22:22
수정 아이콘
저도 다른 곳에서 읽었는데 너무 잘 읽혀서 신기하더군요. 역시 대가는 뭔가 다른 것 같아요.
17/09/10 22:24
수정 아이콘
네..흐흐 역시 잘 쓰인 글은 어렵게 읽히는 글이 아니라 누구나 알기 쉽게 읽히는 글이 아닐까 싶습니다..
Otherwise
17/09/10 22:29
수정 아이콘
공감합니다
치토스
17/09/10 22:30
수정 아이콘
저도 그 느낌이네요. 개인적으로 뻔한 이야기는 그냥 스킵 해버리는데 이렇게 잘 읽히다니 허허..
오직니콜
17/09/10 22:37
수정 아이콘
뭔가 짧지는 않은글인데 한호흡에 다 읽혀지는 느낌이랄까요
사악군
17/09/10 22:30
수정 아이콘
좋네요. 좋아요.
루크레티아
17/09/10 22:33
수정 아이콘
사실 시대를 막론하고 문인들이 그 세태를 가장 열정적으로 이해하려고 드는 사람들이었죠.
만년의 이문열이 다시 순수 글쟁이로 돌아왔으면 하는 바람이 있지만 힘들겠죠. 월북한 부모를 둔 엘리트의 정신적 아픔이 엄청났을테니 이문열이 가끔 뻘소리 해도 저 사람은 어쩔 수 없겠다는 생각이 종종 들곤 했습니다.
다크 나이트
17/09/10 22:36
수정 아이콘
근데 그걸 이해해줄 필요도 없죠.
그런 사연 있는 사람들이 한 둘도 아니고... 뻘소리가 한두번도 아니고... 자기가 싸는거에 대해서 돌아오는 것은 당연한지라 어쩔수 없다란 것도 변명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무무무무무무
17/09/10 22:47
수정 아이콘
삼국지만 안썼으면 좋았을텐데 참....
즐겁게삽시다
17/09/10 22:49
수정 아이콘
[그는 전쟁 때 폭격으로 불바다가 된 거리에서 손을 놓친 아우 같다]
캬..... 이건 뭐;;;
bemanner
17/09/10 22:49
수정 아이콘
이 사람이 이러고 다니는 것도 사실은 이런 사정이 있어서 그런거다- 라는 말을 이렇게도 쓸 수 있다니 놀랍네요.
차오루
17/09/10 22:57
수정 아이콘
사실 이념이야기하면 황석영은 흠...

무단방북도 여러차례하고 대놓고

[“주체사상은 인간의 창조성과 자주성을 으뜸으로 보는 사상이며 사랑과 평등을 구현하는 사회적 생명체다”, “金日成 주석은 을지문덕 이순신 세종대왕처럼 우리 역사상 위인의 한 사람이다”]

이딴 소리하고 다닌 인간인데 당시 시대상이 그랬다지만 참 헛소리를 꽤나 하고 다니셨던 분이라
오히려 이문열보다 더한 사람으로 생각합니다. 저는.

운동권의 열화와 같은 지지의 바탕이 민주화 운동이나 518참상 고발이 아니라 친북적 행보에서 비롯된 분인지라

그와는 별개로 그의 작품의 문학적 가치를 폄하하고 싶지는 않습니다만 사상적 극단성이랄까 정치성이랄까
드러낸걸 보면 이문열도 장난수준이죠.

나중엔 이명박을 지지하는 행보를 했습니다만 아직도 김일성 빨고 북한한테 돈받은 사람이
전혀 그것에 대해서는 잘 비판받지 않는 모습이 의아합니다.
누가 있을까
17/09/10 23:21
수정 아이콘
결국 징역도 살았고 518참상 고발로 지지를 많이 받은 것도 맞지않나요?
통일운동에 관심이 많은 건 알겠는데 어떤 부분이 사상적으로 극단적인지는 원체 이해가 가질 않네요...
김일성 찬양 발언은 쉴드를 칠 순 없지만 평양가서 만난 김일성 앞에서 립서비스 친걸로 이해하면 될 것 같네요...
오히려 이명박 정부때 변절자로 불리면서 욕먹던 것 생각하면 이런 비판은 또 신선하네요...
나무위키
17/09/10 23:08
수정 아이콘
막연히 이문열에 대해 곡학아세하는 서정주같은 사람이라 생각했는데, 이 글을 보니 오히려 안쓰럽게 느껴지네요.
17/09/10 23:10
수정 아이콘
이상한 놈 맞는데, 서로 이해가 맞았다 라는말을 길게도 썼네요.
돈키호테
17/09/10 23:14
수정 아이콘
문장력에 감탄하고 갑니다...
누가 있을까
17/09/10 23:14
수정 아이콘
황석영 삼국지 vs 이문열 삼국지 어떠셨나요
저는 이문열 삼국지가 좀 더 재밌더군요
17/09/10 23:18
수정 아이콘
저는 이문열 꺼만 읽어봐서 평가하기가...흐흐
방민아
17/09/10 23:57
수정 아이콘
전 다 좋았습니다. 어차피 소설인데요 뭐.. 정사니 연의니 pgr에 올라오면 열심히 잘 읽긴 하지만요.
17/09/10 23:34
수정 아이콘
예전에 이글 읽고 이문열을 이해하려다가 초한지 서문이 너무 유치해서 확 깼던 기억이 나네요
요르문간드
17/09/10 23:39
수정 아이콘
이문열이 이렇게 된 원인은 결국 아버지와 북한에 대한 트라우마라는걸 보여주는 글이네요.
유애나
17/09/10 23:58
수정 아이콘
['삼국사기의 역사적 관점이 글렀다고 그러는데 문장은 고문 중에서 가장 좋다' 무슨 얘기인지 들으면 대충 뜻을 알 만한 말이었다.]
여기 무슨 다른 숨은 뜻이 있나요? 읽다 궁금해지네요.
계란말이
17/09/11 00:02
수정 아이콘
와..그냥 글만 놓고 보자면 글의 수준이 다르네요. 어떻게하면 이런 글을 쓸 수 있을까요..
Biemann Integral
17/09/11 00:16
수정 아이콘
뭐야. 왜키 잘읽혀... 글 잘 쓴다는게 이런거죠.
장경아
17/09/11 01:24
수정 아이콘
흠 중간에 내릴수 없는 문장들이 가득하네요 결론이 예상한 바와 전혀 달라서 기분이 약간 언짢네요
조시라이언
17/09/11 02:00
수정 아이콘
피지알의 누군가에게 보여주고 싶은 글. 내용 말고 글.
아이군
17/09/11 02:28
수정 아이콘
헐..

저 개인적인 이문열에 대한 생각은
'사상이 인간을 좀 먹으면 어떻게 되는가'
입니다.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은 정말 대단한 소설이라고 생각합니다만.... 선택은 진짜... 저 개인적으로 참 기념비적인 작품이었습니다. 작품의 탈을 쓴 물건이 무협지나 만화책보다 못할 수도 있구나 뭐 이런 느낌..

그 후로는 신경껐습니다. 소설가가 소설을 못 쓰는데 뭐 답이 있나요...
엘룬연금술사
17/09/11 10:31
수정 아이콘
황석영에 대해 인간으로써의 평가를 배제하고, 이 글만 보면 이 사람이 왜 그렇게 많은 독자들로부터 사랑받았는지 알겠네요. 첫 문장을 읽어나가는 순간부터 훅하고 빨려들어가 정신차려보니 글이 끝났네요. 몰입도가 사기 수준...
17/09/11 10:40
수정 아이콘
아니 이런글이 왜 계속 읽어 지나요???
평소에 책 한페이지도 버거운데..
D.레오
17/09/11 15:20
수정 아이콘
진짜 대가가 쓰는 글은 뭔가 다르네요..
헤나투
17/09/11 18:00
수정 아이콘
와... 신기할정도로 잘읽히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12874 [LOL] 홍콩 애티튜드 스크림 전적 유출 (수정) [23] The Variable9027 17/09/19 9027
312782 [기타] 손은 눈보다 빠르다 [11] 한박10478 17/09/16 10478
312395 [기타] 소설가 황석영이 말하는 이문열 [31] swear14604 17/09/10 14604
312389 [서브컬쳐] 100km 걷기 성공의 보상 [43] lenakim15470 17/09/10 15470
312243 [기타] 100km 대장정 결말 [10] legend11759 17/09/08 11759
312197 [서브컬쳐] [트위치]머빠야에 이은...... [53] 파쿠만사11878 17/09/07 11878
311962 [유머] 낚시하다 월척이..! [17] swear9661 17/09/03 9661
311167 [유머] 아니 왜 동영상재생이 안되지 [4] 익금불산입5469 17/08/21 5469
310406 [유머] 달려나 하니 근황.jpg [4] 아라가키12594 17/08/06 12594
310124 [동물&귀욤] 낚시&돔하면 생각나는 그 음식 [10] 소주7911 17/08/01 7911
309755 [유머] 4차산업혁명 [11] PT del Sol7527 17/07/26 7527
309026 [LOL] 우리 팀 원딜이 베인을 픽했을때.txt [72] 노예10545 17/07/14 10545
308796 [유머] 진정한 낚시 [8] 성소6986 17/07/10 6986
308290 [유머] 배기음 낚시 크크크크 [6] 마스터충달6723 17/07/01 6723
306506 [게임] 무지막지한 고퀄 낚시 [12] 이호철8869 17/05/29 8869
306473 [서브컬쳐] 여동생이 원조교제를 하는 것 같다 [17] lenakim18628 17/05/28 18628
305848 [유머] 이 사이트는 무료로 치료해줍니다. [20] 길갈11856 17/05/16 11856
305629 [기타] 한양대가 이걸...? [52] Fin.16405 17/05/11 16405
305485 [유머] 과학시험에서 나온 낚시대를 사용하는 이유 [7] Fin.6997 17/05/08 6997
305440 [게임] 검은사막을 접은 이유 [71] 냥냥슈퍼17757 17/05/07 17757
304528 [연예인] 낚시춘추 5월호 표지모델 [24] 닭장군12354 17/04/17 12354
303335 [게임] 낚시하나 없는 정정당당한 슈퍼마리오 메이커 맵 [24] ZeroOne9284 17/03/25 9284
301270 [동물&귀욤] 고양이를 릴 낚시로 낚아보자! [10] 홍승식6546 17/02/19 654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