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13/08/20 20:46:04
Name legend
Subject [기타] [기타] 순도의 차이


이과 끝판왕 오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3/08/20 20:48
수정 아이콘
지구과학은 이런 짤에서조차 찬밥 ㅜㅜ
Aneurysm
13/08/20 21:31
수정 아이콘
지구과학은 고딩들한테도 까임 ㅠㅠ
개인적으로 응용학으로써 대단히 중요하다고 생각하지만서요.
13/08/20 20:49
수정 아이콘
물리학이 수학보다 응용학문에 가까운건 맞지만 화학 이하는 근본적으로 물리학+통계학으로 전부 다 설명 가능한것과 달리 물리학은 수학으로 전부 다 설명 가능하냐면 좀 아닌거같네요.
13/08/20 20:54
수정 아이콘
저는 '먹고살기 힘든' 순도로 이해하고 봤더니 놀랍게도 맞아떨어지는것 같습니다.
13/08/20 20:56
수정 아이콘
화학자가 생물,심리,사회학자보다 먹고살기 쉽다고 보는데... 화학 물리 수학 서열만은 맞지만
jjohny=Kuma
13/08/20 20:56
수정 아이콘
으흠 저 중에선 생물학자나 화학자가 가장 먹고 살기 좋지 않을까요?
13/08/20 21:04
수정 아이콘
선진국에서 수학자는 연봉도 높더라구요...
사티레브
13/08/20 20:49
수정 아이콘
문과로하면 철학과가 끝판일듯한데..
어떻게되려나
swordfish
13/08/20 20:50
수정 아이콘
정치학자: 심리학이 어떻게 사회학을 응용심리학이라 하느뇨?

그런데 사회학은 심리학보다 수학하고 더 친하죠. 통계 내야 하거든요.
나다원빈
13/08/20 20:54
수정 아이콘
수학이 끝판왕이라고 하는 건 뭐랄까
제 느낌상으론 모든 인문학의 끝판왕이 언어학이라는 느낌이랄까요.
수학은 과학의 언어이니...
그르지마요
13/08/20 21:06
수정 아이콘
언어학 중에서도 기호학이 최고 아닐까요? 기호학의 대상이 아닌게 없으니....
13/08/20 20:56
수정 아이콘
저희학교 수학과 조교실 문짝에 붙어있는 그림이군요 흐흐.
jjohny=Kuma
13/08/20 20:57
수정 아이콘
으엌크크크크
jjohny=Kuma
13/08/20 20:57
수정 아이콘
자게글도 있고 하니,

이런 건 순수부심이라고 하나요? 흐흐
13/08/20 21:16
수정 아이콘
사회학도로써 수학, 생물학, 심리학과 연계된 부분은 이해하겠습니다만.. 수학이 최고의 순도를 자랑한다고는 못하겠네요.
오히려 순수학문의 끝판왕은 철학이죠. 그 많은 고대 수학자들 대부분 본업은 철학자라고 봐도 될 정도니까요.
있어요399원
13/08/20 21:24
수정 아이콘
저기 검은칸에 철학자 계십니다?
Aneurysm
13/08/20 21:30
수정 아이콘
일단 모든문제의 출발점의 '정의' 에서 시작되는것이라
철학자가 순수하다고 보는건 어떤 기준으로냐에 따라 다르겠지요.
개인적으로는 역시나 수학만한 학문이 없다고 봅니다.
사람마다 세상사 모든것들이 다른 색으로 보이고 다르게 해석되지만,
수학만큼은 모두 같으니까요.
자연 그 자체의 언어이니.
13/08/20 21:49
수정 아이콘
자연의 언어라는 지위를 부여하는 것도 사실은 매우 자의적인 개념이죠. 애초에 공리 자체가 인간의 인지능력에 맞추어진 개념들이니까요. 유클리드 기하 뿐만 아니라 위상수학도 다 인위적인 공리들을 사용해서 세워진 연역적 사고에 의한 인간 관념상의 건축물에 불과합니다. 자연에 존재하는 언어를 우리가 발견한 것이 아니라 유의미한 구획들을 분절시켜 공리를 만들고 연역적 사고로 확장시킨 것 뿐이죠.
13/08/20 21:40
수정 아이콘
Purity라는 단어의 특성을 비추어봤을 때 포괄성이라는 개념보다는 엄밀성의 개념에 가깝다고 봅니다. 실제로 학문의 분과의 배치도 그렇구요. 그런 의미에서 수학이 끝판왕 맞죠. 다만 웃긴건 수학조차 불확정성의 원리가 적용된다는게;
아스트랄
13/08/20 22:36
수정 아이콘
그렇죠. 나머지는 다 귀납적인 학문이라 예외가 존재하는데 수학은 연역적인 학문이니까 purity 라는 부분이라면 끝판왕이죠.
그리고 불확정성 원리가 아니라 불완전성 원리 아닌가 하는데요.
13/08/20 22:48
수정 아이콘
전공이 아닌지라 얕게 알고 있어서 둘 다 같은 용어인 줄 알았네요. 다시 보니 전자는 물리학에서 쓰이는 개념이고 후자는 수학에서 쓰이나 보군요. 정정하겠습니다.
오카링
13/08/20 21:17
수정 아이콘
이런 유머라면 역시 철학짱짱맨!!!
모든 것의 원류아닙니까...
감자튀김
13/08/20 21:20
수정 아이콘
기승전철학짱짱맨!
옆집백수총각
13/08/20 21:24
수정 아이콘
그렇죠 모든것의 원류 철학 크크..
그림자시민
13/08/20 21:41
수정 아이콘
철학: 크크크.....
13/08/20 22:30
수정 아이콘
영문학:.........집에 가야겠다
13/08/20 22:47
수정 아이콘
수학괍니다 흐흐
원시제
13/08/20 23:56
수정 아이콘
철학은 뭐; 모든것의 시작이자 모든것의 끝이니까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201256 [기타] [기타] [이과계층] 세계를 바꾼 18가지 공식 [15] 니시키노 마키5183 14/04/03 5183
201176 [유머] [유머] 질 수 없뜸 [10] 토어사이드(~-_-)~5378 14/04/02 5378
200436 [기타] [기타] 문과수학 이과수학 [15] 삭제됨3499 14/03/26 3499
197533 [유머] [유머] 197515글 관련, 죽도록은 아니고 억울하게 맞은 썰입니다. [2] QED4lag3541 14/03/03 3541
184114 [기타] [기타] 올해 수능만점자 [23] 정유미8191 13/11/27 8191
183901 [유머] [유머] 이과대학 전공자들 공감글? [38] SCV7118 13/11/26 7118
182239 [기타] [기타] 문과 Vs 이과 [35] Hsu7020 13/11/15 7020
181283 [유머] [유머] 뭔지 알면 이과생, 모르면 문과생.. [23] 김치찌개6016 13/11/08 6016
181230 [유머] [유머] 남자분들 머리 아파지고 싶으면 보세요 [81] 하늘의 궤적15474 13/11/08 15474
180680 [스포츠] [스포츠] [이과계층] 아챔 결승 2차전을 앞둔 광저우의 광고 [19] LowTemplar5067 13/11/04 5067
180599 [유머] [유머] 레고 조립 [14] Annie7231 13/11/04 7231
179341 [유머] [유머] [2ch] 이과용어로 고백하기 [30] 유르유르8411 13/10/25 8411
175272 [유머] [유머] 소설가별 아침식사 모음 [15] 미캉11665 13/09/25 11665
172891 [유머] [유머] [해외축구] 들린다 들려... [8] 곰주7526 13/09/07 7526
171760 [유머] [유머] 이과생만 이해한다는 글 [56] Wicked8695 13/08/30 8695
170189 [기타] [기타] 순도의 차이 [28] legend8052 13/08/20 8052
167995 [스포츠] [스포츠] 해외축구 몸값 랭킹 TOP 50 [10] sprezzatura8512 13/08/05 8512
165637 [스포츠] [스포츠] 레알의 영입 전략 [3] swordfish5987 13/07/19 5987
164144 [스포츠] [스포츠] [해축] 마드리드를 떠나는 이과 [5] 꼬깔콘6906 13/07/05 6906
162554 [스포츠] [스포츠] [해축] 흔하지 않은 이과인 오퍼?(수정) [25] 꼬깔콘6321 13/06/20 6321
161594 [기타] [기타] 리영희 교수의 도조 히데키 디스 [14] swordfish7136 13/06/12 7136
158092 [기타] [기타] 이과생 여러분... [20] 가만히 손을 잡으6963 13/05/15 6963
156523 [기타] [기타] [애니계층]나는 친구가 적다 실사 영화화 예정.. [16] 투투피치6728 13/05/02 672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