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16/04/19 20:53:38
Name 다크슈나이더
출처 유투브
Subject [스포츠] 272302 게시물 참조....그룹B....


5:16 쯤 관객들이 도로위를 점거하고 있다가 물러나는 모습이 보입니다.



쉴세없이 양발로 클러치 브레이크 엑셀을 넘나드는 컨트롤을 볼 수  있습니다.

첨언한 나우위키에서 기술되어 있는 그룹B..

3. 흑역사가 된 Group B



WRC의 흑역사로는 80년대의 그룹 B를 들 수 있다. 물런 모든 면에서는 좋은 점도 있었으나 FIA의 관리 부실과 메이커의 치열한 경쟁이 비극을 불렸다. 70년대에서 80년대 초까지 WRC는 Group 4/Group 2/Group 1의 세 가지 클래스가 있었고, 이중 최고봉이었던 Group 4는 연산 400대만 가능하면 호몰로게이션 취득이 가능했다. 특히 당시 우승을 휩슬던 란치아의 스트라토스는 이전의 랠리카와는 전혀다른 모습에 엔진은 6기통 페라리제 엔진을 사용하여 랠리계를 독점하였으며 이에 FIA는 기술의 발전에 따라 메이커는 개조 규정을 더 풀어주기를 원했다. FIA 역시 더 많은 메이커의 참전과 더 박진감 넘치고 재미있는 경기를 위해 82년 Group B를 신설한다.[17] 이 Group B는 연산 200대만 되면 호몰로게이션 취득이 가능했고, 차량 개조에 거의 제한을 두지 않은 상황이었다. 이러다 보니 공차중량 1톤 미만의 차체에 500마력[18]을 넘나드는 엔진출력을 가진 괴물들[19]이 레이스에 투입되었는데, 타막(포장된 도로)보다 접지력이 훨씬 떨어지는 그레블(자갈로 된 도로)에서도 제로백 3초 미만의 무시무시한 성능을 보였지만 동시에 인간의 한계를 넘어서는 컨트롤을 요구하는 그야말로 미친 차량들의 시대가 열려버렸다. 4회 WRC 월드챔프 J.칸쿠넨은 Group B를 간단하게 한마디로 정리했다. "So Much Power.".그래도 감이 안 잡힌다면 쉽게 말해 구불구불하고 접지력이 떨어지고 길폭이 좁은 곳에 람보르기니급 레이스카를 갖고오고 슈마허를 뛰어넘는 컨트롤을 요구하는, 그야말로 인간임을 포기한 그룹이었다.

82년 WRC 최초의 풀타임 4WD 머신 아우디 콰트로가 투입된 것을 필두로 83년 아우디 콰트로와 란치아 037이 본격적으로 Group B에서 혈투를 시작했다. 84년에는 여기에 푸조 205 T16이 가세, 85년 푸조가 매뉴팩처러즈 챔피언을 거머쥔다. 아우디는 콰트로의 축간거리를 줄여 타막에서의 강렬한 언더스티어를 개선한 스포르트 콰트로를 준비했고[20] 더이상 후륜구동으로는 승부가 어려운 란치아는 86년 시즌부터 037을 대체할 새 모델을 제작하는데 그것이 Group B의 운명을 갈라버린 전설의 차량 란치아 델타 S4이다.

란치아 델타 S4는 란치아 최초의 풀타임 4WD 랠리카이자 980kg의 공차중량에 터보차져와 슈퍼차져를 동시에 장착하여 터보랙을 보완하였으며 최고출력 480마력을 뽑아내나 리미터를 해제하면 1000마력까지 가능한 Group B다운 차량이었다. 오죽하면 숲속의 f1머신이라고 불리었을 정도이니 아우디는 여기에 맞서 스포르트 콰트로에 에어로파츠를 손본 스포르트 콰트로 S1을 86년 시즌에 투입했고 푸조 205 T16과 포드 RS200, MG 메트로 6R4, 르노 5터보, 시트로엥 Bx가 운명의 86년 시즌을 시작했다.

첫 사고는 포드 RS200이 일으켰다. 그때 갤러리들은 안전의식이 전혀 없어서, 뒤가 미친듯이 흔들리는 차들을 손 뻗으면 닿을 거리까지 근접해서 구경했다. 차가 오면 다가가는 것이 아니라 주요 길목을 사람들이 가득 매우고 있다가 차가오면 좌우로 벌어져서 차가 겨우 지나갈 틈을 만들어 주는 것이었다. 레이서들 또한 사람 사이를 속도를 전혀 줄이지 않고 질주했다.(즉 코너를 제외하고 엑셀을 밟은채 브레이크 조작은 하나도 없었다는 거다)독일의 전설적인 드라이버인 발터 뢸의 신들린 주행을 찍은 온보드 캠이 유명하다. 그 당시 레이서들의 심리적 부담이 어느 정도였는지 상상도 안 간다. #한 번 보자.

문제는 3전 포르투갈 랠리에서 컨트롤을 상실한 포드 RS200이 이렇게 코스에 바짝 붙은 관중을 덮쳐 3명이 사망하고 약 30명이 중상을 입는 참사가 벌어진 것이다. 일단 이때까지는 그대로 시즌이 진행되었으나 운명의 5전 프랑스 Tour de Corse[21]. 병에 걸려 정신이 오락가락하던 드라이버 헨리 토이보넨이 랠리에서 1승이라도 더 얻기 위해 프랑스 랠리를 그대로 강행하다가 그의 란치아 델타 S4가 코스를 이탈하며 절벽으로 추락해 폭발, 드라이버와 코드라이버 모두가 소사해서 흔적도 없이 사라지는 참극이 벌어졌다. 사고가 일어난 현장에는 #자동차의 불타버린 섀시와 롤케이지 말고는 아무 것도 없었다.

이렇게 인간의 능력을 초월해버린 Group B는 결국 이 두 건의 사고로 말미암아 86년 시즌을 마지막으로 폐지, 87년 시즌부터 호몰로게이션 취득 기준을 5천대로 올리고 각종 안전규정과 개조 제한규정을 둔 Group A가 신설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

그래도 인터넷 여기저기엔 Group B를 그리워 하는 양덕들이 즐비하다. 이들은 '도로 안까지 들어온 구경꾼이 멍청이들'이라는 이론을 고수하며, 출력이 Group B에 비하면 심영이 되어버린 현재의 WRC를 못마땅해 한다. 대부분 Group B 사고는 자동차가 컨트롤을 잃거나 운전자의 과실이였지만 알 게 뭐야 이들은 현재의 WRC를 Group B에 비하면 애들 장난이라 비하하지만 실제로는 기술의 발전과 드라이버 기량의 상향 평준화로 같은 구간 기록을 비교해보면 현재 WRC 경주차가 Group B 시절의 기록보다 훨씬 빠르다. 출력은 떨어졌지만 전체적인 경기 페이스와 코너링 스피드는 비교할수 없이 올라갔다. 최근 랠리카와 비교하자면 트랜스미션부터 다르며 당시는 5단 H패턴이었으나 WRC카는 시퀀셜 자동화 수동 변속기다. 또 최대 토크는 WRC카가 더욱 높으며 전자제어 디퍼런셜은 그룹 B의 원시적 디퍼런셜과는 차원이 다르다. 그리고 브레이크도 8피스톤 디스크 브레이크라서 감속 성능이 뛰어나다. 그룹B가 우월한 점이 있다면 최대출력 밖에 없으니 코너링이 많은 코스에는 현세대 WRC 차량이 훨씬 우월하다. 출력도 사실 엔진 리미터 해제하면 똑같아진다.

여담이지만 Group B의 관뚜껑에 못질을 해버린 란치아 델타 S4는 총 20대만 만들어젔으며 현재는 10대 정도 남아있다고 추정된다. 불쌍한 건 란치아가 이 차를 흑역사와 같이 대한다는 것이다 Group A의 규정에 맞추어 성능을 다운시킨 란치아 델타 HF 인티그랄레를 만들어 87년 Group A부터 WRC에 출전시켰는데, 란치아 델타 HF 인티그랄레는 87년부터 내리 6년동안 WRC를 제패하며 델타 S4와 다른 의미에서 전설이 된다. 이 차는 웬만한 모터쇼에서는 늘 란치아 부스에 전시 되어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이진아
16/04/19 21:06
수정 아이콘
아래 게시물을 보니 82~86년까지 사고가 두건이라는게 더 대단하게 느껴지네요;
마나나나
16/04/19 21:50
수정 아이콘
무게가 980인데 리미터 해제하면 1000마력 크하하하하 무슨 소년 만화 찍나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98167 [스포츠] 더 락, 언더테이커. 1999년 vs 2024년 초크슬램 [27] 매번같은3929 24/04/08 3929
490043 [스포츠] ??? : 내가 전성기면 UFC 놈들 쓸어버렸다 [15] 비타에듀10193 23/11/12 10193
477076 [스포츠] ??? : 솔직히 ... 1년더 언더독 해야한다고 생각해요 [19] Rated9925 23/04/04 9925
458166 [스포츠] 고전)분데스리가 뉴비들을 위한 응원팀 고르기 [27] 실제상황입니다5800 22/07/15 5800
457396 [스포츠] Ufc에 등장하는 언더테이커 테마와 의상 [5] 보라도리4725 22/07/03 4725
455989 [스포츠] WWE) 빅쇼를 참교육(?)한 브록레스너.TXT [3] 비타에듀4922 22/06/12 4922
454679 [스포츠] 김병현이 언더스로우로 던지게 된 계기 [11] 니시무라 호노카7642 22/05/22 7642
382181 [스포츠] [wwe][레슬매니아 스포일러] 존 시나 턴힐....? (움짤) [11] 예니치카7840 20/04/06 7840
382081 [스포츠] WWE(스포) 레슬매니아 1일차 메인이벤트.jpg [14] SKY926168 20/04/05 6168
381538 [스포츠] [WWE/스포] 17년만에 복장바꿔 오신 그 분! [10] 효파8668 20/03/31 8668
367860 [스포츠] [언더테일]아니 게임 스킨인줄 알았는데 진짜였어? [5] 에일리6489 19/11/01 6489
353384 [스포츠] 요즘 WWE 프로레슬링 수준.gif(용량주의) [26] 신불해9786 19/05/20 9786
324022 [스포츠] [WWE/데이터] 계속되는 존 시나의 언더테이커에 대한 도전.JPG [16] 삭제됨7069 18/03/20 7069
323570 [스포츠] [한글자막/WWE] 존 시나, 언더테이커에게 도전 선언 [14] 삭제됨6616 18/03/14 6616
322896 [스포츠] 시민 케인 [11] 진인환7393 18/03/03 7393
296165 [스포츠] [스포] wwe 브록 레스너vs 골벅 메인결과.. [29] 보라도리6164 16/11/21 6164
272310 [스포츠] 272302 게시물 참조....그룹B.... [2] 다크슈나이더6074 16/04/19 6074
265285 [스포츠] 급하긴 급한 WWE 새로운 인물 등장 [28] ZZeta5341 16/02/23 5341
261760 [스포츠] [WWE] 언더테이커 vs 랜디 오턴 레슬매니아 21 명경기.avi [9] SKY923703 16/01/07 3703
260107 [스포츠] [WWE] 한 슈퍼스타의 역대급 비참한 은퇴가 될뻔했던 순간.avi [13] SKY925990 15/12/16 5990
259935 [스포츠] [wwe][스포]오늘자 TLC [16] FloorJansen4183 15/12/14 4183
252794 [스포츠] [야구] 누구일까요. 난이도 : 극최하 [21] 비익조7422 15/10/05 7422
249432 [스포츠] [WWE][스포?][개그?] 섬머슬램 메인이벤트 결과.jpg [20] 조교4065 15/08/24 406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