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16/03/08 17:37:17
Name Anthony Martial
출처 http://sports.news.naver.com/wfootball/news/read.nhn?oid=208&aid=0000001044
Link #2 http://sports.news.naver.com/wfootball/news/read.nhn?oid=208&aid=0000001044
Subject [스포츠] 오늘자 축구 전문가

기적의.jpg <span class='keyword'>오늘자</span> 기적의 수학가.


수학가.png <span class='keyword'>오늘자</span> 기적의 수학가



육상선수의 평균 시속과


축구선수의 최고 시속을 비교해서


레스터 선수들이 육상선수 수준으로 빠르다고 글 씀



누가 쓴지는 말씀 안드려도 다 아시겠죠?



탑클라스 마라톤 선수가 약 42km를 2시간에 뛴다고 가정하면 평균 시속 21km 인데


저도 전력질주하면 평균 21km는 낼 수 있으므로


저 = 마라톤 세계급 선수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엔타이어
16/03/08 17:38
수정 아이콘
한경기에 45km를 뛰는 레스터 선수들 대단해요 !
바르셀로나, who ?
곧미남
16/03/08 17:39
수정 아이콘
이제 아주 저쪽으로 가네요 정말
16/03/08 17:40
수정 아이콘
대체.... 전문가 맞나요..
IRENE_ADLER.
16/03/08 17:42
수정 아이콘
선수의 최고 속력이 빠른 축구랑 무슨 상관이며 최고 시속을 놓고 육상선수의 평속과 비교하면서 빠르니 어쩌니... 진짜 전공이 의심스럽네요.
Locked_In
16/03/08 17:44
수정 아이콘
이쯤되면 일부러 이런다고 봐야...
메모박스
16/03/08 17:45
수정 아이콘
글쎄요 축구선수 주력을 100미터 기록과 빗대어 설명하는건 흔한 비유지 않나요? 축구선수와 육상선수의 속력을 동일선상에서 '비교' 할순 없지만 축구선수의 주력이 얼마나 빨랐는지 '비유' 하기에는 아주 적절하죠. 다른 내용이면 몰라도 이게 까일 일인가요? 의아하네요
16/03/08 17:48
수정 아이콘
단거리는 몰라도 장거리 달리기 기록까진 필요가 없죠.
메모박스
16/03/08 17:52
수정 아이콘
단거리 기록을 안적었거나 중단거리 합쳐서 평균을 냈으면 모를까 다 적어놨는데 이 정도로 조롱받을일인가 싶어서요
IRENE_ADLER.
16/03/08 17:52
수정 아이콘
근데 그게 레스터의 빠른 축구와 상관관계가 있지는 않을 겁니다. 다른 팀도 순간 속력 내면 비슷하게 나오지 싶은데요.

레스터의 빠른 축구를 이야기하면서 중장거리 선수의 평균 속력보다 바디의 순간 속력이 빠름! 이런 소리하면 당연히 까여야;;;
디포르테
16/03/08 17:53
수정 아이콘
축구선수의 경기내 '최고속력'과
육상선수의 거리별 '평균속력'을 놓고 비교했습니다
애초에 비교할 이유가 없는 데이터를 비교하고 있는거죠
유스티스
16/03/08 17:53
수정 아이콘
대부분 스프린터하고 비교는 합니다. 과거 월콧이나 현재 베예린이 탑스프린터보다 40m주파는 빠르다, 정도로요. 그런데 100m만 올라가도 주파법의 본질이 달라지는 종목인 육상종목의 중거리 장거리 선수 속도까지 가져와서 육상선수급이다, 라고 하는지 의아한 수준이니까요.
메모박스
16/03/08 18:03
수정 아이콘
유스티스님 말이 맞지만 세계에서 제일 빠른 사나이라 하면 볼트를 생각하듯 100미터 세계신기록 = 가장 빠르다 는 상징성이 강하니 비유할만하지 않나 합니다
유스티스
16/03/08 18:47
수정 아이콘
네, 그렇게 볼트랑 위에 제가 언급한 선수들을 비교하곤 합니다. 그런데 장거리 육상기록을 왜 언급한건지는 모르겠어요. 축구모르는 사람이 언급하면 적실성이 떨어져요, 하고 말해줄텐데 저 사람은 자칭 축구전문가라...
16/03/08 18:50
수정 아이콘
근데 탑 스프린터보다 일부 최상위권 40m주파가 빠르다 이것도 대부분 99%는 개소리라고 하긴 하더군요,
육상선수는 총성 반응속도부터 첫 10m디버프를 다 걸어놓고

축구 선수는 진행중 속력을 적어놓고 이런케이스가 많다고

실제로 예외가 가끔 있지만 그냥 50m도 나머지 세계 육상선수들과 붙어도 우사인볼트가 압살하는것처럼...

일반적인 탑급 스피드의 축구선수와 탑급 스프린터같은 경우도
기본적인 100m능력에서 안드로메다로 벌어지는 경우가 많아, 10m고 20m고 택도없다고
Dear Again
16/03/08 17:55
수정 아이콘
축구선수 경기내 초단거리 상황(보통 50m내외로 알고 있습니다) 최고 속력 기록을 800m 1000m 전체를 달린 평균 기록이랑 비교하는건 비유가 아니라 '오도'죠
메모박스
16/03/08 17:59
수정 아이콘
제가 잘못 읽은건가요? 1500미터를 달린 선수의 100미터 구간 평균이라면 말도 안되는 비유지만 100미터 세계기록/200미터 세계기록 등 각 종목별 세계기록과 비교한건데 그렇다면 유의미 하지 않나요? 실제 100미터 세계기록으로 계산해보니 표의 기록과 맞는거 같은데요
100미터 말고 다른 기록을 끌고 온건 무의미한게 맞지만 100미터 기록이 없는것도 아니고 그냥 추가자료 정도로 보면 되지 않나 싶네요
애패는 엄마
16/03/08 18:07
수정 아이콘
레스터 시티가 다른 팀보다 빠르다는 걸 설명하고 싶으면 다른팀의 평균속도와 비교했어야 했고

축구 선수가 이만큼 빠르다는 걸 설명하고 싶으면 같은 계열로 비교 했어야 했는데

다른 계열로 레스터시티가 빠르다는 걸 설명했으니 총체적 난국이라고봅니다.
개념테란
16/03/08 18:03
수정 아이콘
표에 100미터만 있는게 아니니까요. 400m, 800m, 1500m의 평균속력을 축구 선수들의 순간적인 최고속도와 비교하는 것은 부적절합니다.

메모박스님이 주장하시는 의도대로 쓰이려면 100m 기록만 있어야 합니다. 박문성은 굳이 400m, 800m, 1500m 평균속력을 표에 왜 넣은걸까요? 그 어설픈 의도를 이해 못하고 100m 에만 집착하시니 왜 까이는지 의아하신거죠.
메모박스
16/03/08 18:08
수정 아이콘
네 저도 백미터 외의 기록은 비유 가치가 없다는 것에 동의합니다. 다만 그 기록을 추가함으로서 그리 큰 왜곡을 일으킨다 생각하지 않아서요. 그냥 백미터 끌고 온김에 번외로 추가한 자료정도라 생각했고 백미터랑 비유하는게 뭐 그리 욕먹을 일인가 싶어서요..근데 뭐 400미터와 축구선수의 비교가당연히 말도 안되는 비유라 안거슬린 것 일지도 모르겠네요
16/03/08 18:07
수정 아이콘
시속 30km는 타고난 주력에 잘 훈련된 사람도 1분 이상 지속하기 힘든 속력이다. 세계 신기록 기준으로 100~400m 단거리의 속력이 30km/h 대 초중반이지만 800m 이상 중장거리로 넘어가면 모두 다 30km/h 아래로 떨어진다. 레스터의 최고 속력 평균 30.5km/h가 결코 느리지 않은 속도임을 알 수 있는 지표인데
========================================================================
시속 30.0km/h는 100미터를 12초에 뛴다는 얘기인데....빠르긴 하지만 육상선수에 비교하긴 무리수라 봐요
무리수인걸 알고도 비교하고 싶으니 이상한 비교를 한 것 같네요
Anthony Martial
16/03/08 18:16
수정 아이콘
시속 30km는 타고난 주력에 잘 훈련된 사람도 1분 이상 지속하기 힘든 속력이다. 세계 신기록 기준으로 100~400m 단거리의 속력이 30km/h 대 초중반이지만 800m 이상 중장거리로 넘어가면 모두 다 30km/h 아래로 떨어진다. 레스터의 최고 속력 평균 30.5km/h가 결코 느리지 않은 속도임을 알 수 있는 지표인데 바디의 경우 올 시즌 가장 빨랐을 때는 35.44km/h라는 믿기지 않는 스피드를 보여주기도 했다. 왓포드전에서 교체 투입된 제프 슐럽도 올 시즌 최고 속력을 35.26km/h까지 찍은 적이 있다.

==============================================================================================================================
칼럼은 읽으신건지 궁금하네요

차라리 단거리 스프린터 들의 최고속력과 비교했으면 매우 적절한 비교자료일텐데 망한 비교죠 저건
메모박스
16/03/08 18:24
수정 아이콘
표에는 백미터 기록이 다 나와 있어서 저 부분이 왜곡으로 느껴지지 않았습니다. 엄밀하게 한다면 단거리 최고속력과의 비교가 맞겠지만 백미터 세계신기록은 빠르기란 측면에서 상징성이 강하니 충분히 할수있는 비유죠. 다만 200미터 이상의 기록을 끌고온게 저한텐 그리 중요하게 느껴지지 않았습니다. 당연히 비교 불가능한 데이터니 그냥 추가 자료 정도로만 느껴졌는데 이건 그냥 제 머릿속 필터링일수 있겠네요.
Anthony Martial
16/03/08 18:28
수정 아이콘
전문가면 엄밀하게 해야죠

게다가 저 사람의 전적을 비춰봤을 때

진짜 모르거나(자격미달) 어그로(인성미달)죠

뭐 메모박스님께서 그렇기 느끼신다는데 거기다 대고 왈가왈부 할 수 없겠습니다만

다수의 사람들은 아닌 것 같네요.(다수가 그렇다고 하니깐 그런거야 라는 의도는 아닙니다)
접니다
16/03/08 17:45
수정 아이콘
항상 멀리 가시죠
16/03/08 17:46
수정 아이콘
이건 대놓고 분란 조장해서 클릭질 유도하는거죠.. 이런식이면 방송국 해설 재계약 못할거 같은데...
곧미남
16/03/08 17:53
수정 아이콘
생각보다 SBS스포츠에서 단단합니다. 특히 가볍게 축구보시는분들이 좋아한다고 하더군요 톤이 좋다고
애패는 엄마
16/03/08 17:59
수정 아이콘
솔직히 개취로서는 톤은 스포츠 해설 탑 3안에 든다고 생각해요
아마존장인
16/03/08 18:04
수정 아이콘
톤이 진짜 좋긴해요 그거랑 선점빨로 노력도안하고 저러면서도 잘먹고잘살고있죠 참.. 크크
애패는 엄마
16/03/08 18:06
수정 아이콘
그래서 내용 안듣고 bgm 용으로 켜놓긴 합니다. 크크
16/03/08 18:28
수정 아이콘
저만 그런게 아니었군요 크크크크 배성재 말만 듣고 저 사람말은 BGM 크크
곧미남
16/03/08 18:08
수정 아이콘
예 거기다가 사회생활도 아주 잘한다고 합니다. SBS가 차범근 이후에 큰 영입이 없는것도 이런거라도 하더군요
애패는 엄마
16/03/08 18:09
수정 아이콘
게다가 흔히 말하는 전문가처럼 보이는 법에 해당되는 뭔지 모를 용어를 늘어놓으니 더 맘에 들어할지도..
앙토니 마샬
16/03/08 19:32
수정 아이콘
음색? 톤? 이 짱입니다. 중계들을때 내용은 별로인데 박문성만한 목소리의 해설위원이 없는거 같음.
오마이러블리걸즈
16/03/08 17:49
수정 아이콘
네이버 편집부에서 요구하는 거 아닐까요. 어그로 좀 끌어달라고...
최강삼성
16/03/08 17:52
수정 아이콘
대체 왜 이분이 해설자인지..
16/03/08 17:57
수정 아이콘
더구나 축구는 평균속도보다 스프린트 횟수, 40m 속도 이런게 의미가 있죠.
그냥 이인간한테는 기대를 안하는게 맞는듯
16/03/08 18:06
수정 아이콘
이제는 아예 어그로가 클릭질을 늘린다고 유도하는 행태인가요...

한낱 일반 커뮤니티에서도 문제가 되는 짓꺼리를 포탈에서 전문가 타이틀이라는 것을 달고 하면서 아무런 책임이 없으니...
우리나라에서 전문가라는 타이틀의 신뢰도는 당연히 추락할 수 밖에 없는 겁니다...
그 탓은 저런 사이비와 그 사이비를 전문가라고 받아주고 부추기는 인간들 때문인거죠...
아이폰6s Plus
16/03/08 18:06
수정 아이콘
저분 칼럼은 그냥 댓글부터 읽는것이...
샨티엔아메이
16/03/08 18:10
수정 아이콘
진지하게 축구해설이나 칼럼 못쓰게 항의운동이라도 해야 할 판
개념테란
16/03/08 18:10
수정 아이콘
같은 실수를 반복하는 것도 아니고 조금씩 다른 형태의 실수를 계속하는거 보면 창의성 하나는 인정해줄만 하네요. 매번 참신합니다.
16/03/08 18:11
수정 아이콘
축구밖에 모르는 바보ㅠ
마스터충달
16/03/08 18:12
수정 아이콘
이 자료의 문제는 육상선수의 [평균 속도]와 축구선수의 [최고 속도]를 비교하는 데 있는 것 같네요.

저게 다 평균 속도라면 유의미한 자료겠지만;;;
최소한 단거리 종목하고만 비교했어도 이상하게 비춰질 염려가 없었을텐데;;;
16/03/08 18:16
수정 아이콘
육상 200m가 100m보다 가속 붙어서 더 빠르다고 들었었는데 그렇지는 않네요
Sgt. Hammer
16/03/08 18:18
수정 아이콘
최고는 더 빠를 수도 있겠죠.
저건 평균 속도라...
16/03/08 18:26
수정 아이콘
한때는 그런적도 있었고 .. 평속은 비슷비슷 합니다.

지금도 100미터 기록 9.58초 200미터가 19.19 초이니 별 차이 안나죠.
고기반찬주세요
16/03/08 21:56
수정 아이콘
이게 다 볼트 때문...100m를 말도 안되게 줄여놔서
16/03/08 18:22
수정 아이콘
역시 레..레바뮌?
타츠야
16/03/08 18:25
수정 아이콘
이쯤 되면 전공 수업을 대체 어떻게 들은건지 정말 궁금하네요.
류세라
16/03/08 18:28
수정 아이콘
럭키짱과 박문성 칼럼의 공통점 - 베댓짱
물만난고기
16/03/08 18:28
수정 아이콘
꼭 해설가가 전문가 영역일 필요는 없죠. 스타의 엄옹같은 케이스도 있고 당장 바로 옆에 김동완도 예능 쪽에 방점을 찍었으니까요. 하지만 매주 칼럼도 쓰면서 난 전문가야 그러는데 매주 저렇게 성립하기 어려운 예시나 비문이 가득한 문장이나 어디서 퍼온 것인지 본인 혼자만의 용어를 사용한다든지 그렇다면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절로 욕나오게 하는거죠.
16/03/08 19:06
수정 아이콘
진짜 오일룡이 박펠레보다 전문가일듯...
바닷내음
16/03/08 19:48
수정 아이콘
이분 통계학 전공 크크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272790 [스포츠] [연예인][데이터주의] 오늘자 보니하니 시구.gif [11] 키스도사8153 16/04/23 8153
272682 [스포츠] 오늘자 홍진호 헌정 MLB소식.jpg [2] 49ers6251 16/04/22 6251
272526 [스포츠] 삼징징과 적절한 타이밍의 오늘자 최훈카툰 [6] 카루오스4874 16/04/21 4874
272441 [스포츠] 오늘자 최훈 카툰 [12] 눈시5595 16/04/20 5595
271989 [스포츠] 오늘자 오승환 2이닝 1k 무실점 (자동재생) [5] 삭제됨5945 16/04/17 5945
271755 [스포츠] 오늘자 최훈카툰 [20] 눈시6817 16/04/15 6817
271749 [스포츠] 오늘자 김현수 안타 장면 [10] 삭제됨6711 16/04/15 6711
271739 [스포츠] [약스압] 오늘자 리버풀 관련 드립과 골장면.jpgif [8] 8286 16/04/15 8286
271568 [스포츠] [해축] 오늘자 우리형 [12] 순수한사랑5794 16/04/13 5794
271296 [스포츠] 오늘자 매운맛 커리 [7] SKY925382 16/04/11 5382
270913 [스포츠] [프로야구] 오늘자 최훈카툰 [6] 요그사론4571 16/04/08 4571
270428 [스포츠]  [WWE] (강력 스포) 오늘자 RAW (부제 : 역시 레슬매니아 이후 RAW는 꿀잼!!) [11] 캬옹쉬바나3828 16/04/05 3828
270173 [스포츠] 오늘자 호우형.jpg [5] 무등산막걸리6035 16/04/03 6035
269755 [스포츠] [NBA] 오늘자 줄리어스 랜들 위닝샷 [8] 코비 브라이언트4462 16/03/31 4462
269540 [스포츠] [wwe][스포]오늘자 raw 엔딩 + 추가 [29] FloorJansen3395 16/03/29 3395
269198 [스포츠] 홈과 원정이 바뀐건가.gif [9] SKY927989 16/03/27 7989
268369 [스포츠] 오늘자 F1 사건 사고 [15] 광기패닉붕괴6579 16/03/20 6579
268355 [스포츠] 오늘자 아주라.gif [42] 자전거도둑9916 16/03/20 9916
268337 [스포츠] 좋은건 크게보라고 오늘자 설현.JPG [10] 살인자들의섬7649 16/03/20 7649
267418 [스포츠] 오늘자 '골든스테이트 & 스테판 커리' 하이라이스.. [6] k`4032 16/03/13 4032
267256 [스포츠] [NBA] 오늘자 노망주 [1] SKY925055 16/03/11 5055
266824 [스포츠] 오늘자 축구 전문가 [52] Anthony Martial8360 16/03/08 8360
266669 [스포츠] [NBA] 기록 탄생 [16] SKY927839 16/03/07 783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