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14/09/11 13:01:53
Name 라라 안티포바
Subject [스포츠] [스포츠] [바둑] 한중랭킹 TOP10 평균나이
[한국 27.2세]

박정환 (22)
김지석 (26)
이세돌 (32)
강동윤 (26)
최철한 (30)
박영훈 (30)
백홍석 (29)
김승재 (23)
원성진 (30)
안성준 (24)

[중국 23.4세]

스웨 (24)
저우루이양 (24)
천야오예 (26)
구리 (32)
미위팅 (19)
장웨이제 (24)
탕웨이싱 (22)
커제 (18)
퉈자시 (24)
롄샤오 (21)

한국은 10대 전무, 30대도 3명이나 있어 올드는 아직 한국이 강세인 반면
중국은 10대가 2명, 30대는 구리 선수 한명이라 신예는 중국이 강세이며 급격한 세대교체가 진행중임을 알 수 있습니다.
11~20위 평균 나이도 봤었는데, 양쪽 다 평균 25세 정도 되더군요.
한국랭킹 TOP 10 중 가장 어린게 랭킹 1위 박정환 선수라는게 함정...이러니 박정환 선수 어깨가 무거울 수 밖에 없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압도수
14/09/11 13:08
수정 아이콘
40대 이상은 또 없네요? 바둑도 피지컬을 어느정도 요구하는 모양이지요?
14/09/11 13:12
수정 아이콘
피지컬이 매우 중요한 종목중에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대국 당시 정해진 시간내에 수많은 경우의 수를 판단해가며 치르는 종목이라 신경도 매우 날카로워지고 전반적으로 시간에 비해서 소모되는 체력이 어마어마합니다. 예선이나 본선 초반은 단판으로 끝나는경우도 있지만 상위 토너먼트가 될수록 5번기 7번기가 빈번한 종목이기에 더더욱 그렇죠. (물론 하루만에 다 치러지지는 않지만요.)

개인적으로는 피지컬이 가장 중요한 요소인 기력을 따라갈 정도로 중요하지는 않지만 최고수들급의 경기에서는 못해도 3할에서 4할 사이의 차지한다고 봐요.
라라 안티포바
14/09/11 13:13
수정 아이콘
조훈현 선수가 활약하던 예전에는 공동연구, 포석연구가 활발하지않아 경험과 연륜이 중요한 시대였지만,
요즘은 워낙 연구가 활발하다보니 경험보다는 상황에 따른 임기응변을 잘할 수 있는 빠르고 정확한 수읽기 능력이 중요시되다보니
바둑도 이제 피지컬 시대로 접어들었습니다.
마스터충달
14/09/11 13:10
수정 아이콘
바둑도 피지컬 시대....
걸스데이 덕후
14/09/11 13:10
수정 아이콘
바둑은 이창호 공익하던 시절부터 어린 애들이 잘했죠
14/09/11 13:11
수정 아이콘
신진서를 빨리 키우는 수 밖에...
하늘을 봐요
14/09/11 13:14
수정 아이콘
피지컬 문제가 아니라 이건 중국의 인프라 시설과 그에 따른 중국 정부의 지원 결과라고 보는게 맞을것 같아요.
지금 이정도 버티고 있는걸 보면 놀랍다 못해 신기할 지경입니다.
14/09/11 13:32
수정 아이콘
한국은 물론이고 중국도 평균연령이 왜이렇게 높나 싶어 봤더니 구리가 끼어있네요

바둑도 체력이 정말 좋아야되죠 이창호의 경우 타고났다고 할정도로 체력이 좋아야되니
Kblacksnow
14/09/11 13:47
수정 아이콘
여담이지만, 어제 박정환 대 이창호 선수의 물가정보배 경기를 중간까지 보다가 역시나 안되는구나 하고 껐는데..
후에 결과를 봤더니 이창호 사범님이 이겼더라구요.. 무슨 일이 있었던건지..
랍상소우총
14/09/11 15:08
수정 아이콘
박정환 사범이 끝내기 실수로 후수를 잡아서 역전당했습니다.
큰 자리가 얼마 안남은 가운데 선수뺏겨서 기회가 없었던 듯, 다른 8강 원성진 사범급 실수였어요.
견우야
14/09/11 13:58
수정 아이콘
신민준 파이팅..
솔로9년차
14/09/11 14:42
수정 아이콘
중국은 대회 시스템상 우리보다 피지컬이 더 요구되니 좀 더 그런 경향이 있는 것도 있죠.
원터치포다이
14/09/11 14:57
수정 아이콘
15년뒤면 탁구처럼 될듯
구밀복검
14/09/11 14:57
수정 아이콘
체력보다는 뇌의 연산능력 문제죠. 나이가 먹을수록 노하우와 자성적 판단 능력은 향상되지만, 단순한 연산의 정확성과 속도는 둔화되니까요. 여기에 단축된 시간과 엄격해진 초읽기 등도 영향을 끼치고요. 생각보다 뇌의 기능적인 능력은 빨리 늙습니다. 많은 수의 저명한 수학자들이나 과학자들이 30 이전에 자신의 정점을 찍고 내리막길을 걷는 것도 이와 무관치 않고...프로 게이머 같은 경우도 만 24세 이후에는 리스폰스가 현저히 떨어진다는 연구도 있죠. 바둑에서 말하는 체력이란 것은 스포츠에서 말하는 심폐지구력이나 근지구력이 아니라 <뇌를 비롯한 신경계의 피로를 견디는 능력>인데, 이것도 결국은 연산능력에 달린 거고(연산에 어려움을 겪으면 피로가 가중되죠). 오히려 과거 바둑처럼 대국이 장시간 진행되고 시간 제약이 적어 한 수 한 수 널널하게 둘 수 있다면 중장년 기사들이 경험과 노하우를 활용 해볼만한 여지가 있을 겁니다. 초읽기가 한국이나 중국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느슨한 일본에서 아직까지 70년대생 기사들이 정상권에 많이 있는 것도 그와 무관치 않을 테고.
기아트윈스
14/09/11 16:47
수정 아이콘
바둑팬인 아버지께 왜 정신스포츠인 바둑에서 몸의 나이가 문제가 되느냐고 물으니 쓸쓸한 표정으로

"뇌도 몸이야..."

라고 하시던 게 생각나네요

생각해보면 당연한 이야긴데 자각하지 못하던 부분이었고

의외의 철학적 성찰을 얻었던 기억이 납니다
14/09/11 16:28
수정 아이콘
이세돌 은퇴하고 미국 간다는 건 어떻게 된건가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58340 [스포츠] 그놈의 주형광 때문에 2점이 날라갔다.JPG [19] 비타에듀8331 22/07/17 8331
408597 [스포츠] (펌) 30대인데 옷 많이 샀다고 어머니한테 혼난 펨코인.jpg [34] insane11551 20/12/29 11551
282743 [스포츠] 30대와 20대 축구선수의 차이점 [23] Manchester United9784 16/07/08 9784
254699 [스포츠] 북조선 형님들. [14] 아지메7649 15/10/23 7649
217910 [스포츠] [스포츠] [바둑] 한중랭킹 TOP10 평균나이 [16] 라라 안티포바5961 14/09/11 5961
207177 [스포츠] [스포츠] 뭔가 쩌는 어떤 스트라이커의 인생 역정 [19] 요정 칼괴기8005 14/05/31 8005
200769 [스포츠] [스포츠] [소리주의]임창용 등판시 허구연 중계 [10] 낑맹5022 14/03/30 5022
191494 [스포츠] [스포츠] 데자뷰 [3] 구밀복검4442 14/01/19 4442
163086 [스포츠] [스포츠] 군인황제시대.kfa [17] 화성거주민9080 13/06/25 9080
145252 [스포츠] 반도의 흔한 농구 스코어... [18] 라이언JS7185 13/01/11 7185
123054 [스포츠] [lol] 오늘 경기를 보면서 문뜩 생각난 황충아리.swf [8] 사진7839 12/05/03 7839
106647 [스포츠] 왜곡왕 마봉춘... [19] Alexandre10462 11/10/01 1046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