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13/11/09 03:25:43
Name 싼쵸가르시아
File #1 76ca0aa597fc9aec26422f1e3af04ebe.jpg (51.4 KB), Download : 55
File #2 196976_1329174155.jpg (87.6 KB), Download : 49
Subject [기타] [기타] 97년 수능 성적표 및 배치표




역대 최강 난이도라는 97년 수능...
인터넷 검색하다보니 성적표와 배치표가 나오는군요. 절대로 제성적표는 아닙니다.
저도 물론 쳤지만 그냥 무난한...
처음으로 400점만점으로 바뀐해였습니다.
당시 수리1 전국평균이 18점대라는군요.
전국수석이 380점대
차석이 370~360점대라니...어마어마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그래도아이유탱구
13/11/09 03:30
수정 아이콘
저는 저 점수대가 더 익숙해요. 친구들한테, 280점을 받은건 250점은 풀어서 받은 거고, 30점은 나머지 150점을 5지선다로 찍어서 받은 거니, 찍기 확률을 1/3로만 올려도 300점을 받을 수 있다... 는 식으로 약을 팔았죠.
아무로나미에
13/11/09 03:33
수정 아이콘
제가 99년 수능때 수학포기했었는데 쉽게 나와서 망했죠 (이때 기준으로 언제나 수학포기라도 가고싶은학교 갈수있었거든요 모의고사 수학이 장난아닌 펼균이었어서) 참 슬픈이야기죠 이때 수학레벨이었으면 갈수있는데 다갔죠
유머는 알고보니 전략잘세웠음 다갔다는거. 괜히 3학년때 의상학과 꿈구다 두개만 썼거든요.
그리고 둘중의 하나는 붙었는데 아임에프 터지고 돈 없어서 학교 못간건 안자랑
13/11/09 03:34
수정 아이콘
이때는 과탐이나 사탐같은건 없었나요?
삼공파일
13/11/09 03:35
수정 아이콘
수리탐구2가 사탐 + 과탐이에요
싼쵸가르시아
13/11/09 03:35
수정 아이콘
수리탐구2에 다포함되 있었습니다. 120만점이구요
13/11/09 03:47
수정 아이콘
아그렇군요 답변감사합니다~
13/11/09 07:27
수정 아이콘
과탐 사탐이 있었을뿐아니라 과목이아주 풍부했죠;;;

사탐이 국사,세계사, 한국지리, 세계지리, 정치경제,사회문화, 국민윤리 전부..
과탐이 물리,화학,생물,지구과학 전부...

합쳐서 수리영역2
13/11/09 10:40
수정 아이콘
허허 대박이네요;;
삼공파일
13/11/09 03:34
수정 아이콘
그래도 그 때보다 지금이 대학 가기 훨씬 힘들죠.
싼쵸가르시아
13/11/09 03:36
수정 아이콘
그런것 같습니다. 요즘은 어릴 때부터 스팩관리를 하더라구요.
포프의대모험
13/11/09 04:40
수정 아이콘
정시로 가는건 힘든데 줄어든 수험생 숫자랑 늘어난 대학 정원 생각하면 딱히 힘들어진거같지는 않습니다
서울대 7천명뽑던 시절하고 비교하면 서울대가기야 좀더 힘들겠지만요.
13/11/09 07:28
수정 아이콘
사실 수능 일원화에 가까운데다가
시험 어려운게 상위권부터 변별력이 좋아져서 실력만큼 대학가기가 수월한면이 있죠..

한두개 실수나, 찍기 운빨이 덜 먹히고 공부한만큼 성적받기가 좋습니다.
싼쵸가르시아
13/11/09 03:34
수정 아이콘
수석이 370점대이고 차석이 360이네요
언어 120만점 수리1 80점만점
수리1 인문계평균은15점이라네요...
전... 평균보다 높습...
Tchaikovsky
13/11/09 03:36
수정 아이콘
전 98학번인데. 아마 기억에 수능이 쉬워진 첫번째 시험이 아니였나 싶어요.
수능보고 온 저녁에 EBS로 가채점하니 점수가 300점이 넘더라고요. 97년도 생각하고, 그날 저녁엔 제가 서울대 가는 줄 알았는데.
다음날 학교에 가보니 친구들 사이에서 인사가 300점 넘었냐. 모의고사에 비해 점수 몇점 올랐냐. 시끌시끌 했던 기억이.
아케르나르
13/11/09 09:40
수정 아이콘
맞을겁니다. 97학년도가 역대급 난이도였고, 그 다음해가 많이 쉬워졌었죠.
tannenbaum
13/11/09 03:43
수정 아이콘
혹시 340점 만점 세대는 없으신가요?
13/11/09 03:56
수정 아이콘
99학번이라 고3때 기출문제로 97꺼 풀어봤는데 높았던 악명에 비해 점수가 잘나와서 깜짝 놀랬었죠..
물론 이미 1년이 넘게 지나 문제집이나 다른 시험에서 비슷한 문제를 접해봤었으니 점수가 더 잘나왔겠죠..
류화영
13/11/09 03:56
수정 아이콘
혹시 저때 수능 만점받은사람 있었나요?
펠릭스
13/11/09 03:58
수정 아이콘
아뇨
펠릭스
13/11/09 04:00
수정 아이콘
문과였던 제 기준으로는 당시 시험 난이도는 사탐이 지존이었는데 이과쪽 수리2도 만만치 않네요. 지금으로 치면 100점 만점에 74점이면 1.4%.
minimandu
13/11/09 04:03
수정 아이콘
저때 언어도 장난 아니었습니다.
2막3장
13/11/09 10:32
수정 아이콘
일단 읽기가 벅차...
그냥 속도로 다읽고 나면 문제풀시간이 없어지죠..
무조건 속독+요점파악... 풀고나서 어려운건 버림스킬이 필요했습니다..
Holy shit !
13/11/09 04:08
수정 아이콘
지금 기출문제랑 예전 기출문제라 비교하면
수리는 수준이 점점 떨이지는것 같고, 외국어는 점점 올라가는것 같은데...
7차교육과정 첫 세대라 기출문제라곤 6차과정밖에 없어서 6차과정 문제 많이 풀었었는데 외국어는 너무 쉬웠다는....
황금사과
13/11/09 04:08
수정 아이콘
특차 있던 시절 수능 몰빵하면 되겠다 싶었는데
코앞에서 폐지되고 대신 수시라는 괴물이 등장(...)
헤나투
13/11/09 04:18
수정 아이콘
실례(?)가 되는 이야기 일수도 있지만... pgr 평균연령이 높긴하네요 흐흐;;
가정맹어호
13/11/09 04:31
수정 아이콘
정정합니다.97년수능은 96 년에 본시험이네요.
97년에 1학년이었으니 98수능이었겟네요 .으 쪽팔려 ㅜㅜ


97년 수능이 이정도였나요?

제기억과는 딴판이네요?????;;;;;
고1때 같은반에 땡땡이는 기본이요.술냄새 풍기며 학교오고
한 보름씩 학교 안나오는 친구가 있었는데
시험만 보면 전교 1등을 가끔씩해서 선생님들이 여러가지 의미로 주시하던
그런 친구였는데.

수능다음날 담임이 교무실로 데려가서 그해 수능 시험지 나온걸로
정확히 시간 재고 풀게 해서 280 점정도 나온걸 보고

"쟤가 머리가 좋긴 좋구나,안배운것도 풀줄아네"

정도로 생각했었는데 ....이런 극악 난이도 였나요???
13/11/09 04:36
수정 아이콘
알고 계실지도 모르겠지만 '97년 수능'과 '97학년도 수능'은 다릅니다.
가정맹어호
13/11/09 04:40
수정 아이콘
네 당황해서 찾아보니 97년 수능은 96년에 보는 시험이군요.
별로 놀랄일은 아니었네요.
Belldandy
14/07/05 17:24
수정 아이콘
97학년도 수능이란, 대학교 97학번을 위한 수능을 말합니다. 97년 수능은 97년 11월에 친 시험을 말하는 겁니다.
근데 보통 사람들이 같은 의미로 써서 좀 그렇긴 하죠.

내년 15학번을 위한 올해 수능 시험 이름이 2015학년도 수능시험이 되는 겁니다.
포프의대모험
13/11/09 04:44
수정 아이콘
그냥 개인적인 생각인데 요즘처럼 수시비중 높이는건 폐혜가 너무커요. 아예 내신으로만 뚫리면 도농 불균형 해소라는 명분이라도 잡을텐데 입학사정관....
수능쳐서 대학가기는 진짜진짜 힘들어졌더라고요. 같은 백분위면 연고대 갈 점수로 중경외시도 간당간당..
13/11/09 09:03
수정 아이콘
수능, 대입은 볼때마다.. 그렇지만. 무조건 어려워야되고, 수시 입학사정관 폐지해서 수능 초기로 가야하지 않나하는 생각이..
학생수는 어마어마하게 줄었는데, 정시 %수보면, 말도안되는 컷들도 나오는것 같고요.

뒷구멍들 다 막고, 논술 심화면접 다 없애고 줄세우는게.
sprezzatura
13/11/09 05:07
수정 아이콘
저 극단에 있던 수능이 만점자 66명 나온 2001 물수능이죠.
원점수 381점이 중앙대 겨우 들어갔던
GO탑버풀
13/11/09 10:27
수정 아이콘
제 친구는 성대경영 합격했는데...
중대가 당시 나군이라 그랬을지도...
13/11/09 05:21
수정 아이콘
수능은 어렵고 봐야되는거 같아요..
최원빈
13/11/09 06:55
수정 아이콘
저때 생각하면 눈물이...
13/11/09 07:16
수정 아이콘
이때 전국수석 380점대 아닌걸로 기억해요. 370점대 초반 아니었나요?
13/11/09 07:22
수정 아이콘
370점대 맞습니다. 저희 학교 선배님이셨거든요.
수석하고 서울대 물리학과 가셨죠.
지금같으면 상상하기 힘들일 크
Belldandy
14/07/05 17:24
수정 아이콘
이과 수석이 제주 대기고, 373점입니다.
꽃샘추위
13/11/09 07:39
수정 아이콘
02수능도 어려웠다고 생각하는데 비교가 안되네요
The HUSE
13/11/09 08:04
수정 아이콘
96년도 나름 어려웠는데...
13/11/09 08:32
수정 아이콘
사실 97보다 더 어려운게 96전형이었죠..

97은 어려운들 수능뿐이었는데..
96은 수능도 어려운대다가 본고사...

96세대들은 수능공부는 상대적으로 안했던걸로 기억합니다.
13/11/09 09:07
수정 아이콘
200점 만점,시험 2번....
시험을 왜 대체 바꾸는지...생각해보니 이때부터 오락가락 했었던것 같은데...(예전 학력고사 시절은 그닥 제도변경의 느낌이 없었는데)
13/11/09 10:00
수정 아이콘
위에 건 97학년도 시험이고
아래건 96학년도 수능 예상 배치표입니다.
Belldandy
14/07/05 17:20
수정 아이콘
97학년도 시험( 96년 11월 시험) 맞구요. 배치표도 97학번을 위한 것 맞습니다.
제가 78년생이고 첫 400점 만점 시험이었거든요. (현역 강사이기도 합니다 크크)
ataraxia
13/11/09 10:04
수정 아이콘
최고의 물수능 01년...고2였던 제가 풀어도 370이었던..
GO탑버풀
13/11/09 10:29
수정 아이콘
아..01수능 문과 378맞고 좋아했는데 현실은.... fail....
다 군에 인하공대로 교차지원했었는데 예비 150번대...
라 군에 경희대호텔경영은 예비에도 없었고
재수하고 폭망....ㅠㅠ
2막3장
13/11/09 10:33
수정 아이콘
경희대 호텔 경영 가셨으면... 한가인 만나셨을지도 ?!
GO탑버풀
13/11/09 10:41
수정 아이콘
가려면 10~15점 더 맞아야했을거에요
고대 인문 간 제 베프가 원점 385맞았었는데 걔도 예비없이 광탈해서..
한가인씨가 경희호텔경영이었나요...
시험이 쉽긴 했지만 공부 잘하셨네요
2막3장
13/11/09 13:00
수정 아이콘
네~ 경희대 호텔경영으로 알고있어요..
혹시나 해서 찾아봤는데,
경희대 관광경영학이라고 네이버엔 나와있네요.. 다른건가...
theRedlantern
13/11/09 12:23
수정 아이콘
2002수능 수리영역도 어려웠는데요 흐흐 물론 저는 80점이라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216916 [기타] [기타] 정말 정말 어려웠던 이재훈 히든싱어 1라운드 [28] 장야면6948 14/08/31 6948
213067 [기타] [기타] [계층] 난 그냥 편하게 마카롱만 먹으려고 했을 뿐인데... [23] 미캉4765 14/07/23 4765
212943 [기타] [기타] 일본의 1인 고깃집 [21] Duvet7592 14/07/22 7592
207428 [기타] [기타] 탐나는 천재 [39] 잔인한 개장수12279 14/06/02 12279
200628 [기타] [기타] [디아3] 메타크리틱 점수 & 포브스 리뷰 [52] GB7687 14/03/29 7687
200311 [기타] [기타]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고행 난이도 [3] 인간흑인대머리남캐3669 14/03/25 3669
187826 [기타] [기타] 삼국지 영걸전 오프닝 [13] 오즈s6005 13/12/22 6005
187787 [기타] [기타] [퀴즈] 더지니어스 결합게임 10라운드 (스포주의) [15] 카키스6455 13/12/22 6455
187490 [기타] [기타] [난이도 하] 다음중 자연스러운 느낌의 사진을 고르시오 [5] MB5185 13/12/19 5185
186679 [기타] [기타] 잉여들의 친구 아머게임즈의 Rebuild2 [11] OrBef7233 13/12/14 7233
181322 [기타] [기타] 97년 수능 성적표 및 배치표 [50] 싼쵸가르시아26707 13/11/09 26707
181118 [기타] [기타] 언어랑 수학도 나왔으니.. 올해 영어B형 가장 어려웠던 정답률 21%짜리 문제. [51] 로쏘네리10402 13/11/07 10402
181111 [기타] [기타] 언어영역 최고 난이도 문제 [33] Duvet7588 13/11/07 7588
173379 [기타] [기타] 닌텐도 게임 덕력 시험 (난이도 上) [16] 여우달기5128 13/09/10 5128
168083 [기타] [기타] 오덕테스트 역대 최고 난이도 (노중복) [16] 오카링6430 13/08/05 6430
165515 [기타] [기타] 조작방송 EBS [8] 순두부10129 13/07/18 10129
160131 [기타] [기타] 아리 기다리다가 지치신 분들께 바치는 게임 [5] AuFeH₂O6697 13/05/31 6697
158798 [기타] [기타] sd건담 캡슐파이터 플레이 영상 [20] Paranoid Android5047 13/05/21 5047
158461 [기타] [기타] 아머게임즈 신작 The Kings League Odyssey [11] 보봉보14874 13/05/18 14874
156077 [기타] [기타] 불금엔 잉여들의 친구와 함께 [4] 인간흑인대머리남캐6436 13/04/26 6436
155414 [기타] [기타] 오랜만에 리니지.avi [42] 드롭박스6240 13/04/19 6240
154730 [기타] [기타] [게임] The King's league : Odyssey 왕의 리그 샨티엔아메이5127 13/04/14 5127
153303 [기타] [기타] lol 유행어도 초성퀴즈 한번 가죠. [35] Anyname4973 13/04/01 497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