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15/01/08 21:45:32
Name swordfish-72만세
Subject [유머] 러시아 인들의 새해 소망


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XsG2o
이렇게 된 이상 소비에트로 돌아간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5/01/08 21:46
수정 아이콘
아....
더스번 칼파랑
15/01/08 21:47
수정 아이콘
소비에트 마치!!
라이트닝
15/01/08 21:47
수정 아이콘
"그 시절이 더 살기 좋았는데.." 이런 의미겠죠
15/01/08 21:49
수정 아이콘
아 눈 앞으로 전차 부대가 끝없이 지나갈것 같은 BGM이군요..
Shandris
15/01/08 21:51
수정 아이콘
뭐 소련에서 러시아 된 후로 좋은 일은 별로 없었으니 그 나라 사람들 입장에서는...
랜덤여신
15/01/08 21:52
수정 아이콘
제가 그쪽 사정을 모르지만, 러시아를 제외한 주변국 중에서도 도로 소련으로 합치고 싶어하는 나라도 제법 있을 법한데, 사정을 좀 아시는 분이 있나요?
parksamsu
15/01/08 22:34
수정 아이콘
음... 정확히 기억은 안나지만 수업때 배운걸 말씀드리면 소련은 러시아 포함 15개국으로 이뤄졌습니다. 그 중 발트 3국은 제일 먼저 소련 탈퇴한 현재도 완전한 반러국가고(eu 국가입니다) GUAM(우크가 요기) 이라고 소련국가중 4개국가가 모인 반러집단이 있고, 남은건 중앙아 5개국에(각종 스탄국가들) 벨라루스, 아르메니아 인데 얘네둘은 친러고 특히 경제적으로 러시아에 많이 기대고 있구요. 음 즉 구소련국중 7개국은 반러 2개국은 친러 스탄 5형제는 잘모르겟구ㅜㅜ 아마 과거 구소련국중 소련 회귀 원하는 애들은 많이 없을거같아요
Mighty Friend
15/01/08 23:29
수정 아이콘
벨라루스는 현재 러시아와 합병 단계를 밟고 있어서 실제로 국경이 개방되어 있습니다.
15/01/08 22:44
수정 아이콘
저도 잘 아는 것은 아니지만 일단 발트해 연안 3개국인 리투아니아, 라트비아, 에스토니아와 서부 접경국인 우크라이나, 카프카즈산맥을 접경으로 하는 조지아(그루지아) 등은 반러성향으로 압니다, 동부우크라이나 어쩌고 하지만 우크라이나 거주 한국분들 말씀으로는 크림반도를 제외하면 동부우크라이나 러시아계 주민의 비율은 알려진 것보다 적다고 하시더라고요

또 러시아계주민들 다수가 러시아와 병합을 원하는 것도 아니라서 동부우크라이나라가 러시아영토가 될 가능성이 없다고 하시더라고요, 러시아 접경주인 도네츠크주 정도에서 친러성향의 반군이 활동하지만 도네츠크주 주민들 다수는 그냥 우크라이나로 남는 것을 희망한다고 하니 구소련체제를 바라지 않겠죠

그 외에 중앙아시아 5개국과 카프카즈산맥접경국인 아제르바이잔은 모두 이슬람국가라서 대 러시아 외교관계가 나쁘지 않더라도 구소련체제를 희망할 것으로는 보이지 않습니다, 러시아와 국경을 맞대고 있고 러시아인 비율이 비교적 높은 카자흐스탄 정도라면 가능성이 있겠으나 그것도 경제적공생관계 정도이지 정치적인 통합은 불가능하다고 보이네요

결국 남는 것은 벨라루시 정도인데 내륙의 가난한 나라이고 러시아접경국이라 이미 사실상 러시아에 모든 것을 의존하고 있어서 소련체제의 연합에 대해서는 벨라루시 정도만이 찬성하지 않을까 싶네요

혹시 달리 더 정확한 사정을 아시는 분이 계시다면 답글 달아주시면 고맙고요
월을릇
15/01/08 21:54
수정 아이콘
conservatism 덜덜
Special one.
15/01/08 21:55
수정 아이콘
오바마 "진짜 디진다"
SSoLaRiON
15/01/08 21:57
수정 아이콘
러시아가 소비에트 연방으로 돌아가고 유럽에서 이슬람과의 종교갈등이 심해지고 일본의 아베노믹스가 폭망하고 우경화가 더 심해지고
중동에서 IS가 날뛰고... 생각만 해도 무서운데요.
지나가다...
15/01/08 21:57
수정 아이콘
러시아에서는 새해 소망도 객관식으로 하는 건가..
아이지스
15/01/08 22:02
수정 아이콘
일반인 입장에서는 그 시절이 지금보다 훨씬 살기 좋았죠.
마빠이
15/01/08 22:05
수정 아이콘
저게 바로 러시아에서 푸틴이 압도적으로 지지를 받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단순 그때가 더 살기 좋았다는 경제적 향수도 있지만 우리나라와 다른점이라면
일본이나 러시아같은 나라들이 한때 제국이라는 소릴 들었던 과거 대국?의
지위를 찾고 싶어하는 민족주의적 국가주의적 관점도 분명 존재하죠.
15/01/08 22:10
수정 아이콘
진지하게 소련이 부활하면 한국입장에서는 당장 대북관계가 어려워지죠
솔로10년차
15/01/08 22:18
수정 아이콘
'러시아' 입장에서야
bellhorn
15/01/08 22:19
수정 아이콘
악.. 제발 자동재생좀..
김티모
15/01/08 22:46
수정 아이콘
소련이 부활한다고 해도 그시절로는 절대 못돌아간다는걸 저사람들은 모르는 걸까요. 일단 쓰레기통에서 공산주의 꺼내와서 베타테스트겸 적용해보는게 크크크크
하정우
15/01/08 23:02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 어르신들이 그래도 박정희떄문에 나라가 살았어 하시는것과 비슷한 이치인건가
곰슬기
15/01/09 09:39
수정 아이콘
그냥 리즈시절이 그리운것이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230090 [유머] 저는 바보입니다. [12] 삭제됨5951 15/01/12 5951
230088 [유머] 반 강제로 EXID 하니 팬이 되었던 어느 약쟁이 웹툰작가 [12] 휴울15899 15/01/12 15899
230087 [유머] 17년 동안 17세 역만 맡아오신 17세 역의 달인 [15] swordfish-72만세7903 15/01/12 7903
230086 [유머] 개인적인 문화컬쳐.... [15] 언뜻 유재석7059 15/01/12 7059
230085 [유머] 돈은 얼마든지 드릴테니 하나만 만들어 주세요 [8] 발롱도르4887 15/01/12 4887
230084 [유머] 산업기술융합으로 변하는 15년 뒤 삶의 모습 [14] 소원을말해봐6082 15/01/12 6082
230083 [유머] [계층] 다음중 어느 린이 맘에 드십니까? [33] 하루빨리5708 15/01/12 5708
230082 [유머] [계층] 신데마스 애니 프로듀서 PV [1] swordfish-72만세2424 15/01/12 2424
230081 [유머] 일본동네예체능 - 테니스편 [1] 제논4708 15/01/12 4708
230078 [유머] 망가배포자의 최후 [11] 축생 밀수업자8648 15/01/12 8648
230077 [유머] 수 많은 게이머들을 나락으로 밀어넣은 게임화면 . jpg [28] 길바닥8662 15/01/12 8662
230075 [유머] 따뜻한 마음.. [9] 지금뭐하고있니4970 15/01/12 4970
230074 [유머] 와 솜사탕이다! [4] 마스터충달4020 15/01/12 4020
230073 [유머] 흔한 보조배터리 [8] 발롱도르5559 15/01/12 5559
230072 [유머] 2014 축통령 후보 3인.jpg [16] 시나브로7227 15/01/12 7227
230071 [유머] 광주광역시의 옛날 크기 [25] swordfish-72만세8645 15/01/12 8645
230070 [유머] 발롱도르보다 더 치열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 [36] 발롱도르7055 15/01/12 7055
230069 [유머] 주문 [3] 좋아요2797 15/01/12 2797
230068 [유머] 견력동력. [8] 축생 밀수업자4949 15/01/12 4949
230067 [유머] 20년전 혁명 [12] 제논6739 15/01/12 6739
230066 [유머] 합성외과 [6] 제논7240 15/01/12 7240
230063 [유머] 오늘 폭염이네요 [16] 제논6593 15/01/12 6593
230062 [유머] 시흥의 리즈시절 [15] swordfish-72만세6585 15/01/12 658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