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14/03/05 15:00:52
Name 절름발이이리
출처 http://web.archive.org/web/20120614211451/http://blog.softbank.co.kr/41
Subject [기타] [기타] 석유파워
원 글은 삭제되었지만, 저장된 페이지를 링크하였습니다.
아주 옛날글이긴 합니다.
간단히 정리해

국영사우디석유공사가 일반 사기업이라면 그 가치(시가총액)는 얼마인가?

란 주제입니다.

유가 일일 생산량이 약 1천만배럴
유가가 배럴당 100달러, 10만원 치면
따라서 일 매출은 약 1조원
연매출은 365조원
순익은 90% 가정 → 330조원
PE multiple 30 가정 → 국영사우디석유공사 시가총액 10,000조원

참고.
현제 세계 최고 시가총액기업 애플의 시총 = 약 400조원
삼성전자 = 약 200조원

:b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4/03/05 15:03
수정 아이콘
어떤 정신나간 과학자나 기술자가 정말 간단하게 에너지 뽑아낼 수 있는 핵융합 기술이나 비슷한 기술을 개발하면 저만큼 돈을 벌까요... 흠...
절름발이이리
14/03/05 15:04
수정 아이콘
석유가 에너지로만 쓰이는 건 아니긴 한데..
얼만큼 돈을 벌 수 있느냐는 그 기술의 효율에 달렸지요.
anic4685
14/03/05 15:05
수정 아이콘
그것보다 석유 없이 플라스틱찍어내는게 더 벌지도...
nokjung777
14/03/05 15:10
수정 아이콘
그 과학자는 이러저러한 과정을 거쳐서 결국에는 암살당할 확률이 높을 것 같습니다...
14/03/05 15:57
수정 아이콘
그런거 만들면 저 회사에서 석유 떨어질 때까지 감금해둘듯....
wish buRn
14/03/05 15:05
수정 아이콘
순익이 90%나 되나요?
..운영비용은 30조라고 생각하면 순익90% 찍을 수도 있겠네요.
절름발이이리
14/03/05 15:06
수정 아이콘
일반적인 기업이면 말이 안되게 큰 수준이긴 한데 (일부 게임회사 정도나 기록하는..).. 석유산업 및 국영사우디석유공사에 대해 잘 모르니 뭐라 답을 못 드리겠습니다.
솔로9년차
14/03/05 15:06
수정 아이콘
1경원...
매사끼
14/03/05 15:07
수정 아이콘
순이익 90%와 PE 멀티플을 30배 준다는 점에서 뭔가 좀 에러...
절름발이이리
14/03/05 15:08
수정 아이콘
원문에는

"그렇다면, PE Multiple은 어느 정도를 가정해야 할까? 유가가 계속 상승, 즉 매출/순익이 중장기적으로 계속 증대될 것으로 예상이 되니, 바꿔서 말하면 엄청난 성장산업인 것이다.

미국주식시장의 평균 PE Multiple인 18 정도 보다는 당연히 높아야 할 것 같고, 그렇다고 잘 나가는 인터넷 기업처럼 50~100 수준은 너무 Aggressive할 것 같고, 한 30 쯤이 어떨까 싶다."

로 잡혀 있습니다. 그렇게 이상한 얘기는 아닙니다.
매사끼
14/03/05 15:16
수정 아이콘
우선 순이익 90%부터 얘기하자면...

아람코가 사기업임을 가정할 경우에 국가에 세금을 안낼까요?
석유 의존도가 높은 국가이기 때문에 사기업일 경우 상당히 높은 세율을 적용받을 수 밖에 없습니다.
매출 전체가 세전이익이라 해도 세율 10%만 넘으면 순이익률 90%는 안나오겠지요.

그리고 최근에 어느 보고서에서 석유의 채굴원가가 대략 60불 정도 된다라고 봤었던 것 같은데, 이건 출처가 잘 기억이 안나니 패스...


멀티플 30배에 대해서 얘기해보면,
글로벌 슈퍼사이즈 기업의 경우 멀티플을 높게 못받는 경향이 있습니다.
세계 시가총액 순위에서 10위권 안에 속하는 중국의 국영은행이나 러시아 국영 석유업체의 멀티플은 10배 미만이죠.
애플도 13배, 삼성전자도 8배 수준으로 높지 않습니다.
그만큼 이미 이익의 규모가 거대하면 추가적인 급성장을 가정하기 어려워서 멀티플을 높게 주지 않는 것이고...

기업의 밸류에이션 멀티플은 그 국가의 리스크 등을 반영하게 되는데 사우디 아라비아가 높은 멀티플을 줄 수 있는 환경인지,
그리고 국가의 간섭이 많은 산업일수록 멀티플이 낮아지는 특성도 있기 때문에
PE 30배라는건 합리적인 수치라고 보기는 좀 힘들 것 같습니다.
절름발이이리
14/03/05 15:22
수정 아이콘
음. 순익에 대해선 무의식적으로 EBIT 기준으로 생각하고 있긴 했었는데.. 뭐 그렇다고 제가 90%가 일리있다고 생각했던 건 아니었으니..
초거대 기업이어서 멀티플이 적게 머겨질 가능성이 있다는 건 합리적인 설명이네요. 애플 PER이나 삼성 PER도 요즘은 10 근방인걸로 알고 있습니다.
사티레브
14/03/05 15:14
수정 아이콘
왜 에러에요?
절름발이이리
14/03/05 15:16
수정 아이콘
저 순익율은 일반기업 치고는 말도 안되는 수준이긴 합니다. 근데 국영석유공사 자체가 좀 말도 안되는 기업이라.. 혹시 모른다 정도.
14/03/05 15:18
수정 아이콘
정말 석유가 고갈되기는 하는 걸까? 덜덜
Darwin4078
14/03/05 15:19
수정 아이콘
순이익 90%가 유머...-0-;
wish buRn
14/03/05 15:27
수정 아이콘
석유산업은 카르텔형성이 가능하니 채굴비용에 비해 바가지씌운다고 가정하면 가능한데요..
저도 순익율 90%라고 생각하진 않습니다 크크
자유의영혼
14/03/05 15:31
수정 아이콘
본문 내용은 이미 순익 90%에서 에러고..

이게 상장기업이라면.. PER(수익대비가격)이 아니라 PBR(자산대비가격) 1배로 적정가격이 계산되지 않을까 싶네요.
자산은 매장량*단위가격이 되는거고.. 유가따라 평가금액이 출렁출렁하겠죠.
사실 맘먹고 계산한다면 의외로 다른 기업들에 비해서 적정가격이 더 정확하게 산출될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계산 해보는건 귀찮으니 패스.

여튼 10,000조라는 수치는.. 앞으로도 저만큼 흘러들어올 자본이 남았다는 얘기가 되겠죠.
적토마
14/03/05 15:41
수정 아이콘
석유회사는 PE, EBITDA 혹은 Reserve 멀티플로 보는게 맞습니다. 은행처럼 보유 자산이 P&L과 명확한 관계가 있는 경우에나 PB를 봅니다.
그건 그렇고 인터넷회사 50-100배가 유머네요 딴건 다 넘어간다고 해도.
절름발이이리
14/03/05 15:57
수정 아이콘
성장성이 높은 인터넷 회사면 그 정도 나오죠. 초대규모로 가면 드물어지지만.. 페북이나 아마존등같은 예가 있죠.
적토마
14/03/05 16:11
수정 아이콘
PE로 평가되지 않는 아마존 같은 회사를 "30x PE"란 수치를 도출해내는 도구로 사용한다는게 유머죠.
절름발이이리
14/03/05 16:12
수정 아이콘
뭐 사실 시가총액이란 것 자체가 합리적인 툴만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란 점이 이 논의가 지닌 한계겠지요.
적토마
14/03/05 16:16
수정 아이콘
형성되는 과정 자체는 그나마 꽤 합리적이지 않나요? 그것을 다른 회사를 평가하는 잣대로 사용할 때 "비교가능"한 범주에 따른 불합리가 있을 순 있어도.
절름발이이리
14/03/05 16:37
수정 아이콘
합리성이 전혀 없단 뜻이 아니라, 합리적이지 않은 것들도 같이 낑긴다 이말이죠.
자유의영혼
14/03/05 16:28
수정 아이콘
네.. 매장량(reserve)을 자산의 개념으로 생각해서 쓴건데.. (위에 자산은 매장량*단위가격'이라고 쓴 이유)
엄밀히 말하면 제 표현이 틀린거겠네요. 회계상에서 매장량이 자산으로 계산되지는 않을테니.. 음 그래도 개발권이 자산으로 포함이 되긴 하겠지만..
여튼 reserve 멀티플로 보면 적정가치 계산하는게 어려운일만은 아닐거 같네요.
적토마
14/03/05 16:32
수정 아이콘
Aㅏ 제가 제대로 읽지도 않고 댓글 남겼군요. 죄송합니다~
14/03/05 16:11
수정 아이콘
근데 10000조니 어쩌니 하지만 결국 따져보면 지구가 차곡차곡 예금해둔걸 무지막지하게 인출해대면서 돈 벌었니 하는 모양새가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86713 [게임] 시총 11조원 돌파한 게임회사 작년 실적 [13] 크레토스10348 20/05/21 10348
386467 [기타] 한일 기업 시가총액 Top 50.jpg [49] VictoryFood13264 20/05/18 13264
380049 [기타] 아 이거 완전 X잡주네 [15] 덴드로븀9715 20/03/16 9715
376083 [유머] 대한민국 주식시장 역사상 최대의 작전주 [17] Croove12907 20/02/05 12907
373258 [기타] 주요국 증시 시가총액 현황.gisa [42] VictoryFood12753 20/01/03 12753
365908 [유머] 재미로 보는 아파트 단지 시가총액 Top 10 [7] VictoryFood8972 19/10/12 8972
352231 [유머] ???:스타크씨 주신 카드로 마음껏 사고 있어요! [4] Synopsis8316 19/05/07 8316
349400 [기타] 세계 주요 기업 영업이익.jpg [29] 매일푸쉬업11634 19/04/04 11634
342880 [서브컬쳐] [컴타쿠tv] CEO해고하려고 천만달러를 쓰는 회사가 있다?! [13] Lord Be Goja6568 19/01/05 6568
321883 [기타] 세계 it기업 시가 총액 2018/1/28 ,,바이오 추가. [31] Lord Be Goja9451 18/02/15 9451
319393 [유머] ???: 한국은 원래부터 코인 최적화형 민족이었다 [19] 홍승식9098 18/01/08 9098
319223 [유머] 3일만에 16조원어치격차를 역전 [31] Lord Be Goja15058 18/01/05 15058
319055 [유머] ??? : 예로부터 한국인은 코인 최적화 민족이었다. [22] 김티모10007 18/01/02 10007
304357 [기타] 유나이티드 항공 근황 [45] 낭천12918 17/04/13 12918
267696 [기타] 코데즈컴바인 주주들의 미래.jpg [10] 피너츠11162 16/03/15 11162
256840 [기타] 주식하락 레전드 [20] Anthony Martial12427 15/11/12 12427
250037 [기타] 세계 인구 지도, 주식 시가총액 지도 [12] 시나브로8347 15/08/31 8347
246434 [연예인] 유일신 유재석의 파워 [4] Leeka8085 15/07/17 8085
197791 [기타] [기타] 석유파워 [27] 절름발이이리6972 14/03/05 6972
142190 [기타] 올해 첫날에 주식을 샀다면? [12] lovewhiteyou6711 12/12/08 6711
70287 [유머] [자작] 주식으로본 걸그룹 [20] ㅇㅇ/8808 10/01/28 8808
67106 [유머] [2CH]일본 거품경제시절 증언들 [23] 해골병사9790 09/11/16 9790
40216 [유머] 쩐의 전쟁 유머(드라마 보시는 분만 이해 가능) [9] 상이5027 07/06/29 502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