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14/06/16 14:43:42
Name 고윤하
Subject [기타] [기타] 되팔이들의 최후.txt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5&aid=0000665249


중고나라 운영진은 16일 카페 공지사항을 통해 “해피밀 프리미엄 장난감에 대한 글을 단속하겠다”며 “교환관련 글도 교환을 빙자한 판매일 가능성이 있어 통보 없이 삭제 처리하겠다”고 밝혔다. 중고나라에서 금지하고 있는 ‘한정 상품의 프리미엄가 판매 금지’ 조항을 어겼다는 이유다.


되팔이들 한강직행하실듯 크크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azurespace
14/06/16 14:45
수정 아이콘
트위터로 팔면 되기 때문에 별로 문제가 안 될 것 같습니다
그리고또한
14/06/16 14:45
수정 아이콘
햄버거를 들고 한강으로
문앞의늑대
14/06/16 14:45
수정 아이콘
이렇게 해피밀 거래 까페가 만들어지는데..
14/06/16 14:46
수정 아이콘
거래수단이야 넘치고 넘치는지라...
참치마요
14/06/16 14:47
수정 아이콘
이러다 햄버거만 사고 파는 사람들이 나올 기세네요.
14/06/16 14:49
수정 아이콘
중고나라만있는게 아니죠 중고장터가...
사직동소뿡이
14/06/16 14:49
수정 아이콘
와우!!!!!
14/06/16 14:51
수정 아이콘
그냥 속 편하게 알리에서 사고 말지..
14/06/16 14:52
수정 아이콘
외국사이트에 20불인가 25불인가에 세트로 파는 곳이 있다는 이야기가 있던데...
바밥밥바
14/06/16 14:59
수정 아이콘
Leeroy_Jenkins
14/06/16 15:01
수정 아이콘
트위터로 돌기엔 이 셀러 사기꾼이라고 하네요..
14/06/16 15:03
수정 아이콘
나이스하군요. 누가 어느매장에서 130개 사갔다는 소리를 들었는데 쌤통이네여
사직동소뿡이
14/06/16 15:08
수정 아이콘
저도 트위터에서 봤어요.
줄서있는데 앞 사람이 "몇개 남았어요?" 물어보더니 "130개 남았습니다" 해서 좋아하고 있었는데.
"남은 거 다 주세요" 크리........
초록개고기
14/06/16 15:04
수정 아이콘
그나저나 오직 해피밀 장난감만 위해서 햄버거를 많이 산 사람들은 어떻게 하나요.
다 먹을 수도 없고 그렇다고 음식을 버리기도 그렇고

치킨이라면 이런 고민 따위가 사치일 테지만
회전목마
14/06/16 15:05
수정 아이콘
맥너겟이 있습니다?
하루빨리
14/06/16 15:27
수정 아이콘
맥너겟이 있죠. 비닐봉지로 포장 잘해서 얼려놓으면 해동하면서 먹기 좋습니다.
불쌍한오빠
14/06/16 15:05
수정 아이콘
딴데다 팔면되는데요 뭘...
중고나라가 해피밀 공식독점매장도 아니고
애플보요
14/06/16 15:13
수정 아이콘
근데 진짜 거지도 아니고 순수한 목적으로 갖고 싶어서 사는것도 아니고 되팔이들이 사재기 하는건 참 씁쓸하네요
루키즈
14/06/16 15:24
수정 아이콘
애들 갖고 놀라고 만든건데....-_-.......
14/06/16 15:34
수정 아이콘
어차피 100개 사도 꼴랑 35만원이라 한강 갈일은....
14/06/16 15:38
수정 아이콘
근데 정말 갖고 싶은데 직접 가서 줄 설 시간 없는 분들에게는 저런 매매가 유용할 것 같은데 댓글 분위기는 대체로
적대적인 것 같네요. 남들 못살 정도로 몇천개 사재기 한것도 아니고 줄서고 기다려서 햄버거 사는 노고도 있는건데요..
14/06/16 15:48
수정 아이콘
암표장사랑 진배없는 짓인데
좋게 보일리가 있나요
14/06/16 16:03
수정 아이콘
이전에도 유게인가에서 암표상에 대해 지나가면서 쓴 적 있지만 전 암표상의 출현은 암표상 개인의 도덕성 문제로 가져갈 게
아니라 시장가치를 반영하지 않은 낮은 가격이 문제라는 생각을 해서요. 암표상 = 나쁜 사람 이라는 전제라면 어떤 분위기인지
알 것 같네요.
레이몬드
14/06/16 16:36
수정 아이콘
암표상은 도덕성의 문제가 아니라 법적인 문제입니다.
명백한 위법이죠.
닉부이치치
14/06/16 17:56
수정 아이콘
암표상 = 나쁜사람에 무슨 이견이란게 있나요?
14/06/16 18:13
수정 아이콘
제가 표현을 좀 너무 간단히 했네요. 정확히는 암표상의 발생에 대해 암표상을 나쁜 사람으로 두고 단속하려고 하기 보다는
최초 가격이 재화나 서비스의 가치가 적절히 반영되지 않았을 수 있다는 면에서 접근하는게 필요하다는 점을 생각하다가
본문과 관련이 없는 것 같아 쓰다 말다보니 표현이 저렇게 됐어요.
개인적으로는 암표매매 현상에 대한 원인을 암표상 개개보다는 그릇된 가격구조에 더 큰 책임이 있다고 봅니다.
현행 법률이 암표매매를 위법으로 규제하고 단속한다는 것은 알지만 전 개인적으로 개개의 암표상은 가치를
반영하지 못한 가격에 대해 시장의 지불용의 반영을 통해 거래를 만드는 나름의 역할이 있다고 보거든요.
다만 이런 얘기는 본문과는 좀 거리가 있는 부분이라 더 끌고 가지 않으려고 간단히 쓰다보니
선뜻 이해 안되게 잘 못쓴 부분이 있네요.
14/06/16 18:46
수정 아이콘
암표상이 암적존재로 취급되는건 첫째로 제때 못샀지만 뒤늦게라도 돈을 많이 낼 의사가 있는 사람과의 차익을 서비스 공급자가 아니라 암표상이 수취한다는데 있고 두번째로 암표상이 표를 사재기하는 바람에 원래대로라면 컨텐츠를 즐길수 있을 사람조차도 못즐기게 되거나 더 높은 가격을 내야하는데 있는거라 생각하는데요. 어느쪽을 봐도 공급자는 추가이득이 없고 소비자는 더 많은 가격을 지불해야되는데 그 컨텐츠에 기여는 하지도 않은 암표상이 (표를 끊는 수고가 있다 하더라도) 경제적 이익을 얻는게 긍정적이라고 볼수 있을까요?

애초에 가격을 서비스 공급자가 정한것인데 그릇된 가격구조라는것도 그다지 와닿지 않고요. 암표상이 껴있는 구조가 훨씬 더 그릇된 가격 구조겠죠. 암표상의 나름의 역할을 따지기전에 손실되는 사회적잉여가 압도적으로 크다고 생각합니다.

네덜란드식경매를 할게 아니면 지불용의 반영을 완벽히 하는건 말도안될테고 그게 안될거라면 공정하게 똑같은 가격에 선착순으로 사는게 최선이겠죠. 암표상이 중간에서 차익을 취하는 구조와 그 역할에 눈꼽만치도 고려해볼만한 부분은 없다고 생각합니당.
14/06/16 21:55
수정 아이콘
우려했던 것 처럼 본문과는 좀 다르게 논의가 튀게 되는 계기를 제공한 것 같아 좀 죄송하게 됐는데,
간단히라도 답변 드리면 개인적으로 암표상은 일종의 유통중개인의 한 갈래로 바라보고 있습니다.
물론 다루는 제품의 희소성이라는 면을 고려하면 일반적인 유통과는 조금 다르지만, 지불용의가 있는 사람의 '구매를 대행'
한다는 면에서 유사한 측면이 있다고 봅니다. 따라서 엄밀히 구분하면 공급자-소비자의 직접거래의 상황이 아닌
많은 상황에서 처럼 공급자를 대리해 판매를 하는 면이 있다는 거죠. 이 경우 컨텐츠 생산에 직접 기여하지 않았으니
부당한 이익을 수취한다라고 하는 부분에서 좀 다른 의견을 갖고 있습니다. 유사하게 공급이 제한적인 시장에서
거래의 중개를 수행하는 부류가 있거든요. 고미술품 중개인처럼요.

아래의 논의는 좀 경제학적인 부분으로 들어가게 되는데.. 일단 제가 표현한 그릇된 가격구조는 암표상의 등장 자체가
거래대상의 가치를 적절히 반영한 가격으로 거래가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지적한 내용입니다. 그 가격의 결정을 공급자가 했든 혹은 외부의 요소가 결정했든 말이죠. 본문의 맥도널드 한정 장난감 또한 수요자들에게 한정판매라는 특수한 조건으로 인해 해당 가치가 원래의 해피밀 세트 가격보다 높다고 여겨졌기 때문에 자정부터 선착순이라는 방식으로 판매되었다고
봐야할 거고요.
암시장의 발생으로 인해 소비자의 효용분이 암표상에게 이전되는 부분은 있어도 그로인해 직접적으로 후생손실이
발생했다고 하는건 다소 부정확한 표현인 것 같습니다. 이미 결정된 공급량(=거래량)과 가격수준이 시장의 최적수준이
아니라면 이미 후생손실은 발생한거고 블랙마켓은 오히려 암표상의 이윤 발생만큼의 후생증가라고 봐야 할 것 같아요.
이 때 한계분석을 하고자 한다면 암표상이 얻는 경제적 효용과 이로인해 선착순에서 뒤로 밀린 사람의 경제적 손실을
비교해야 할텐데, 엄밀하게는 거래량은 이미 고정이라는 면에서 시장 전체로는 사지 못한 사람의 개인적 효용감소는
다른 구매자의 효용증가(어쩌면 지불용의가 크기 때문에 더 큰 효용)로 대체된다고 봐야 하겠죠. 한정적인 공급에 대해
선착순의 방식을 취하는건 여러 대안중 하나이지 반드시 '선'이라고 보기도 어렵고요.

물론 이와같은 견해는 대체로 공감하기 어렵다는 점 또한 이해하고 있습니다. 다만 제 생각에는 만약 암표 구매자가
암표상으로부터 구입하는게 아니라, 단기알바등을 고용해서 줄을 서게 하고 해당 재화의 구입대행을 지시해서 원래
가격보다 높은 가격으로 사게 된다면, 이것 또한 변형된 암표거래로 보아야 할까요? 지불용의가 높기 때문에 가능한
이런 구매행태가 전 근본적으로 암표상에게 구매하는 것과 차이가 없다고 봅니다.
이사무
14/06/16 15:53
수정 아이콘
저게 만약 일반 제품들 처럼 그냥 아무 때나 가서 살 수 있는 수량이 풍부한 제품이면 시간 없는 분들이 저리 사심 좋겠죠.
하지만 일종의 수량한정 제품인데다가 바로 동이나는 상황에서 소수의 되팔이들이 수십~백단위로 싹쓸이를 해가면
직접 가서 줄을 서서라도 사고싶은 사람들 입장에선 화나는 일이죠.
14/06/16 22:07
수정 아이콘
아무때나 가서 살 수 있는 재화라면 이미 저러한 형태의 변종 중개를 거쳐 구입할 필요가 없겠죠.
개인적으로는 저런 상황에서는 1인당 구매수량을 제한하는 형태로 보완하는게 어떨까 하네요.
이미 다른 영역에서는 꽤나 자주 보여지는 방식이죠.
나머지 암표상에 대한 내용은 Fysta님께 단 댓글로 갈음하겠습니다. 답변 주셔서 감사합니다.
minimandu
14/06/16 15:57
수정 아이콘
노고를 생각한다면 암표상도 매한가지죠.
이벤트성 기획을 개인의 금전적 이익을 위해 타인의 기회를 막는 행위로
욕먹기엔 충분한 행동입니다.
14/06/16 22:08
수정 아이콘
이사무님과 Fysta님께 단 댓글로 달아주신 댓글에 대한 의견을 포함한다고 생각됩니다.
답변 주셔서 감사합니다.
minimandu
14/06/16 15:57
수정 아이콘
쌤통이네요. 중고나라 이외의 곳에서는 대량으로 팔긴 어려울 겁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262807 [기타] 성남사랑 상품권 중고나라행의 진실 [34] 에버그린10425 16/01/21 10425
262801 [기타] 요즘 수험생들에게 인기리에 판매되고있는 상품 [6] 쏘팔매토6260 16/01/21 6260
260083 [기타] 과자 회사의 더러운 상술 [20] Zelazny10585 15/12/16 10585
259329 [기타] [봉봉]나를 지마켓에 팔아본다면? [21] Credit6172 15/12/07 6172
253872 [기타] 아이폰6s 예판 연기 [12] Briz035225 15/10/15 5225
252835 [기타] 영혼까지 내려놓는 국부유출(?) [36] The xian8881 15/10/06 8881
251584 [기타] 홈쇼핑 상품이 전혀 안팔릴때.jpg [8] Anti-MAGE8531 15/09/21 8531
249120 [기타] 사실 제가 먼저 생각한건데 벌써 상품으로 나옴류 甲 [14] 미캉8354 15/08/20 8354
245924 [기타] 더우셨죠? 더 뜨겁게 만들어드리겠습니다 [14] 저글링앞다리8794 15/07/10 8794
222600 [기타] [기타] bgm) 빙과에서 호타로의 좌우명이 확립된 계기 [9] 연의하늘10965 14/10/24 10965
218449 [기타] [기타] KT의 최초 ADSL 상품 기획자의 근황 [33] 요정 칼괴기7887 14/09/17 7887
217649 [기타] [기타] 아마 아이유랑 간접키스 했겠지.. [15] 디자인10463 14/09/08 10463
212848 [기타] [기타] 아이디어 상품 [20] Manchester United6170 14/07/21 6170
210749 [기타] [기타] 요즘 꿀맛이라는 아이스크림? [21] 그라가슴8183 14/07/02 8183
209018 [기타] [기타] 되팔이들의 최후.txt [33] 고윤하9551 14/06/16 9551
208600 [기타] [기타] 조텍 ZBOX 리뷰 [10] V.serum4015 14/06/12 4015
207175 [기타] [기타] 여름용 아이디어 상품 [4] epic5409 14/05/31 5409
206597 [기타] [기타] [럽라계층] PPL [3] 니시키노 마키2832 14/05/26 2832
204523 [기타] [기타] 정품인데도 기분이 애매한 상품 [26] 니시키노 마키7865 14/05/06 7865
203510 [기타] [기타] 아이디어 상품 [25] Darth Vader7242 14/04/26 7242
201955 [기타] [기타] 나폴레옹이 겪은 진정한 패배 [1] 요정 칼괴기4105 14/04/09 4105
201898 [기타] [기타] 흡연자의 파라다이스 [6] GreeNSmufF4223 14/04/09 4223
201358 [기타] [기타] [계층] 상법 [5] 니시키노 마키3336 14/04/04 333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