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tvN '더 지니어스' 관련 게시글을 위한 임시 게시판입니다.
- 방송 기간 한정 임시로 운영됩니다. (선거, 올림픽, 월드컵 게시판과 같음)
Date 2014/01/12 00:48:23
Name 비연회상
Subject [기타] 노약자/임산부의 시청을 권하지 않는 룰브레이커 6회(당연히 스포)
지난번 글에서도 썼지만 '이런게 이 프로그램의 재미지!'라는 입장이었습니다만...

제가 제 손가락 움직여서 쓴 글을 뒤집게 할 정도로 오늘 회차의 멘붕은 컸네요. 방송을 차마 끝까지 보지 못하고 꺼버렸습니다. 그래도 여전히 은지원이나 조유영에게 분노를 느낄 정도의 몰입이 있었던건 아니지만, 이두희가 이런 식으로 아웃되는건 뭔가 납득하기 힘들었거든요.

그럼에도, 솔직히 말해 이번 회차는 지난 6회중 가장 재미있었습니다. 씁쓸함과 멘붕을 주는 것과는 별개로, 정말 반전에 반전을 거듭하는 '예능'으로서의 재미는 탁월했어요. '연예인 파벌(?)을 이용해서 노이즈마케팅을 하려는 PD의 음모인가'라는 생각이 들 정도의 연출과 편집이어음에도 불구하고... 그건 매우 성공적(?)이었다는 평가를 거부할 수가 없네요.

그래도 일부의 반응은 좀 아쉽긴 합니다. 이번 회차는 충분히 다들 열받고 누군가를 특정해서 손가락질 하는게 이해가 되는 회차였습니다만... '쓰레기같은 프로그램' 'X망' '이제 안볼거다' 라는 식의 비난은 너무 오버죠.

일단 이은결과 달리 이두희에게는 심적으로 동조하게 되고 감정이입이 됐던 이유가, (비록 그게 본인의 부주의때문이긴 했지만) 신분증 분실(에 이은 점유이탈물 횡령-_-;)이후 무기력하게 게임에 전혀 참가하지 못하고 방황했던 것이 너무 황당했고 안타까웠기 때문입니다. 게임을 위한 도구가 손을 떠나서 떠다닐 수 있다는 것은 이미 시즌1때부터 비춰준바 있기 때문에 조유영과 은지원의 점유이탈물 횡령;를 수긍 못할것도 없지만, 그래도 얄미운건 어쩔 수 없잖아요. 게다가 나중에 가서야 '첨엔 장난이었는데 어쩌다보니..'라고 변명하는 것은 더 상황을 어색하게 만들었구요.

하지만 이두희에게도 이런 완패의 책임이 없다고는 말 못하겠습니다. 막판의 거의 자포자기한 수준의 올인은 너무 비이성적이었죠. 물론 뒤통수를 연타로 맞은 멘붕상태에서 무슨 이성이고 개뿔이고가 있겠냐마는... 유정현, 노홍철, 홍진호의 매우 진지하고 집요한 조언과 설득이 있었음에도 '이 지경이 됐는데 설마?'라는 식으로 밀어붙인 것은 용기나 대담함이 아니라 자살행위에 가까웠죠. 시즌1의 비호감 탑을 먹은 김구라의 명언이 있잖습니까. '연예인 아닌 사람들을 내가 또 볼 것도 아니고...' 막말로 은지원은 이두희랑 두번다시 안볼 사이가 된들 무슨 대수겠습니까. 사적으로 전화통화 했다는 얘기는 너무 구차하고 순진함을 넘어서 바보스러운 것이죠.

근데 이 프로의 흥미로운 점이, 대본없이 가는 리얼임에도 불구하고 지난 회차에서 플레이어들의 캐릭터의 단서들이 복선처럼 깔린다는 겁니다 . 이두희가 이런식으로 멘탈이 유리스럽다는 느낌은 이미 받아왔어요. 그가 순진한 컴돌이라서가 아니라, 게임에서 보여준 행동들에서 말이죠. 뛰어난 두뇌를 갖고 있지만 지독스러운 '관계'의 게임안에서 '아 어떡하지 어떡하지' 하며 우왕좌왕하는 모습들은 시종 불안감을 줬습니다. 그게 이런 식으로 결정적 순간에 위험천만한 도박수를 낳고야 말았다는게 참 씁쓸합니다.

어쨌든 결론적으로는 이상민의 뜻대로, 아니 목표의 50%는 달성됐네요. 지난번 글에서 썼지만 여전히 게임을 주도적으로 하는 플레이어는 단 두 사람, 홍진호와 이상민 뿐입니다. 그런데 재밌는건, 우승을 여러번 하고 데스매치 한번을 안가며 게임을 마음대로 휘젓는 강자인 이상민은 과반수 플레이어(=연예인들)에게 경계의 대상이 되지 않고 있다는 것이죠. 그 자신이 가장 강자의 면모를 보여왔음에도 오히려 홍진호를 지목해서 집요하게 타겟팅함으로써 자신은 교묘하게 빠져나가고 있습니다. 전혀 게임을 주도적으로 못하고 말하는 병풍노릇을 하는 연예인들(=은지원 etc)은 충실히 이상민의 노예 노릇을 하고 있을 뿐이고.. 이건 시즌1때 김경란이 엄청나게 잘 하던 짓인데 롤을 잘 물려 받았네요(?)

이제 '추악하고 부당해보이는 승리'가 절정에 치달았는데요.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점점 더 선악의 구도로 몰리고 있는 것 같습니다. 악이 뭔지는 아직 명백하지 않지만, 분명한건 악역 자리에 홍진호는 없어요. 아직까진 말이죠.

홍진호는 시즌 1에서 (이상민이 지금 하고 있듯) 연예인이나 기타 병풍노예들을 조종하며 게임적 능력과는 별개로 지배자가 되어갔던 김구라를 전혀 예상치못한 타이밍에 과감하게 쳤습니다. 그건 홍진호의 우승으로 향하는 길을 열어주는 중요한 순간이었다고 확신합니다.

솔직히 임요환에게는 더 이상 기대할 것이 없어보이고... 실질적으로 7회부터는 홍진호vs이상민이라고 해도 과언은 아닐듯 합니다. 이상민은 너무 압도적으로 커져버렸어요. 그에게는 불멸의 징표까지 있습니다. 은지원 etc 노예들은 손바닥 위에 올려놓고 조종하는 지배자이기도 하구요.

개인적인 바람은, 홍진호가 이쯤에서 이상민을 수단방법을 가리지 않고 제거했으면 좋겠다는 겁니다. 물론 불멸의 징표 때문에 매우 어렵겠죠. 하지만 이대로 홍진호가 이상민의 일점사와 연예인병풍 웨이브에 아웃당하면 방송으로서의 재미는 추락할겁니다. 우리 모두가 사랑하는 홍진호가 탈락해서 그런게 아니라, 홍진호가 떨어지면 이상민과 'vs'로 묶일 상대가 없기 때문입니다. 역으로 이상민이 제거된다면 나머지 병풍들은 어쩔수 없이 선택을 해야 합니다. 그땐 이미 홍진호에게 붙기엔 너무 늦었기 때문이죠. 거기서 또 다시 오늘과 같은 집요하고 치열하고 악독한 관계의 게임과 속임수와 뒤통수 후려치기가 난무할테고, 그건 시청자의 입장에서는 또 다른 재미의 국면이니까요.

욕하고 이젠 안본다는 사람들이 많은데... 저는 다음주부터 더욱 재밌어질것 같습니다. 제작진도 바보가 아닌 이상(많은 분들이 바보라고 믿고 계시지만;) 이 시점에서 정치(라기보단 음모)게임을 들이밀어 이상민에게 힘을 실어주는 짓은 하지 않을테죠. 시즌1에서 명장면을 연출했던 오픈패스 게임처럼, 뭔가 분위기 반전을 가져올 한방이 있을거라고 봅니다.

의도한 것이든 아니었든, 아무리 냉정하고 객관적으로 봐도 주인공에 가까운 것은 홍진호이고 지금 공은 홍진호에게 넘어갔어요. 이 상황에서 '나만 왕따시켜ㅠㅠ'라며 투덜대다 허무하게 탈락할지, 아니면 소름돋는 반전으로 진정한 주인공이 될지, 아니면!

아니면... 임요환이 각성할지.........

모르는거죠 뭐.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감모여재
14/01/12 00:51
수정 아이콘
이상민씨는 솔직히 우승하기 위해 홍진호, 이두희만큼은 무조건 탈락시키고 싶었을겁니다. 그 중 한 명을 제거했으니 대성공이죠.
비연회상
14/01/12 00:52
수정 아이콘
그렇죠... 생각해보니 50%가 아니라 100%의 성공이었네요. 기왕이면 홍진호를 찍었으면 더 좋았겠지~ 수준이었으니..
옆집백수총각
14/01/12 00:52
수정 아이콘
시청자의 비난이 오버인지 아닌지는 아직 판단하기에 이른 것 아닐까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50 [유머] [지니어스스포] 김구라 재평가.jpg [19] 일룰5467 14/01/12 5467
531 [기타] 지니어스 '게임'인데 게임은 언제하나요 [36] 굼시3784 14/01/12 3784
516 [분석] 복수는 나의것 [1] 역지사지123077 14/01/12 3077
2301 [질문] 역대 시즌중 최고로 재밌었던 데스매치는? [26] SKY9210459 15/08/16 10459
501 [질문] 지금의 지니어스를 보시면서 바라는 그림이 있으신가요? [19] 김소현4012 14/01/12 4012
462 [기타] 이번 지니어스 방송을 보고 많은 시청자들이 화가 난 이유. [6] 불굴의토스3101 14/01/12 3101
452 [유머] 김구라 재평가 [3] 지은이아영이3836 14/01/12 3836
2250 [기타] 지니어스를 응원합니다. [16] 깐딩5427 15/08/09 5427
2235 [유머] 지니어스 멤버들이 중국집 갔을때~~ [39] Y.eLLow[ZerG]12698 15/08/07 12698
2227 [기타] 가장 정감가던 플레이어 최연승 [12] 하고싶은대로7417 15/08/03 7417
384 [기타] 노약자/임산부의 시청을 권하지 않는 룰브레이커 6회(당연히 스포) [3] 비연회상2651 14/01/12 2651
2177 [분석] 메타로 보는 지니어스 시즌 1-4, 그리고 406의 중요성 [13] becker7392 15/07/28 7392
374 [분석] 시즌2. 정치의 마무리와 격돌. 6화 리뷰. [15] Leeka3758 14/01/12 3758
367 [기타] 이프로를 보면서 감정이입한건 처음이네요. [6] 오즈s2933 14/01/12 2933
309 [기타] "같이 나중에 해피한 척 하면서 한명 죽이는 거야" [28] 루저5133 14/01/07 5133
304 [분석] 시즌2가 연합이 왜 더 과도한가. [11] Leeka4023 14/01/07 4023
303 [분석] 똑같은 게임도 맥락상의 분위기가 중요하다. [2] 라라 안티포바4109 14/01/07 4109
294 [분석] 시즌1을 분석하고 나온 시즌2 참가자들의 '더 지니어스' 이해도 [6] 청산가리4986 14/01/07 4986
285 [기타] [시즌1 파헤치기] 김풍의 체념. 그리고 포기 [4] 모리모3872 14/01/06 3872
283 [기타] [시즌1 파헤치기] 출연자와 시청자 전부를 속인 최정문의 속내 [15] 모리모4480 14/01/06 4480
282 [기타] 저는 제가 그렇게 뛰어나다고는 생각하지 않아요 [24] 모리모4785 14/01/06 4785
277 [분석] 시즌2 시작전 개인적으로 예상했던 참가자성적 [10] Tad4424 14/01/06 4424
2048 [분석] 지니어스 초반 1/3 분석 [4] 콩쥐팥쥐5898 15/07/19 589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